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케 vhd 를 생성 해서 vbox 에서 설치 한다음에 vhd 를 등록 해서 부팅이 가능 하다면…
좋을거같아서
달려있는 하드를 몽땅 뺀후 마루타로 삼을 하드 하나 연결 해놓코 설치중 입니다…
이게 성공 한다면…
설치 필요없이 설치된 .vhd 를 공유 해서 윈7 이상의 시스템에 vhd 를 등록 해서 윈도우와 멀티부팅을…
한가지 스샷에 보이는 것 처럼… GUI 모드가 안나와서 첨엔 살작 당황 했네요
이렇케 텍스트로 설치 하는게 얼마만인지 기억도 안나네요
비록 보기에 텍스트 모드라고 해도
GUI 모드와 거의 완벽한 싱크로를 가지고 있다는게 놀라웠습니다
우분투는 환경이 달라진다고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라이브환경이 곧 데스크탑 환경이라서 굳이 문제가 생긴다면 독점 드라이버설치 여부 정도일까요? 이것도 독점드라이버대신 오픈소스드라이버를 쓴다면 크게 문제가 없으니…(최신하드웨어라면 문제가 좀 심각해 지는군요.)
제일 좋은 것은 그냥 Grub(혹은 Grub4dos)멀티부팅이 제일 아닐까 생각합니다. 파티션 쪼개고 VHD대신 raw-VMDK로 만들어서 네이티브 파티션에 설치하고 BCD대신 Grub을 MBR에 심어서 부팅하면 윈도의 VHD랑 다를 바없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윈도로 부팅한 후에는 Vbox로 가상화해서 쓸 수 있고 아니면 우분투 네이티브 부팅을 해도 되고… 문제는 반대가 안되서 그렇지…(우분투 부팅후 네이티브 윈도의 가상화)
[quote="kjm89":mr79069q]제일 좋은 것은 그냥 Grub(혹은 Grub4dos)멀티부팅이 제일 아닐까 생각합니다. 파티션 쪼개고 VHD대신 raw-VMDK로 만들어서 네이티브 파티션에 설치하고 BCD대신 Grub을 MBR에 심어서 부팅하면 윈도의 VHD랑 다를 바없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윈도로 부팅한 후에는 Vbox로 가상화해서 쓸 수 있고 아니면 우분투 네이티브 부팅을 해도 되고… 문제는 반대가 안되서 그렇지…(우분투 부팅후 네이티브 윈도의 가상화)[/quote:mr79069q]
vmware 는 웬지 거부감이 들어서 사용 해본적이 없습니다
raw-vmdk 를 사용 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