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m이 파이썬으로 갈아탔었군요.

http://www.zim-wiki.org/

최신버전은 웹서버기능까지 추가 되었어요.
원도우 버전도 파이썬버전으로 나오기는 했는데… 한글폴더 인식이 문제가 있는듯 하고…
dropbox 폴더 싱크로 사용중인데. 종종 싱크가 안되는 파일이 생기네요.
데스크탑 위키로 쓰기에는 가볍고 좋아서 쓰고 잇는데… 기능이 너무 심플한거랑 위에 문제만 해결 되면 좋을텐데 말이죠…
당분간은 그냥 써야겠네요.

이런 것도 있었군요. 전 tomboy를 쓰고 있었는데 이쪽이 더 쓸만해 보이네요.
사실 데스크톱 위키라는 것은 tomboy 외에는 몰랐는데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니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군요.
이를테면 http://rasm.ods.org/keepnote/ 이런 것도 있고…
KDE 쪽에선 이게 좋아보이네요. http://basket.kde.org

apt 저장소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CherryTree라는 것도 눈여겨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open.vitaminap.it/en/cherrytree.htm

얘는 표 작성, 프로그래밍 언어별 문법 자동 강조까지 됩니다. 윈도우즈용도 있고요.

…그러고 보니 이제 Zim, KeepNote, CherryTree 이 3개가 다 파이썬(더 정확히는 PyGTK+) 기반이군요.

현재 zim을 사용중인데 설치시 의존파일이 펄이 아니고 파이썬이더라구요.
이거 접해본지가 제법 되었는데, 우분투에서 다시 사용해보니 여전히 맘에 드네요.
개인위키는 톰보이 대신에 이게 그놈에 들어가면 어떨까 싶습니다.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모래시계가 안 나오는데,
유니티의 앱에서 실행하면 왼쪽 index 페인에서 제법 수초간이나 나오는 현상이 있더군요.

$ cat /usr/share/applications/zim.desktop
[Desktop Entry]
Exec=zim
[color=#FF0000:1ryhf8en]StartupNotify=true[/color:1ryhf8en]

$ zim

에버노트 리눅스 안 돼요 ㅠ_ㅠ
와인으로 힘들게 힘들게 설정 성공했지만 그래도 일부 폰트는 뭔가 못마땅 하고
그리고 잘 튕겨요 --
리눅스용 에버패드는… … 무언가 처음부터 버그 버그인듯?
닉스패드(네버패드)는 쓸만 하긴 한데… 그냥 너무 느리네요 -
-;;

그래도 윈도우상에서는 정말 괜춘한 프로그램인 것 같아요.
막강한 클리핑 기능과… 속도도 다운로드 프로그램으로 쓰면 글케 안 느려요.
얘넨 왜 오픈소스 os 용으로는 계획이 없다는건지 참… 맥꺼는 내주면서 뭐하러 차별하는 걸까… 어렵나? -_-?

에버노트에 질리고서야 톰보이에 눈 좀 돌려보니
간단하고 심플한게 생각 이상으로 맘에 드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구글의 킵노트와 연동된다면 서로간에 상부상조 하면서 정말 멋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알게 된
[b:2bij9309]Zim[/b:2bij9309]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note’로 검색해도 나오지 않으니 이런 리눅스 플그림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톰보이 검색하다가 짐이란거 알게 되서 깔았는데…

반했습니다 ㅠ_ㅠ
가장 마음에 들어요!!!

그냥 첨부터 txt로 저장이 됩니다. (이거 정말 짱짱맨이네요 ㅠ_ㅠ 아주 마음에 들어요.)

HTML 내보내기도 마음에 듭니다.
인덱스 버튼. 앞 문서 보기 버튼. 뒷 문서 보기 버튼이 달려 있어요.
물론 인덱스 html도 폴더 트리 구조에 맞게 링크가 달려 있구요. (에버노트의 html 내보내기는 태그랑 폴더트리 쏵 무시하고 한 화면에만 무질서하게 정렬해 놓는다죠…)

클리핑 기능은 없어요. 에버노트 처럼 웹페이지에서 그림을 따로 png로 캡쳐해서 붙여넣어 주고 그런거 없어요.
그래도 그림추가는 됩니다. 간단히 경로주소만 txt에 추가 되는 건데, 인터넷은 안 되지만 내 컴퓨터 이미지는 짐 내에서 그림도 보여줘요. (탐색기에서 드래그앤드롭으로)
그림을 노트북 내 폴더에 넣어 놓으면 … 경로로 가니까, html 내보내기 후 이미지 폴더도 수동으로 같이 복사해 주면, html에서도 이미지가 보여요.

그리고 톰보이 따라 했는지 드래그 앤 드롭으로 노트연결도 되네요 ㅋㅋ 톰보이처럼 단어 작성만으로 연결링크가 뜨지는 않지만요.

결정했습니다 ㅋㅋㅋ
에버노트를 버리고 Zim으로 갈아타야 겠어요 :slight_smile:
드롭박스로 지정 폴더를 동기화 시켜주면 다른 데서도 쓸 수 있겠죠…???

아. 근데 html 전체 내보내기 하기 전에 한 번 프로그램 재시작을 해 주지 않으면 최근 편집한 일부 노트는 제대로 표시가 안 되데요. 버그.

아참.
keepnote란 것도 쓸만해요. 2011년산인데도 불구하고 아주 괜찮아요. 원래는 에버노트에서 킵노트로 이사갈 생각이었다죠.
html 내보내기가 짐 못지 않구요. (폴더트리 그대로 가져오고 좌측 메뉴판이 있는 2화면의 간단한 레이아웃 구성이지만 에버노트의 html 내보내기 생각하면…)
그리고 얘는 무엇보다 어느정도 클리핑이 가능합니다. 다만 약간 부족한 클리핑인게…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일부 이미지는 클리핑이 안 되더라구요. 어떠한 경로차인지는…

레드북하고 체리트리도 깔아봤는데 이것들은 제가 원하는 기능은 없었구요.

방금 바스켓 노트 패드도 깔아 봤는데 얘도 진짜 짱짱짱맨~~~~
html 내보내기가 극강이에요. 메뉴판이 프로그램하고 똑같아요.
단점은 윈도우용이 없어서 동기화로 다른 데서 공유하는게 불가능하다는 건데… html 만들어서 공유하는 것 외엔 안 된다는 건데…
그리고 에디터는 가장 막강한데… 클리핑 기능은 가장 안 좋은듯 -_-;
그래도 너무 멋있어서…
아… 맛있는 반찬이 너무 많다.

이전에 데스크탑에서 써볼만한 '위키’가 무엇이 있을까 하고 이래저래 찾다가 TOMBOY로 굳히게 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에버노트를 썼구요. 남의 써버에 제 개인적인 자료들이 차곡 차곡 쌓이는 것을 보니 별로 기분이 좋지 않아 옮기게 되었습니다.

에버노트를 쓰려다가 톰보이를 쓰려니 '모바일’상에서 메모를 열어보고 수정할 수가 없어 고민하다가…

톰보이 xml파일을 웹상에서 열고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게 해봤었습니다.

[url:1sh8uatz]http://ubuntu-kr.org/viewtopic.php?f=4&t=23407[/url:1sh8uatz]

에버노트 서버를 빌려쓰지 않기 때문에 타 서버에서 생기는 문제가 저에게 미칠 이유가 없어져서 나름 만족스럽습니다.

지금은 메일서버와 연동을 해서, 메일로 제목과 쪽지 내용을 적어서 보내면 톰보이 쪽지에 알아서 추가가 됩니다.

앞으로는 메일을 보낼 때 사진을 첨부하면 사진을 서버 한켠에 함께 저장하면서 사진 링크를 열어볼 수 있도록 해보려 합니다.

필요한 도구를 만들어 써보니, 굳이 기능때문에 갈아탈 필요 없어 좋습니다.

Zim이 잘 쓰던 프로그램인데 언제 한글화가 되었는지, 오픈소스에 혜택을 받이면서 감사할 뿐입니다.
유용하게 쓰던 프로그램들이 나모 모르게 한글화가 되어 있이서 이게 언제 한글화가 되었는지 원래부터 한글이었는지 저도 헷갈리곤 합니다.
그리고 업데이트가 중단된줄 알았는데 오는 확인해 보니 ppa 저장소도 있고 (ppa:jaap.karssenberg/zim) 0.72 최신버젼 deb 설치파일이 홈피에 있더군요. 윈도우용도 0.71이 나왔구요.

요놈의 장점은 기본포멧이 txt라는 그 자체와 함께 드롭박스를 이용한 동기화도 가능하다는 거지요. (다만 편집은 ^^;)
또 하나, 아무튼 html 내보내기를 통하여 html 서식을 Default 대신에 ZeroFiveEight를 선택하면 txt 메모 위키가 제법 만족스럽게 깔끔한 위키 홈페이지로 탈바꿈하여 만들어 지더군요.
그림파일을 메모에 넣으면 노트폴더 내이면 상대경로 (…/…)으로 인식하고 TXT에는 [IMG]경로로 저장됩니다.
근데 작은상자님이 웹서버 기능도 추가되었다고 하신 말씀은 무슨 다른 기능이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쓸만한 프로그램이라 사용을 권해드립니다.

http://luckyyowu.tistory.com/161

저도 Zim을 DropBox로 동기화해서 4개 정도의 PC에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점은, 동기화가 명백하게 지원되는게 아니라서 Zim 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쪽의 변경분이 들어오게 되면 약간 꼬여요…

동기화를 본격 지원하는 노트는 없나 모르겠네요.
Tomboy는 제가 사용하는 목적에는 좀 불편하더라구요.

insync 이 유료 군요 --
grive 를 설치하니 터미널에서 구글드라이브와 연동이 되긴 하는데…
동기화 파일이 많고 복잡하면 에러가 나는 것 같습니다.
드롭박스가 젤 좋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