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서버 10.04 에 레드마인 설치하기

이전에 다니던 회사에서는 ‘맨티스’ 로 이슈관리를 했었고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할 때는 네이버 개발자센터를 애용했는데
레드마인이 너무 좋다고 지인이 극찬을 하길래 갈아타볼까 싶어 깔아봤습니다.

레드마인 홈페이지는 여기고

http://www.redmine.org

한 달 정도 써보니 정말 추천할만 합니다. 가려웠던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네요.
처음에는 Synology의 NAS에 올렸었는데 속도가 많이 느리더라구요.
빈 컴퓨터를 구해 우분투를 깔고 설치했더니 말 그대로 날아다닙니다.
나중에 까먹을까봐 설치과정을 블로그에 정리 해 봤습니다.

http://oranke.tistory.com/171

인터넷에 1.x 버전이 한글에 문제가 있다는 글이 많아서 지례 겁먹고 0.9.5를 올렸었는데
오늘 1.1.3 으로 갈아타니 별다른 문제 없이 잘 동작하네요. 업글과정도 함께 정리 해 두었습니다. ^^;

좋은 이슈 관리 redmind 소개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굳이 컴파일 설치가 필요한거 아닐 것입니다.
우분투는 이미 패키지화 되어 있는게 너무 많은데 … 저도 컴파일 좋아하지만 보통 우분투는 자체 가진 패키지 설치가 좋은 듯합니다.
즉 컴파일 설치 전엔 전 우분투에 있나 검색해보자 인데…
[b:26sgoq1o]sudo apt-get install redmind [/b:26sgoq1o]
물론 최신 redmind를 사용해야 한다면 다르겠지만요 ;)

http://packages.ubuntu.com/search?suite ... ds=Redmine

우분투 서버 사용의 편의성 중 가장 제가 강조 하는게 "원샷 원킬" 입니다…(설치하면 바로 쓴다.= 삽질 금지)

또한 상위 버전 컴파일 설치라도 deb 패키지 만들어 사용이 좋을 듯합니다.
참고

[code:26sgoq1o]패키지 업 리빌드 법(강분도)
작업 디렉토리를 만들고 들어간다.
apt-get source pkgname
sudo apt-get build-deps pkgname
최신 소스를 가져와 푼다.
apt-get source 로 받은 pkgname의 디렉에서 debian디렉을 최신소스로 복사한다.
./debian/changeslog (수정)
./debian/rules build 로 잘 빌드 되는지 확인한다.
잘되면 fakeroot ./debian/rules binary 로 패키지를 만든다.
[/code:26sgoq1o] deb 패키지의 편리성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아~ 분도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옛 말 그대로 뻘삽질을 했네요~~ ^^:

deb 패키지 작성법 소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는 삽질을 해도 영양가 있는 삽질을 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