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in Live, Systemback
자세한 건 여기를 참고하세요.
http://ubuntuhandbook.org/index.php/201 ... ntu-14-04/제가 사용하는 루분투 LXLE에 기본 설치되는 패키지인데 우분투와 민트도 설치가 가능하네요.
[code:1gkb60tq]sudo add-apt-repository -y ppa:nemh/systemback && sudo apt-get update -y && sudo apt-get install -y systemback[/code:1gkb60tq]
기본적인 기능은 시스템 백업입니다.
Timeshift와 더불어 리눅스 상에서 사용투할 수 있는 백업 복구 툴입니다.
상당히 재미있네요.
Storage directory 에 저장 폴더를 설정해 주고…
Exclude 에서 포함하지 않을 설정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고
Exclude의 두번째 옵션을 체크하면 직접 home 디렉터리를 제외하는 거고
System upgrade 버튼은
apt-get upgrade 와 오래된 커널 삭제 등을 자동으로 해 주는 작업인데,
grub까지 삭제하려고 드니 권하지 않습니다 -_- 뭣
모르고 삭제 승인을 해 버렸다가…. ㄷㄷㄷㄷ
아무튼…
Create new 를 누르시면 시스템 백업이 진행됩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기능은 이겁니다.
[b:1gkb60tq]Live system create[/b:1gkb60tq]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우분투 시스템을 그대로 라이브 USB로 만들어 줍니다. alias 같은 소소한 설정. 그리고 파이어폭스와 크롬의 설정파일 까지 그대로 USB로 옮겨 갑니다. 후덜덜덜 -_-
만일 [b:1gkb60tq]Include user data file[/b:1gkb60tq]를 체크하시면 문서 음악 비디오 같은 기본 유저 데이터 파일도 함께 가져가니 필요하신 분은 체크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제가 아래에 소개할 방법이 불가능 해집니다.
여기 에도 있는 [b:1gkb60tq]Create new[/b:1gkb60tq] 버튼을 누르면 우분투를 usb 파일로 변환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b:1gkb60tq]Write to target[/b:1gkb60tq] 을 통해 USB에 os를 넣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user data file을 함께 가져가시는 경우 바탕화면 까지 가져 가겠지요.
또는 Createve new 가 끝는 이후엔 [b:1gkb60tq]Convert to ISO[/b:1gkb60tq] 도 가능한데,
하지만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SB를 준비하고 파티션을 나눕니다.
1번 파티션 : 라이브 리눅스를 설치할 곳으로 FAT32 포멧으로 잡습니다. 용량은 알아서 적당히….
2번 파티션 : 나머지… NTFS 해도 윈도우에서는 USB 분할 파티션을 못 읽으니 (대체 왜 그런거니 윈도우야?) 그냥 EXT4 로 해 줍시다.
참고 해야 할 점은… 라이브 시스템에서는 1번 파티션으로 부팅하여, 2번 파티션에만 자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읽을 수 있지만,
반대로 윈도우에서는 USB를 꼽으면 1번 파티션만 읽을 수 있고 자료를 저장할 수가 있지요.
Create new가 끝나면 지정한 디렉터리에 LIVE.sblive 파일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더블클릭하면 압축프로그램이 열립니다. 이 상태에서 fat32 파티션의 USB 첫번째 파티션 경로에 압축을 해제 합니다. USB 시동디스크 만들기 안 쓰고 이렇게 압축을 그냐 풀어도 문제없이 라이브 부팅 성공입니다 ^^
2번 파티션은 무얼까요? 1번 파티션에도 개인 자료는 저장 가능한데…
왜냐면 1번 파티션에 넣는 개인 자료는 라이브 USB 부팅 상태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라이브 리눅스에서는 자료 저장이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2번 파티션을 만들어 두면 그 파티션의 자료는 열수가 있습니다. 라이브 시스템은 자료 저장이 불가능하지만 두번째 파티션의 공간을 이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아까 user data를 포함 시키는 옵션을 쓰셨다면 이 방법처럼 압축 해제로 usb에 까는건 안됩니다. user data는 추가 파티션을 생성해서 저장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