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10.10 데탑 하드분할 자동으로 하고 깔았는데, 스왑이 95메가네요

안녕하세요.
질문좀 드립니다.
옛날에는 안그랬던거같은데,… 9.04대 까지만해도, 하드 자동으로 나눠서 하라고 하면…
보통 메모리 두배용량이나 2기가가 넘어갈경우 2기가 정도로 지정되었던것 같은데요.

며칠전에 10.10을 넷북에 깔았습니다.
그냥 이리저리 뒤져보다가, 하드디스크 사용내역을 보게됐는데,
스왑영역이 94메가정도로 뜨네요…
제 메모리는 2기가에, 하드 160기가입니다.

보통 강의 필기하고, 영화나 인터넷 음악… 그리고 절전모드로해서 강의실 이동하거나 그럽니다…
절전모드하면 스왑영역이 많이 든다는 글도 언뜻봤는데요…
제 평소 사용에 영향을 미칠까요?

:lol:

파티션 싸이즈가 95메가 잡히진 않을텐데 잘 확인해보세요 터미널에서 free명령치면 나올거에요.

swap: 93180 이면… 93메가 맞지 않나요?

직접 파티션 나누는거, 버튼몇개가 귀찮아서 그냥 대충넘어갔는데… 이렇게 됐네요 ㅠㅠ

영향을 미칠까요??

hibernate기능에 문제가 생길 것 같습니다. :?
보통 자동 설정에는 저런게 안잡히던데 좀 이상하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hibernate는 [b:2ei395ti]최대절전모드[/b:2ei395ti]맞죠?
(열어 놓았던 작업내용이 메모리에서 하드로 이동 저장되며,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

음… 지금까지 한 네댓번 했던것같은데요…

최대절전모드할때,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는 프로그램들을 켠 상태에서 하면 문제가 생길수도 있겠군요?
100메가를 넘게 먹는 상황이라면…??

음 근데, 이건 내용이 누적되거나 그러진 않나요? 누적만 안되면, 지금까지로 봐서 그냥 무난하게 넘어가도 될듯해서요… :lol:

감사합니다.

뭔가 잘못 설치된거 같아요 다시 설치하심이 오토로 해서 자꾸 반복되면 수동으로 파티션 잡아주세요 설치 프로그램 버그 같네요

다시 설치하거나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면…

[attachment=0:2466ynre]스냅샷110.png[/attachment:2466ynre]

이렇게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

현재 사용중인 파티션에 1G의 빈 파일을 만든 후 그것을 스왑 파티션으로 포맷한 뒤 swap으로 쓰는 방식입니다.

virtualbox의 가상 하드 디스크처럼 가상 스왑 디스크를 만든다고 이해하면 조금 이해가 쉽지 않을까 합니다.

[list:2466ynre][code:2466ynre] dd if=/dev/zero of=/media/tmp_swap bs=1M count=1024[/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1. dd를 사용해서 /dev/zero를 읽은 값을 /media/tmp_swap 파일을 생성하고 이곳에 1M씩 1024번 읽은 값을 저장합니다.
/dev/zero는 0만을 무한정 돌려주므로 내용이 없이 0으로 채워진 빈 파일을 1M씩 1024번, 즉 1G만큼 기록합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list:2466ynre][code:2466ynre]mkswap /media/tmp_swap[/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2. /media/tmp_swap 파일을 linux swap 형태의 파티션으로 포맷 시킵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list:2466ynre][code:2466ynre]swapon /media/tmp_swap[/code:2466ynre]
[i:2466ynre][color=#888888:2466ynre]3. 최종적으로 위에서 만든 swap 파일을 swap으로 사용하게 합니다.[/color:2466ynre][/i:2466ynre] [/list:u:2466ynre]

다만, 이 경우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파티션을 나눈것에 비해 조금 느리게 동작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재설치나 파티션 조정이 힘든 상황인 경우에만 이런 방법을 추천 드립니다.

note: swapon의 경우 부팅시마다 자동으로 되는게 아니므로 부팅시마다 이를 적용시키려면 /etc/fstab 파일에 추가로 swap을 사용하게 적으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fstab 파일이

/dev/sda2 /boot ext2 defaults 0 0
/dev/sda3 / ext4 defaults 0 1
/dev/sda4 swap swap defaults 0 0

이렇게 있을때, fstab 파일 내의 빈줄에

/media/tmp_swap swap swap defaults 0 0

을 적어두면 됩니다. :)

note2: 스왑 파일은 아시다시피 메모리가 충분한 상황에서는 크게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반대로 최대 절전시에는 스왑 파일은 현재 메모리에 쓰여있는 모든 바이트값(빈 내용까지) 자체를 복사하게 됩니다.

[s:2466ynre]메모리 용량에 비해 스왑 파일의 크기가 작은 경우 최대 절전 모드로 동작 할때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스왑 파일에 쓰는 도중에 용량 부족으로 멈춰버리는 상황이 발생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s:2466ynre]

죄송합니다. 이미 해결된 버그였습니다. 혼란 드린것 같아 죄송합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스왑용량을 추가하는건 궁금했던건데, 하하… 감사합니다. :P

그나마도 넷북인데, 조금 느린감이 생긴다면, 재설치를 하는쪽으로 해야겠네요~

:D

[quote="Cedna":2fkke8v9]다만, 이 경우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파티션을 나눈것에 비해 조금 느리게 동작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재설치나 파티션 조정이 힘든 상황인 경우에만 이런 방법을 추천 드립니다.

note: swapon의 경우 부팅시마다 자동으로 되는게 아니므로 부팅시마다 이를 적용시키려면 /etc/fstab 파일에 추가로 swap을 사용하게 적으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fstab 파일이

/dev/sda2 /boot ext2 defaults 0 0
/dev/sda3 / ext4 defaults 0 1
/dev/sda4 swap swap defaults 0 0

이렇게 있을때, fstab 파일 내의 빈줄에

/media/tmp_swap swap swap defaults 0 0

을 적어두면 됩니다. :).[/quote:2fkke8v9]
윈도에서 pagefile.sys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면 성능은 어떤가요? 비슷한가요?

그리고 저는 GPT를 사용하는데요, 그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fstab이 조금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code:2fkke8v9]#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Use ‘blkid -o value -s UUID’ to print the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for a device; this may be used with UUID= as a more robust way to name

devices that works even if disks are added and removed. See fstab(5).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 nodev,noexec,nosuid 0 0

/ was on /dev/sda5 during installation

UUID=f223daa9-37cd-4f96-8a9a-d358745000ed / ext4 errors=remount-ro 0 1

swap was on /dev/sda4 during installation

UUID=330d5e3e-59ce-418e-b9ed-2fa639ce144c none swap sw 0 0[/code:2fkke8v9]
여기에 UUID로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파일 위치와 이름 적어도 상관 없나요?

[quote="jincreator":175di03q][quote="Cedna":175di03q]

[code:175di03q]#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Use ‘blkid -o value -s UUID’ to print the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for a device; this may be used with UUID= as a more robust way to name

devices that works even if disks are added and removed. See fstab(5).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 nodev,noexec,nosuid 0 0

/ was on /dev/sda5 during installation

UUID=f223daa9-37cd-4f96-8a9a-d358745000ed / ext4 errors=remount-ro 0 1

swap was on /dev/sda4 during installation

UUID=330d5e3e-59ce-418e-b9ed-2fa639ce144c none swap sw 0 0[/code:175di03q]
여기에 UUID로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파일 위치와 이름 적어도 상관 없나요?[/quote:175di03q][/quote:175di03q]

UUID로 할당하는 이유는 다른 OS나 배포판 등에서 마운트 혹은 부팅이 쉽게 관리되게 하는 용도이므로 /dev/sdX(a,b,c,d…), 혹은 /dev/hdX(a,b,c,d…)와 같은 물리 하드디스크에만 할당되는 편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때문에 이 경우는 이미 기존에 있던 swap 파티션의 설정을 끌어와서

[code:175di03q]/path/to/local_swap_file none swap sw 0 0[/code:175di03q]
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

[quote="Cedna":j01iahuu]다시 설치하거나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면…

[attachment=0:j01iahuu]스냅샷110.png[/attachment:j01iahuu]

[/quote:j01iahuu]

위의 스냅샷에 있는 터미널은 이름이 뭔가요?
그놈 터미널은 아닌것 같은데…
그놈 터미널에서도 위의 스냅샷 처럼 빨간색, 파란색으로 표현되게 할수 있을까요?

[quote="oppor":34t8xe4b]위의 스냅샷에 있는 터미널은 이름이 뭔가요?
그놈 터미널은 아닌것 같은데…
그놈 터미널에서도 위의 스냅샷 처럼 빨간색, 파란색으로 표현되게 할수 있을까요?[/quote:34t8xe4b]
그렇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사용할 때 구분이 쉽게 되서 편리합니다.
[url=http&#58;//www&#46;ubuntu&#46;or&#46;kr/viewtopic&#46;php?f=9&amp;t=1573:34t8xe4b]터미널을 사용합시다 ! - 프롬프트를 바꾸어 보세요 1/2[/url:34t8xe4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