안전한 판올림(upgrade)를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아직 GG(7.10)를 사용중입니다…

이제 곧 GG에 대한 서포트가 끝나겠죠…(한 3개월쯤 남은 듯…)

서포트가 끝나기전에 8.04로 판올림을 해야 할 듯한데…

여기저기 찾아보니…

‘가끔…업그레이드시 OS가 맛간다…’
‘/home은 OS와 다른 파티션에 설정하는 것이 업그레이드나 OS재설치시 문제가 생겼을 때…그나마 좀 낫다…’
라는 글이 보이더군요…

문제는

제가 처음에 OS를 설치할 때…/home을 다른 파티션에 설정을 안하고 통짜로 파티션을 잡고 설치했답니다…(그런 tip이 있는 줄도 몰랐단…ㅠㅠ)

이 상태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OS업그레이드를 하는 방법으로는 뭐가 있을까요???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설정하는데…(무선 랜카드 잡기.듀얼모니터해상도잡기등등…)
엄청 헤매서…가능하면 안 헤매고 싶기도 하고…

회사에 있는 컴에는 논문자료들하고…이것저것 자료들이 꽤 있어서…이거 날아가면…
으…상상하기도 싫단…ㅠㅠ

여담입니다.

  1. 판올림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버그나 새 버젼 패키지에 대해선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2. 여분의 PC에 비슷한 환경을 만들고 판올림을 테스트한 후
    익숙해지면 판올림을 한다.

  3. 자료를 안전하게 백업해두고 과감하게 판올림하고
    문제 생기는 부분에 대해서는 삽질로 해결한다.

다시 생각해보니… 판올림과 상관없이 중요한 자료는
백업은 항상 해둬야겠네요…

데탑으로만 썼다면. /home 만 백업하고 업글 혹은 재설치 해보세요 =.=

같은 배포판이 아닌 다른 배포판 (판올림 포함) 의 경우에는

외장하드를 이용해서 /home 폴더를 백업하시고

데탑은 완전히 clean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우분투에서 업그레이드 시 문제가 있었던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쿠분투에서는 7.10에서 8.04로 갈 때 문제가 좀 있었던 것으로 기억되지만(업그레이드 중간에 에러.; ) 우분투에서는 6.x대 부터 8.04대까지 업그레이드에 문제가 있었던 적은 없었습니다. 그것도 노트북에서요. ㅎㅎ.

아무튼, 정히 걱정이 되신다면 위에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다시피 home 디렉토리를 백업하신 후 업그레이드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업그레이드는 저 같은 경우 그냥 시냅틱에서 종종 했습니다. ^^;

아니면 소스리스트 수정 후 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하셔도 됩니다. 터미널이 심적으로 좀 안정되는 경향이 있더군요. ㅋㅋ.;

사실 업그레이드 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긴 합니다. 데비안으로 서버 운영 중인데, testing이 stable로 들어와서 업그레이드 할 시 한 번에 제대로 잘 됐던 적은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같은 계열인 우분투도 마냥 쉽게는 잘 되지 않겠죠. 그래도 조금의 삽질만 보태면 의외로 또 잘 됩니다.

모쪼록 꼭 성공하시길… ^^

그럼 이만.

위에서 다들 설명을 무쟈게 잘해주셔서 전그냥 제가 쓰는방식 팁이라면 팁일수 있고…
걍 참고삼마 보시는것도 개안켓다 싶어 써봅니다.

제경우 컴터가 집에 두대가 있습니다 한대는 펜4 2기가 고 하나는 amd64x2 4기가램을 씁니다

제가 설명하는 컴터는 amd에 설정해 놓은것입니다. 중요한 자료는 죄다 저기에 담아둬서리 ㅋㅋ

하드는 10,000 rpm 70기가 하드(sda) + 150기가 7500rpm(sdb)를 씁니다.

sda1 - / - 20기가
sda2 - swap - 2기가
sda3 - /home - 48기가
<---- 가상머신을 돌리기 위해서 /home 디렉토리는 48기가정도 잡아두었고
/ 디렉토리는 아무리 날고기고 아것저것 다 깔아도 10기가도 안되기 때문에 걍 넉넉히 20기가
잡아두었습니다 메모리가 4기가기 때문에 스왑은 2기가만 해두었습니다.
sda 하드는 시스템만 사용하고 데이터는 저장하지 안습니다.

sdb1 - /work - 150기가
임의로 데릭토리를 만들어주고 150기가 통으로 잡아주었습니다.
이 하드에 야구동영상 야구이미지 등등 다 들어 있습니다. 디렉토리 통체로 권한을
계정권한으로 주고 홈디렉토리의 유저 계정에 링크시켜두고 씁니다.

리눅스를 다시 설치하게 되거나 새로 업그레이드시에 포멧은 sda만 해주고 sdb는 디렉토리만
잡아주면 데이터는 그대로 살아 있고 시스템만 바뀌게 됩니다. 물론 sda포멧시에 /home디렉토리도 빼고 / 디렉토리만 포멧하고 설치할경우 ^^ 기존에 쓰던 설정도 고스란히 남게 됩니다.

^^ 펜4컴도 위와 같은 형식으로 파티션을 잡아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서버처럼 정기적으로 백업을 하는게 아니라면 데스크탑은 일정수준 데이타가 쌓이면
dvd나 블루레이같은 고용량 미디어에 백업을 하시면서 사용하실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OTL 예전에 수백기가의 야동을 날려먹은후로는…=_= 전 정기적으로 백업을 늘 합니다.

님의 경우도 정기적인 백업을 하지 못한데 따른 어려움이라고 생각드네요 ^^/
시스템을 만지는 작업이라면 데이터는 늘 안전하게 보관해두시고 작업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