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vs 크로미움?

크롬과 크로미움…차이점이 뭐죠???

간단하게 구분하면 완전한 오픈소스냐 아니냐의 차이입니다.

크로미움은 완전한 오픈소스 기반으로 코드가 모두 공개되어 있고, 크롬은 그 크로미움을 기반으로 구글이 짜 넣은 기능들이 BSD 라이센스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안드로이드에 GMS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와 비슷합니다.

기능상으로는 큰 차이는 없는걸로 알고 있고, 플래쉬 등 오픈소스가 아닌 프로그램/플러그인을 기본탑재 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차이가 있습니다.

크롬과 크로미움의 차이는 윗분의 말 처럼 오픈소스냐, 비오픈소스냐의 차이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이 뿐만이 아닙니다. 크로미움에는 크롬에 포함된 개인정보 추적, 수집 기능이 거의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구글 메일을 사용해보셨으면 메일 내용과 연관된 맞춤 광고를 경험해보신적 있을겁니다.
구글이 (어떤식이던지) 접한 정보는 무조건 수집됩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적극적으로 수집하는 중입니다.
일례로, 이제는 (한국에선 정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놓고 스트리트뷰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접한 정보는 지금도 지워지지 않은채로 축적되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언제 어떤식으로 어느 좌표점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느냐까지 전송하는 마당에, 비오픈소스인 크롬에는 무슨 짓을 해뒀을지…
크롬을 쓴다는것은 도둑을 내 집에 들여다 놓은 꼴이죠.

좋은 예로, 크롬에서는 검색창에 입력된 모든 문자를(엔터를 치치도 않았음에도) 마치 키로거처럼 기록해둡니다.
[url=http://www.cnet.com/news/googles-omnibox-could-be-pandoras-box/:d50ofr7w]Google’s Omnibox could be Pandora’s box[/url:d50ofr7w]

크롬4까지에선 개개의 브라우져를 식별할수 있는 식별자까지 만들어두고 전송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