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 교체 후 우분투와 윈도xp 복구

안녕하세요. 시스템을 잘 몰라서 몇 가지 여쭙니다.
컴퓨터를 켜면 시동은 걸리지만 부팅이 안 되는 등 더 진행이 안 되는 문제가 반복되어, 엎치락뒤치락 한 후 메인보드 교체를 통해 해결했습니다. 그러면 기존에 쓰던 운영체계는 다시 설치해야 한다고 하길래, (백업 파일량도 엄청나서) 시간이 엄청 걸리는 일이 또 남아있구나 낙담했다가…
우분투가 설치된 하드 먼저 연결하고 혹시 몰라 켜봤더니, 그냥 이전에 쓰던 대로 바로 인식하는 것이었고, 무척 기뻤습니다. 역시 우분투! :)
윈도의 경우, (검색해 보니 윈도 비스타 이후 것들은 보드 교체하더라도 그냥 쓰던 대로 된다고도 하는데, 윈도XP는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고 다시 설치를 해야한다고들 했지만) 혹시나? 하고 하드를 연결해 봤는데, 멀티부팅 선택하는 grub 화면은 이전처럼 뜨는데, 자판의 화살표가 움직여 내려가지 않습니다. 그냥 초기설정 선택대로 우분투로 자동 부팅이 되는… :roll:

질문1 - 이것은 아무래도 윈도XP를 다시 설치해야한다는 의미이겠죠? 혹, grub만 손 본다고 되는 문제는 아닐까 해서요… ?

질문2 - 거의 우분투만 쓰고 윈도는 안 쓰는데(인터넷 뱅킹과, 광학문자인식[OCR] 프로그램 쓸 때만 씁니다. 아! 그누리눅스 - 우분투에서 돌아가는 한글과 영어 OCR 잘 되는 프로그램 혹시 없을까요?),
윈도 다시 깔고 드라이브 잡아주고 하는 시간 낭비를 하고 싶지는 않은데, 다른 간편한 방법은 없을지요? (기존에 잘 쓰던 윈도XP가 깔린 하드는 멀쩡하게 있는데 말이죠! ;) )

질문3 - 여차저차해서 윈도를 다시 살리고 나서, 다시 멀티부팅이 잘 작동하도록 하는 방법은 … 이거슨 어제 글로 올라와 있는 "우분투 설치 되어 있는 컴퓨터에 윈도우7 설치 후 우분투 접근&멀티부팅 방법알려주세요" 등의 글에 있는 대로 하면 될 듯 하구요… ?

감사합니다.

질문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네요. 하나의 하드디스크 내에 두개의 운영체제를 썼단말인가요?
아니면 두개의 하드디스크 내에 각각의 운영체제를 사용했다는 말인가요?

[quote="nhamfnad":261tt2sn]질문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네요. 하나의 하드디스크 내에 두개의 운영체제를 썼단말인가요?
아니면 두개의 하드디스크 내에 각각의 운영체제를 사용했다는 말인가요?[/quote:261tt2sn]

아이쿠, 애매하게 썼나 봅니다.
두개의 하드디스크에 각각의 운영체제를 사용했습니다!

질문 1에 대한 내용입니다.

XP는 인증을 위해서 메인보드가 바뀌면 부팅이 안되게 되어있습니다.
메인보드 교체 전에 작업을 해주고 교체하셔야 하네요.
교체를 이미 하셨다면 부팅이 안되니 다시 설치하시든지 이전 메인보드에서 작업하셔서야 하겠네요.

http://www.diskool.com/win_tip/1013805에서 참고하였습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314082

이 싸이트에 가시면 마소의 설명이 있습니다.

덧말:역시 우분투는 편합니다.

질문 1에 대한 사견입니다.

여러 종류의 System을 다루다보면, 간혹 BIOS에 USB device를 booting시 사용하지 않게(disabled)설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GRUB화면에서 USB keyboard의 경우 인식을 못 하기 때문에, BIOS에서 USB device관련 메뉴를 enable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PS2라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위의 방법(혹은 다른 방법)을 통해 Windows XP를 GRUB에서 선택하셨다면 Booting이 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XP는 MCH나Southbridge가 바뀌지 않는 이상 재설치가 필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동일 board에서 HDD만 바꿔서 booting해본 경험도 있습니다.(순정XP는 아니었습니다.) 단순히 GRUB에서 선택되지 않는다고 OS를 재설치 하셔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마소의 설명 등 링크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XP를 다시 깔아야 하나 했는데…

아!
MCH나Southbridge가 뭔지 모르겠사오나 다시 깔지 않아도 될 가능성을 던져주셔서… 감사합니다! BIOS에서 USB 작동하게 설정 바꾸고 했더니 윈도XP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Error 12: Invalid device requested
Press any key to continue…

라고 나오면서, 아무 키나 누르면 다시 GRUB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유효하지 않은 장치를 요청한 12번 에러"의 뜻을 잘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기존에 쓰던 XP를 못쓴다는 것으로…

(그러고보니 유분투보다는 윈도 관련한 질문으로 보일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윈도의 문제도 우분투의 관점과 해킹으로 다시 접근하는 방법들을 찾는다는 의미가 있지 않나 싶고요… ;) )

XP는 복구를 하는 방법이 있긴해요. 몇 년 전에 썼던 방법인데

[quote:3hqfpe6r]
메인보드 바꾸면 보통 하드 포맷을 하고 윈도우를 다다시 설치할 것을 추천합니다. 저도 이거 추천합니다. 이렇게 하면 충돌이 생길 문제도 없겠고 간편(?) 하죠. 하지만 이미 설치했던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하고 데이타도 백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윈도우 XP 나 2000 의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하드 포맷을 안하고 메인보드를 바꾸는게 가능합니다.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윈도우 설치 CD가 있어야 가능한 방법입니다. 1. 혹 모르니 중요한 데이타는 백업. 이건 메인보드를 바꾸는게 아니어도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놔야겠죠. 2. 새로 설치할 메인보드로 SATA/RAID 등을 쓴다면 SATA/RAID 드라이버를 플로피에 저장해둬야 합니다. 이 드라이버는 메인보드에 따라온 CD 나 메인보드 회사의 홈페이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3. 메인보드를 교체합니다. 이때 CPU나 메모리등 다른 부품도 교체되는 경우가 있겠죠. 4. 윈도우 CD를 넣고 부팅을 해서 우선 BIOS 세팅을 합니다. 그런 다음에 윈도우 CD로 부팅을 합니다. 하드 드라이버로 부팅을 하면 안됩니다. 5. 우선 새로 설치하기를 선택하고 (엔터를 쳐야 함) 라이센스 계약 승낙을 합니다. SATA/RAID가 인식이 안될경우 F6를 누르고 2번에서 준비한 플로피를 넣어주면 됩니다. 그러고나면 윈도우가 설치가된 파티션을 수리(repair) 할 것인가 그것을 엎어버리고 설치를 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리(repair)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럼 윈도우가 설치가된 파티션이 수리가 진행되면서 새 메인보드에 맞는 시스템이 설치가 됩니다. 시스템이 다시한번 재부팅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CD로 부팅을 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6. 설치가 완료되서 재부팅이 되면 하드드라이브로 부팅을 해서 윈도우 서비스팩등 보안관련 패치를 다시 설치해줍니다. 하드 드라이버 조각모음도 해주는 센스를 더해주면 새로 포맷했던거와 큰 차이 없이 이미 설치되었던 프로그램과 데이타를 보전하면서 메인보드를 바꾸는게 가능해집니다.
[/quote:3hqfpe6r]

이렇게 하는거나 XP 새로 설치하는거나 시간은 비슷할거에요. 가능하면 새로 포맷하고 설치하는거 추천합니다.

그리고나서 우분투 설치CD로 부팅해서 LiveCD로 들어가서 grub을 복구해주면 우분투로 부팅이 가능해질테고, 우분투 들어갔으면 다시 grub에서 XP 잡아주면 되죠.

[quote="unnetworking":2tho5qjs]
아!
MCH나Southbridge가 뭔지 모르겠사오나 다시 깔지 않아도 될 가능성을 던져주셔서… 감사합니다! BIOS에서 USB 작동하게 설정 바꾸고 했더니 윈도XP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Error 12: Invalid device requested
Press any key to continue…

라고 나오면서, 아무 키나 누르면 다시 GRUB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유효하지 않은 장치를 요청한 12번 에러"의 뜻을 잘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기존에 쓰던 XP를 못쓴다는 것으로…
[/quote:2tho5qjs]

짐작입니다만… 아무래도 XP가 깔린 HDD를 GRUB이 잘못 인식하고 있나봅니다. GRUB설정에서 hd#(혹은 UUID)를 수정해주시고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뭐… 그래도 안된다면 정신건강을 위해 XP만 재설치 하시고 GRUB 복구를 하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참고로 MCH는 memory controller hub의 약어로 Main memory를 제어하는 northbridge를 의미합니다. AMD의 CPU와 Intel nehalem 계열 이상의 CPU들은 저런 MCH가 CPU안으로 들어갔지요. 그 전에는 Mainboard에 Mount되어 있었습니다. 9x5, X38(Bearlake), P45(Eaglelake) 등…
Southbridge는 PCI와 I/O 등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Intel의 ICH(Intel에선 Southbridge에서 ICH라고 명명하고 발전된 PCH도 있습니다.)가 좋은 예입니다. ICH9, ICH10 등등… 나머지 Vendor들은 아직도 Southbridge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적해주신대로,

[quote="ahavatar":1edqgmgr]GRUB설정에서 hd#(혹은 UUID)를 수정해주시고 해보심이 좋을 듯[/quote:1edqgmgr]
하여, 이래저래 수정을 해보았는데(grub/menu.lst 를 열어 윈도의 hd를 바꿔보면서), [quote="ahavatar":1edqgmgr]XP가 깔린 HDD를 GRUB이 잘못 인식[/quote:1edqgmgr] 하는 문제 이상인 모양입니다.

아무래도 슬슬 윈도XP를 다시 깔아야할 채비를…

MCH 등에 대해 설명해주신 것도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