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juindy":1zdolofd]
예를 들어 192.168.1.1 이라는 서버에
192.168.1.2 인 우분투는 접속되고, 인터넷도 되는데
192.168.1.3 인 VirtualBox Windows 는 인터넷만 되고 192.168.1.1 에 접속이 안되고 있습니다.[/quote:1zdolofd]
음…저는 windows에서 인터넷이 된다는 부분이 오히려 더 이상하게 느껴지네요…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설명만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제 상상으로 보자면 무선 혹은 유선 공유기 밑으로
말씀하신 서버도 있고 우분투 피씨도 있고 한 것일까요?
여기서 virtualbox의 windows에서 마치 컴퓨터 한대 더 있는 것처럼 쓰실 수 있다면
아마도 서버도 접속되고, 인터넷도 되고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무조건 브리지어댑터를 하셔야 하고,
우분투가 DHCP로 아이피를 받아 온다면
virtualbox내의 windows도 그렇게 받아와야 할것입니다.
무조건이 아니라 사실 NAT로 해도 되긴 할텐데…
아마도 설정이 좀 더 복잡해지고… 공유한 아이피를 다시 공유하게 되니
뭐가 어찌되는지 쉽게 예측도 못하는 문제가 있을 듯 합니다.
저의 경우, 우분투 호스트에 Windows XP 게스트, Windows Vista 게스트, Kubuntu 게스트 모두 다 버박에서 네트워크 설정이 'NAT’로 되어 있으며, IP는 자동으로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호스트 OS에서 인터넷과 네트워킹이 잘 된다면, 게스트에서도 동일하게 잘 되어야 정상입니다. 저는 게스트 네트워크를 NAT로 설정하여 ‘아무런 설정 없이’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킹을 수년간 단 한 번의 실패 없이 잘 해오고 있습니다. '아무런 설정 없이’라는 말은 기본값 그대로 하였다는 뜻 입니다. (Windows나 우분투나 기본적으로 IP 자동 설정이더군요.)
여기서 말씀드리는 네트워킹은 질문자 님이 말씀하신 그런 종류의 네트워킹입니다. 물리적으로 다른 프린터 서버에 접속하고, 파일 서버에 접속하고 하는 류의 네트워킹을 말입니다.
어차피 게스트의 네트워킹은 호스트의 네트워킹을 경유하는 것이므로, NAT으로 설정한 경우 아무것도 손대지 않아도 잘 되어야 하는 게 정상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