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하드에 설치후

640gb짜리 외장USB하드를 주파티션3개로 나눠 500기가는 ntfs파티션으로 외장하드역활
나머지90기가정도ext4로 / 그리고나머지는 스왑

grub를 sdb에 설치
노트북 삼성센스x360이나 다른 물리적하드가 1개인 컴퓨터에서는 컴퓨터 처음켤때 부팅순서만 usb외장하드를 1순위로 해주면
우분투 부팅화면을 볼수가 있지만

문제는 집에 데스크탑… 물리적하드가 두개 있는…
이런상황에서는 부팅화면을 볼수 없음…
grub설정이 sdb를 부팅하라는데 우선순위가 데탑에 달려있는 물리적 하드 두개를 sda,sdb로 인식한다고 생각됨

그래서 데탑 시동용으로 1기가짜리 usb에 grub설정을 부팅되는 영역을 sdc로 설정하고 grub를 usb메모리에 설치하면 될꺼 같은 생각인데
설정파일은 어떤것이며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며 grub설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

ps) 밥먹고 살다보니 (직업이 3d 업종 ,캐드 사용) 윈도만 쓰다가
640기가짜리 하드가 생기다 보니 우분투룰 설치하게 됬습니다.
2000~2003년까지는 항상 데비안이 깔려 있었는데요…
오랜만에 리눅스를 쓸려니 다 잊었네요.

외장하드에 리눅스를 설치하시면 데탑에 하드가 몇개가있건 부팅순서는 상관이 없어집니다 … ;;
(당연히 부팅은 외장하드 부팅으로 … )

grub는 /dev/sdb이런식으로 하드를 분류하는게아니라 hd(0,0)이런식으로 파티션 분류를 하기때문에 . .

하드자체에 grub가 깔려있는경우 그 하드로 부팅시 자연스럽게 진행이 됩니다 . (grub관점으로 외장하드를보면 당연히 0번째 순위입니다. 외장하드에 설치가 되어있으니까요)

저 역시 한 하드로 윈도우와 리눅스 멀티부팅이아닌 내장하드는 윈도우 외장하드는 리눅스해서 따로따로 부팅하고 있구요 . .

이 외장하드는 피시방이든 근무지든 어디를 가서도 리눅스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 .

단 , 하드웨어적인 호환문제로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더군요 . .

메인보드랑 하드랑 호환이 안된다고 해야하나 … MBR영역을 읽어내지 못하는 하드웨어들이 종종 있었습니다 .

외장하드에 리눅스 설치할때 grub를 제데로 외장하드 MBR영역에 설치해주시면 될거라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