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중인 파티션에 1G의 빈 파일을 만든 후 그것을 스왑 파티션으로 포맷한 뒤 swap으로 쓰는 방식입니다.
virtualbox의 가상 하드 디스크처럼 가상 스왑 디스크를 만든다고 이해하면 조금 이해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list:2466ynre][code:2466ynre] dd if=/dev/zero of=/media/tmp_swap bs=1M count=1024[/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1. dd를 사용해서 /dev/zero를 읽은 값을 /media/tmp_swap 파일을 생성하고 이곳에 1M씩 1024번 읽은 값을 저장합니다.
/dev/zero는 0만을 무한정 돌려주므로 내용이 없이 0으로 채워진 빈 파일을 1M씩 1024번, 즉 1G만큼 기록합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list:2466ynre][code:2466ynre]mkswap /media/tmp_swap[/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2. /media/tmp_swap 파일을 linux swap 형태의 파티션으로 포맷 시킵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list:2466ynre][code:2466ynre]swapon /media/tmp_swap[/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3. 최종적으로 위에서 만든 swap 파일을 swap으로 사용하게 합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다만, 이 경우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파티션을 나눈것에 비해 조금 느리게 동작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재설치나 파티션 조정이 힘든 상황인 경우에만 이런 방법을 추천 드립니다.
note: swapon의 경우 부팅시마다 자동으로 되는게 아니므로 부팅시마다 이를 적용시키려면 /etc/fstab 파일에 추가로 swap을 사용하게 적으면 됩니다.
UUID=330d5e3e-59ce-418e-b9ed-2fa639ce144c none swap sw 0 0[/code:175di03q]
여기에 UUID로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파일 위치와 이름 적어도 상관 없나요?[/quote:175di03q][/quote:175di03q]
UUID로 할당하는 이유는 다른 OS나 배포판 등에서 마운트 혹은 부팅이 쉽게 관리되게 하는 용도이므로 /dev/sdX(a,b,c,d…), 혹은 /dev/hdX(a,b,c,d…)와 같은 물리 하드디스크에만 할당되는 편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quote="oppor":34t8xe4b]위의 스냅샷에 있는 터미널은 이름이 뭔가요?
그놈 터미널은 아닌것 같은데…
그놈 터미널에서도 위의 스냅샷 처럼 빨간색, 파란색으로 표현되게 할수 있을까요?[/quote:34t8xe4b]
그렇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사용할 때 구분이 쉽게 되서 편리합니다.
[url=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9&t=1573:34t8xe4b]터미널을 사용합시다 ! - 프롬프트를 바꾸어 보세요 1/2[/url:34t8xe4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