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서버10.10 에서 adduesr 한후에 등록된 유저의 홈 디렉토리설정

처음 우분투10.10을 설치하여 웹서버및dns서버로 이용하고자 합니다.
우분투 10.10에서 adduser로 유저를 추가하였는데요.
유저가 FTP로 접속은 가능합니다.
파일 업로드및 다운로드는 FTP로 가능한데 올려진 파일을 웹상에서 볼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유저를 추가하면 /home/*user/public-html 의 방식대로 등록이 됩니다.

등록된 폴더의 내용을 웹상에서 바로 보여지게 설정하고자 합니다.

예를들어 mydomain.com을 입력하면 /home/*user/public-html로 가서 index.html을 보여줘야 합니다.

아파치에서 도메인을 가상 호스트 설정 해주면 됩니다.
/home/user/public_html 를 DocumentRoot로 잡아 주면 되는데
예를 들자면

[code:1q2qjoo2]<VirtualHost *:80>
ServerName ubuntu.or.kr
ServerAlias www.ubuntu.or.kr
ServerAdmin admin@ubuntu.or.kr
DocumentRoot /home/ubuntu/public_html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Directory>
LogLevel warn
SetEnvIfNoCase Request_URI "&#46;(gif|ico|jpg|png|css|js|java)$" do_not_log
ErrorLog /var/log/apache2/ubuntu-error.log
CustomLog /var/log/apache2/ubuntu-access.log combined env=!do_not_log
</VirtualHost>[/code:1q2qjoo2]
가상호스트 설정 파일은 /etc/apache2/sites-available 에 만들고 /etc/apache2/sites-enabled 심볼릭 링크 걸면
적용이 됩니다.

/etc/apache2/sites/available/에 domain.*을 만들고 /etc/apache2/sites-enabled에 새로 000-domain.*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다음 restart apache2하여야 하는지요.

[quote="gaja":23imewnm]/etc/apache2/sites/available/에 domain.*을 만들고 /etc/apache2/sites-enabled에 새로 000-domain.*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다음 restart apache2하여야 하는지요.[/quote:23imewnm] /etc/apache2/sites-enabled 에 따로 파일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가상호스트 설정이 실제 적용되는건 /etc/apache2/sites-enabled 에 있는 설정 파일 입니다.
그런데 우분투는 /etc/apache2/sites/available에 파일을 만들어 심볼릭 링크를 거는 식인데…꼭 지키지 않아도 되지만…

심볼릭 링크란 ln -s 명령으로 만드는건데 예를 든다면
sudo ln -s /etc/apache2/sites/available/ubuntu.or.kr /etc/apache2/sites-enabled/ubuntu.or.kr
와 같은 명령으로 만듭니다. 이유는 여러 도메인을 가상으로 적용할 경우 파일 이름을 보고 빨리 찾고 또 심볼릭 파일만 지우면 가상호스트 적용을 취소하는
그러한 설정법을 구사하는 구조 입니다.

강분도님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 질문에 대한 궁금한 점이 해결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