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xp멀티부팅방법중

우선 파티션은 하나의 디스크를 c: d: 이렇게 나누어 쓰고 있었습니다.
따로 우분투 섩치 파티션은 없는 상태고요

usb에 우분투 설치파일을 넣고 usb부팅으로 우분투 설치 모드까지 들어가서

windows xp 를 안지우고 설치하는 걸 선택하면

파티션은 어떻게 나누어 지는건가요?

설치용량만 지정하라고 나오던데

윈도우와 우분투가 한 드라이브에 설치가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우분투가 윈도우와 충돌나는건 아닌지요.

설치할때 새로 파티션을 지정할려니 기존 파티션은 지워진다고 해서 다른건 선택을 못하겠더군요

우분투를 써볼려고 하니 파티션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

그런식으로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c: 혹은 d: 의 일부를 쪼개서 설치하지 않을까요
우분투와 윈도우는 각각 ext와 ntfs의 포맷을 사용합니다.

아래글을 보면 우분투 설치과정에서 실수로 윈도우가 사라진듯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새로 원하는 시스템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이 하겠습니다…

먼저 xp를 설치 합니다… 설치 중간 윈도우를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파티션) 부분에서 미리 우분투(리눅스)를 설치할 파티션를 마련합니다.

다시 말해 현 c 든 d 드라이브든 선택해서 또다시 둘로 나누던 전부 삭제하고 처음부터 윈도우 설치 파티션 우분투 설치 파티션 자료보관용 파티션를

만들던 편하것으로 하시고 결국은 우분투가 들어갈 파티션을 추가 한다는게 목적입니다…포멧은 생략합니다.

이럴때 저같은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우분투가 들어갈 자리를 만듭니다…우분투에 자료를 보관할 일이 없으니 작게 파티션을 잡아도

될 듯 싶구요

윈도우xp 설치를 마쳤으면 우분투로 갑니다. 그리고 원하시는 부분만 설명합니다.

설치과정 중 파티션 지정부분이 나오는데 여기서 [u:mh20nm5y]수동, 사용자(고급)로[/u:mh20nm5y] 합니다…

윈도우 설치시 만들어 놓은 파티션 중 우분투가 자라할 파티션을 선택 후 스왑(컴 메모리에 1내지 2배) 을 새로 지정(추가)합니다…

크기를 먼저 지정하고 형식에서 스왑을 선택하는 순서가 되겠죠…그러면 지정한 스왑크기만큼 파티션 용량이 조금 줄어 듭니다…

이제 남은 용량 전부 사용합니다. 형식은 "ext4" 마운트는 " / " 로 지정하고 포멧부분 체크 합니다. 그리고 다음…

요기까지만 진행하면 나머지는 묻는데로 하시고…설치만 끝내시면 멀티부팅은 자동입니다.

두 os를 설치하고 업데이트 및 필요한 유틸 등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완성만 되면 다음부터는 자유롭게 우분투(리눅스) 설치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파티션은 512바이트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그냥 구획을 나누는 것입니다.
디스크내에 시작위치,끝위치를 적어두는 것이죠.
디스크안의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없기에, 구획을 일정한 구분자로 설정하기도 힘들고, 속도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시작부분에 아예 그런 것을 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기본파티션(Primary Partition)은 4개까지 설정이 가능하지만, 확장파티션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그 안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지정하여 공간을 많이 나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논리파티션(Logical Partition)입니다.

디스크를 나눠서 식별하는 것이기에, 이것이 엉키면 데이터는 그대로 있더라도 구획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여,
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게 됩니다.
그러니까, 미리 파티션관리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이동,백업하신 후, 설치에 사용될 공간을 마련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즈7을 설치할 경우에도, 설치 전에 미리 파티션을 나눠 놓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티션을 설정하실 때에는 스왑파티션(최대절전 모드나 메모리 상태를 백업하기 위해 사용됨)을 메모리 용량의 1.5에서 2배 정도 설정하셔야
메모리의 내용을 모두 저장할 수 있겠지요? 또한 그러고도 프로그램이 동작할 메모리 공간을 생각하신다면 1.5배이상이 좋습니다.
물론 메모리 용량이 크고,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왑공간을 만들지 않아도 되지만, 만의 하나 메모리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시스템이 멈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는 /(루트파티션=시스템파티션)을 나머지로 다 잡으시던가,
/파티션과 /home파티션으로 나눠서 잡으시면 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문제 발생시 복구에 훨씬 도움이 됩니다.
/파티션은 20-30G 정도로 하시고, 나머지는 /home파티션, swap파티션은 메모리의 1.5배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어떤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지우고, 재설치 하시던 간에, 먼저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미리 파티션을 나누시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즈에서 하셔도 되고, 우분투 부팅시디나 USB로 사용해보기로 들어가서 gparted로 파티션을 나누셔도 됩니다.

[quote="meteo":24we6mdy]아래글을 보면 우분투 설치과정에서 실수로 윈도우가 사라진듯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새로 원하는 시스템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이 하겠습니다…

먼저 xp를 설치 합니다… 설치 중간 윈도우를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파티션) 부분에서 미리 우분투(리눅스)를 설치할 파티션를 마련합니다.

다시 말해 현 c 든 d 드라이브든 선택해서 또다시 둘로 나누던 전부 삭제하고 처음부터 윈도우 설치 파티션 우분투 설치 파티션 자료보관용 파티션를

만들던 편하것으로 하시고 결국은 우분투가 들어갈 파티션을 추가 한다는게 목적입니다…포멧은 생략합니다.

이럴때 저같은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우분투가 들어갈 자리를 만듭니다…우분투에 자료를 보관할 일이 없으니 작게 파티션을 잡아도

될 듯 싶구요

윈도우xp 설치를 마쳤으면 우분투로 갑니다. 그리고 원하시는 부분만 설명합니다.

설치과정 중 파티션 지정부분이 나오는데 여기서 [u:24we6mdy]수동, 사용자(고급)로[/u:24we6mdy] 합니다…

윈도우 설치시 만들어 놓은 파티션 중 우분투가 자라할 파티션을 선택 후 스왑(컴 메모리에 1내지 2배) 을 새로 지정(추가)합니다…

크기를 먼저 지정하고 형식에서 스왑을 선택하는 순서가 되겠죠…그러면 지정한 스왑크기만큼 파티션 용량이 조금 줄어 듭니다…

이제 남은 용량 전부 사용합니다. 형식은 "ext4" 마운트는 " / " 로 지정하고 포멧부분 체크 합니다. 그리고 다음…

요기까지만 진행하면 나머지는 묻는데로 하시고…설치만 끝내시면 멀티부팅은 자동입니다.

두 os를 설치하고 업데이트 및 필요한 유틸 등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완성만 되면 다음부터는 자유롭게 우분투(리눅스) 설치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quote:24we6m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