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VS 윈도우즈 성능은 어느것이 더 우세합니까??

일단, 성능이 좋은 제 주 pc에서는 아주 만족스럽게 우분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펜티엄3 램 512 구형 놋북을 얻어서 아이들에게 어려서부터 리눅스와 윈도우 모두 경험하게 해주려고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이정도면, 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레쉬 게임이나 인터넷 강의, 학교홈페이지 방문 등을

사용하는데 윈도우는 몰라도 우분투에서는 무리 없을거라 생각하고요.

그런데, 왠걸요? CPU 100%를 지시하며 인터넷 강의가 들을 수 없을정도로 멈춤현상이 심합니다.

파폭이 너무 굼뜬가?? 싶어, 구글 크롬을 깔아서 봐도 역시 마찬가지더군요.

혹시나 싶어 윈도우xp를 설치하고 같은 강의를 봤는데, 너무나 부드럽게 잘나옵니다. ㅜㅜ

심지어 우분투에서는 아예 시작조차 못하던 고화질 까지 나옵니다. (물론 고화질에서는 끊김이 생기긴 합니다)

마님께는 반대로 말했었는데 말이죠. " 이거 윈도우 깔면 못써, 리눅스 깔아야 가볍게 씽씽돌아간단 말이야~" <- 이렇게요 ㅡㅡ;;

아닐꺼야, 아닐꺼야 라는 생각에 주분투를 깔았습니다. (쥐가 나온다며 마님이 싫어하더군요 ㅜㅜ)

주분투에서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우분투가(리눅스가) 컴퓨터 자원을 윈도우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사용한다고 믿었는데 말입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므로 정당한 라이센스로 컴퓨터를 이용한다는 이점 외에

우분투(리눅스)를 이용하는 것이 컴퓨터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라는 측면에서는 별 이점이 없는것입니까?

우분투(리눅스) 와 MS Windows 둘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일까요??

과연 컴퓨터 이용의 전체적인 측면에서 우분투가 윈도우보다 우세할까요??

진정 우분투(리눅스)의 이용은 불법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외에는 좋은점이 없는 것일까요??

플래시 탓이 아닐지… =.=
성능은… 용도에 따라 다를…

우분투가 좀 무거워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양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Windows XP의 성능이 더 나은 것처럼 보일 수도 충분히 있겠죠.

atto님께서 사모님께 드린 말씀이 사실이 되려면, '우분투’를 -> '리눅스’로 바꾸고, 그것도 '가볍다고 알려진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정확히 정정해야 할 듯 하네요. ^^;;

다른 가벼운 배포판을 찾아 보심이 좋을 것 같네요. ^^;;;

[quote="atto":1b67iu08]진정 우분투(리눅스)의 이용은 불법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외에는 좋은점이 없는 것일까요??[/quote:1b67iu08]개인적으로는 이것만 해도 엄청나다고 생각합니다…;;;

우분투 성능이 더 뛰어나다고 모든 것이 뛰어난 것은 아니죠.
하는 일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OS라는게 아무리 좋아봐야 그 외의 것이 문제가 있으면 전혀 성능 발휘를 못하겠죠.

일단 리눅스는 x윈도가 띄워져서 데스크탑 환경을 구성하기 때문에,
그래픽 관련 작업은 윈도보다 성능이 떨어지거나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용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윈도보다 최적화가 덜 되어 있습니다.
nvidia 계열 칩셋과 인텔 계열 몇몇 칩은 드라이버가 거의 제성능을 내지만, 나머지…특히 ATI쪽은 드라이버가 그래픽카드 칩셋의 성능을 반도 못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플래시 플래이어나 일부 동영상 코덱의 경우는 성능과 안정성에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저사양 컴퓨터라고 해서 우분투가 우월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최적화가 덜된 드라이버나 플래시의 성능을 커버할 정도의 고사양 컴퓨터에서 오히려 우분투가 제 힘을 발휘할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펜티엄4 쓸때는 여러모로 운이 좋았고 신경도 써서 잘 썼습니다만…

[quote="atto":ted0f915]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레쉬 게임이나 인터넷 강의, 학교홈페이지[/quote:ted0f915]

…전부 다 표준하고는 담쌓은 동네들 아닌가요? 느린게 당연할듯…;;;;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리눅스의 장점은 최신 OS를 구형 하드웨어에서 쓸 수 있어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단 겁니다. 뭐, 이번에 윈 7이 나와서 그 부분은 윈도우즈쪽도 좋아졌다고는 합니다만 오래된 기계에서 돌리기 위해 최신의 윈도우즈를 사는 사람은 많지 않을듯 하네요. 더더군다나 만약 그 오래된 기계를 없애도 새 기계에 정품을 그대로 사용하려고 해도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는 모양입니다.

http://www.bloter.net/archives/21779

자세한건 이걸 보고 참고하세요. 게다가 여기에는 나와있지 않은데, 한 대에서만 사용한다고 해도 재설치 횟수에도 제한이 있다고 하네요. 리눅스는 이런거 신경 안써도 된다는 것도 장점이곘죠.

전 우분투와 Windows 7을 번갈아가며 쓰고 있는데…
컴피즈를 마구 써대는 저로서는 우분투가 가볍다고 느낀적은 별로 없습니다.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둘중에 하나가 좀 더 가볍게 느껴질 뿐입니다.

외국 사이트의 경우는 우분투나 윈도우즈나 큰 차이점을 못느끼는 반면…
국내 사이트들은 우분투에서 버벅거리는 경우가 상당수 있습니다.
뭐…Active X로 돌리는 사이트들은 제외하고…
플래시로 떡칠을 해놓은 사이트들 역시…국내 사이트들은 이상하게 우분투에서는 버벅거리는 경우가 상당히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도비에서 리눅스용 플래시 플레이어는 발로 개발하는구나라고 생각했는데…
외국의 플래시 기반 동영상 사이트들은 전혀 이상이 없는점으로 미뤄볼때…
아무래도 국내 사이트들의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어쨌든 전 그 불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우분투가 윈도우즈와 비교했을때 체감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라는 점 자체로
이미 훌륭하다고 평가합니다.
제가 우분투로 못하는 것은 뱅킹과 P2P입니다.
제가 알리딘에서 책을 구매해봤는데 우분투에서도 아주 잘 결제가 되었습니다.
국내웹환경도 바뀌면 차차 윈도우즈를 버려도(?)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윈도우즈를 버릴수 있을까는 의문이지만 말입니다.)

[quote="Vulpes":3lbxu410][quote="atto":3lbxu410]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레쉬 게임이나 인터넷 강의, 학교홈페이지[/quote:3lbxu410]

…전부 다 표준하고는 담쌓은 동네들 아닌가요? 느린게 당연할듯…;;;;
[/quote:3lbxu410]

플래시도 웹표준과 관련이 있나요??

인터넷 강의 역시 플래시플레이어 같았구요.

학교 홈페이지는 시골 초등학교 홈페이지라 activex 같은거 없이 그냥 제로보드로 만든 사이트 입니다.

[quote="atto":1kb5bwgl][quote="Vulpes":1kb5bwgl][quote="atto":1kb5bwgl]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레쉬 게임이나 인터넷 강의, 학교홈페이지[/quote:1kb5bwgl]

…전부 다 표준하고는 담쌓은 동네들 아닌가요? 느린게 당연할듯…;;;;
[/quote:1kb5bwgl]

플래시도 웹표준과 관련이 있나요??

인터넷 강의 역시 플래시플레이어 같았구요.

학교 홈페이지는 시골 초등학교 홈페이지라 activex 같은거 없이 그냥 제로보드로 만든 사이트 입니다.[/quote:1kb5bwgl]제로보드도 많이 나아져서 최신 제로보드는 아주 잘 되더군요.

동영상 스트림과 플래시는 아직 윈도 못 따라갑니다.
플래시를 제작해주는 회사가 리눅스용도 제작해주기는 하지만 성능이 안정적이지 못하구요.
동영상 스트림은 워낙에 윈도 기준으로 맞춰져들 있어서 코덱도 그렇고…
화면 출력 성능도 그래픽 카드가 nVidia가 아니라면 역시 윈도용 드라이버가 더 낫지요.

원인은 여러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의 호환성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가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다면 제 성능을 내긴 힘들겠지요.

두번째는 리눅스용 플래시 플레이어의 안정성입니다. 제 생각에도 이 두번째 이유가 더 클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플래시의 경우는 예전보단 많이 나아진 것도 사실이지만 그 CPU 점유율 문제는 어떻게 해결이 되지 않는군요… 플래시의 CPU 점유율은 윈도가 훨씬 안정적입니다.

[quote="Vulpes":pcw1fhta][quote="atto":pcw1fhta]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플레쉬 게임이나 인터넷 강의, 학교홈페이지[/quote:pcw1fhta]

…전부 다 표준하고는 담쌓은 동네들 아닌가요? 느린게 당연할듯…;;;;

http://www.bloter.net/archives/21779

자세한건 이걸 보고 참고하세요. 게다가 여기에는 나와있지 않은데, 한 대에서만 사용한다고 해도 재설치 횟수에도 제한이 있다고 하네요. 리눅스는 이런거 신경 안써도 된다는 것도 장점이곘죠.[/quote:pcw1fhta]

위 블로그는 저도 예전에 본적이 있지만 아마 oem형태의 OS가 설치되어 있는것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즉 , 기존에 삼성노트북을 사용하다가 LG노트북으로 바꾸었다면 설치가 안되는 것이죠…

그리고 제가 우분투써본 소감은 아직 동영상은 최적화 되지 않은듯 합니다.
XP상에서 아무런 끊김없이 돌아가는 동영상도 우분투에서는 버벅이니 말이죠.
개인적인 생각은 아이들 동영상강좌용으로 사용하실려면 XP를 권장합니다.

[quote="atto":2wb7k5g0]플래시도 웹표준과 관련이 있나요??
인터넷 강의 역시 플래시플레이어 같았구요.
학교 홈페이지는 시골 초등학교 홈페이지라 activex 같은거 없이 그냥 제로보드로 만든 사이트 입니다.[/quote:2wb7k5g0]
위에서 몇 번 이야기 나왔듯이… 플래시 자체가 지원이 잘 안되고 있는 현실도 일단 있습니다만… 이 외에도 같은 플래시로 만들었지만 리눅스에서는 안 돌아가는 곳이 여러 군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Sunzio도 플래시 기반 동영상 공유 사이트지만 파폭에서는 안돌아가죠.

학교 사이트에 대해선 그게 그냥 제로보드인지는 모르고 한 발언이긴 합니다만… 설사 그렇다 해도 간혹 스킨 제작이 개판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100% 틀렸다고도 할 수 없는 말입니다.

[quote="ibis1101":2wb7k5g0]위 블로그는 저도 예전에 본적이 있지만 아마 oem형태의 OS가 설치되어 있는것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즉 , 기존에 삼성노트북을 사용하다가 LG노트북으로 바꾸었다면 설치가 안되는 것이죠.[/quote:2wb7k5g0]
일단은 범용 윈 7을 산 친구에게서도 동일하게 들은 내용이긴 합니다만…

[quote="hangul80":1jm9up4h]제가 우분투로 못하는 것은 뱅킹과 P2P입니다.[/quote:1jm9up4h]P2P는 토렌트도 있고, 당나귀도 있습니다만, 웹 하드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국내 웹 하드는 불가능하지만 해외 웹 하드(RapidShare 등)는 가능하죠.

[quote="ibis1101":1jm9up4h]그리고 제가 우분투써본 소감은 아직 동영상은 최적화 되지 않은듯 합니다.
XP상에서 아무런 끊김없이 돌아가는 동영상도 우분투에서는 버벅이니 말이죠.[/quote:1jm9up4h]제 컴은 쿼드라 그래서 그런지 동영상은 괜춘하더군요. 오히려 Windows에서보다 화질도 더 좋아진 것 같고, 속도에는 물론 전혀 문제가 없고요. 사양이 초콤 괜찮아서 그런가 봅니다. 혹은 드라이버 지원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N당 글픽 카드를 써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플래쉬는 기술 자체는 크로스 플랫폼한데, 이걸 가지고 안 크로스 플랫폼(…)하게 만드니 이것이 국내 웹 환경의 첫 번째 문제이고, 두 번째는 순수하게 플래쉬로만 구현되지 않은 것들도 있기 때문에 해외 사이트에서보다 국내 사이트에서 문제가 더 많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다시피, 아직 리눅스 용 플래쉬 플레이어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플래쉬로 점철(…)된 사이트에서는 문제의 발생 소지가 많지요. CPU 100% 점유하는 문제야 어제 오늘 일도 아니고…

아무튼 사용하시는 응용이 우분투보다 Windows XP가 나으면 Windows XP를 그냥 쓰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우분투가 리눅스 배포판 중에 가벼운 축에 끼는 것도 아니고, 굳이 리눅스를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이전 제 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좀 더 가벼운 배포판을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선택(?)하시는데 도움 되었길 바랍니다~ ^^

[quote="pcandme":ljbz09ao]
아무튼 사용하시는 응용이 우분투보다 Windows XP가 나으면 Windows XP를 그냥 쓰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우분투가 리눅스 배포판 중에 가벼운 축에 끼는 것도 아니고, 굳이 리눅스를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이전 제 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좀 더 가벼운 배포판을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선택(?)하시는데 도움 되었길 바랍니다~ ^^[/quote:ljbz09ao]

네, 여러분들 말씀이 플래시때문에라도 우선은 윈도로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플랫폼에 자유로운 플래시를 특정플랫폼에만 특화되게 만드는 우리나라의 플래시 기술은 참으로 존경할만 하군요… ㅡㅡ;;

그래픽 카드역시 ati이기 때문에 그런면도 있다고 보이고요.

역시 장치 드라이버와 플래시 때문이지 그것가지고 우분투(리눅스)와 윈도우의 성능을 저울질하는건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분투, 윈도를 같이 깔아줘야겠습니다. ㅎㅎ

게임외에는 피씨에 전혀 관심없던 아이가 '자기소유’로 구닥다리 놋북 한대 줬더니 하루종일 질문 공세입니다.

이건뭐에요? 이건어떻게하는거에요? 이건왜그래요? 가장먼저 물어본게 ‘비밀번호 어떻게 바꿔요???’ 하고는 싹 바꿔버린…

처음 리눅스를 접하던 시절에 비하면 우분투는 정말 비약적인 발전인것 같습니다.(모든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잡아주는… ^^b)

발전속도로 본다면, 가까운 시일내에 윈도우를 완전히 접어도 될것같은 예감입니다.

처음 컴퓨터를 접했을때 게임하려고 도스에서 메모리 많이 확보하기 위해 엄청 삽질 했었는데,

지금 윈도우는 할머니 할아버지 들도 금방 배워 사용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런것 생각하면, 리눅스 진영이 조금 늦어서 그렇지(그래픽쪽으로)

결국엔 윈도우 이상으로 편리하고, 좋은 성능을 내리라 보입니다. 우분투 만세~~~~

OS의 성능이 우분투가 좋아도 결국 프로그램과 드라이버가 윈도우 기준으로 나와 있기때문에 빛을 바랄 수 없는듯 합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개발 노력도 점유률 높은 OS에 더 투자하겠지요.

저도 ATI 그래픽 카드라 Windows XP 깔았던 때가 더 빠르네요.

그리높지 않은 사양(Atom N230, 2G, 9400M)에서 윈도우 비스타와 우분투를 사용해보고 든 느낌이라면

"생각보다 우분투의 퍼포먼스가 윈도우보다 높은건 아니다"라는 겁니다.

물론 기본적인 커널 구조의 효율성 덕에 메모리 관리쪽에 있어선 윈도우와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정도로 우수합니다.

OS를 구동시켰을 때 사용되는 메모리를 보면 우분투가 512MB 정도로도 어지간한 어플 조작까지 별 무리가 없는 반면,

윈도 비스타의 경우 2G 정도가 되지 않고선 원활한 사용이 힘들기에 (게임같은 거대한 어플을 제외하곤)

메모리쪽만 놓고 본다면 우분투의 완승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적화의 문제인지? 정작 어플리케이션 가동 쪽으로 가면 상황이 약간 달라지더군요.

시스템 사양 자체가 다른쪽은 그럭저럭 충분한 반면 CPU가 낮아서 CPU 로드에 민감해질수밖에 없는데,

어플리케이션쪽으로 가면 우분투쪽의 어플들이 대체적으로 CPU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가장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게 크로스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인 파이어폭스였는데, 그것이 플래시때문에라고 의심되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CPU로드가 거의 100%에 육박해서 프리징에 가까운 조작감을 보이는 경우가 윈도에 비해 우분투에서 더 심하더군요.

때문에 윈도에선 썩 무리없이 파폭을 돌릴수 있는 위 사양에서 우분투를 쓸땐 더 가벼운 크롬으로 메인 웹브라우저를 옮길수밖에 없었죠.

이는 3D GUI쪽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비스타 에어로가 DX9를 요구해서 최소사양이 높은 반면 컴피즈는 최소 사양이 꽤나 낮은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비스타에서 3D GUI를 쓸 때 CPU는 거의 작동을 안하고 GPU만 혹사시켜서 실제 조작감 자체는 낮은 사양이라는 체감을 거의 못한 반면

우분투에서 컴피즈를 쓸때는 CPU부하가 심심찮게 걸려서 조금씩 밀린다는 느낌을 크게 받았습니다. (기본적으로 구동되는 컴피즈의 움직임은

에어로와 최대한 비슷하게 맞추고 다른 기능은 모두 Off시켜놓았습니다)

동영상 쪽 역시 비스타에선 DxVA를 설정하면 FullHD 영상까지 무리없이 볼 수 있던 반면, 우분투에선 VDPAU를 설정하면 CPU 사용률은

확 낮아지는데 프레임 드랍이 보였고요…

뭐 다른 쪽으로 가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일단 제 시스템에서 경험한바에 의하면 리눅스는 OS 자체로는 훌륭한데 어플리케이션들이 못따라온다는 느낌이고

윈도우는 OS 자체는 구릿한 반면 어플리케이션이 그 부분을 메꿔준다고나 할까요?

[quote="atto":36csuhu9]게임외에는 피씨에 전혀 관심없던 아이가 '자기소유’로 구닥다리 놋북 한대 줬더니 하루종일 질문 공세입니다.

이건뭐에요? 이건어떻게하는거에요? 이건왜그래요? 가장먼저 물어본게 ‘비밀번호 어떻게 바꿔요???’ 하고는 싹 바꿔버린…[/quote:36csuhu9]오우, 영재 교육! 제 2의 한빈, HellBoy 군 탄생? ^^;

[quote="dongvil":36csuhu9]일단 제 시스템에서 경험한바에 의하면 리눅스는 OS 자체로는 훌륭한데 어플리케이션들이 못따라온다는 느낌이고

윈도우는 OS 자체는 구릿한 반면 어플리케이션이 그 부분을 메꿔준다고나 할까요?[/quote:36csuhu9]둘이 합치면 최강일텐데요. ㅎㅎㅎ.

아마도 제생각에는 그냥 우분투라서 그런게 아닐까요?

저는 지금 우분투 넷북 리믹스를 사용하는데요.

확실한 차이를 느끼고있는데요. 동영상도 매끄럽게 잘돌아가구요.

한국이 인터넷이 빠른게 좋다고 생각했었지만 외국나와보니 단점이 이만저만아니더라구요.

그런 제게 우분투가 행복하게 합니다.

우분투와 윈도우 7 쓰고 있습니다만, 우분투가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 갈습니다.
물론 제 사양은 그냥 그저 그런 말랑말랑한 사양입니다. (3G, 4G, nVidia 정도)

양쪽에 이클립스로 개발 환경 구축되어있고, 개발, 웹서핑, 동영상 외에는 하는 것이 없습니다. 컴피즈는 제법 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용하지 않을 때와 비교해서 크게 차이를 못 느꼈습니다.

우분투 쪽에 윈도우의 다음 팟 플레이어 정도 되는 동영상 플레이어가 없는 것 빼고는 제가 쓰는 한도에서는 불만이 없을 정도로 가볍게 돌아간다는 느낌입니다. 아, 토렌트 클라이언트가 좀 아쉽군요. Transmission과 Deluge 모두 좋은 프로그램입니다만 제가 다니는 비공개 트래킹 사이트 일부에서는 위 클라이언트를 허용하질 않아서 부득이 Wine으로 uTorrent를 돌리고 있습니다.

우분투가 윈도XP보다는 확실히 더 가볍게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램 사용 용량에 있어서도, 우분투는 300메가 정도를 넘어가본 적이 없는데
윈도는 700메가 아니, 1기가를 가뿐히 넘어가곤 하거든요.

액티브 엑스로 떡칠된 사이트가 많다보니 겪게되는 불편함 빼고는
저는 문서작업이나, 인터넷 사용, 동영상과 노래 듣기… 거의 만족합니다

윈도에서 했던것 중 80% 정도를 우분투에서도 똑같이 할 수 있거든요.

(물론 저의 컴에서의 기준일 뿐입니다;:w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