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정확하게는 루분투 14.04 설치 후 추가로 손질한 얘기입니다.
루분투를 선택한 이유는 메뉴 구성이 윈도와 제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써보니 그동안 써왔던 윈도와 달라서 몇 가지를 손질하였습니다.
-
<Control>Space로 되어 있는 ibus 입력기 전환에 한/영(Hangul) 키 추가.
-
숫자 패드를 윈도처럼 작동하게 바꾸려면 관리자 모드로 /etc/default/keyboard 파일을 열어 XKBOPTIONS="numpad:microsoft"로 바꿔줍니다. 루분투는 기본 텍스트 편집기가 leafpad입니다.
sudo leafpad /etc/default/keyboard
- 제 컴퓨터만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소리가 안 나서 다음 명령을 실행했습니다.
sudo apt-get remove --purge alsa-base pulseaudio
sudo apt-get install alsa-base pulseaudio
sudo alsa force-reload
- 기본으로 깔린 오피스 프로그램이 한글 지원이 잘 안 돼서 이를 지우고 OpenOffice를 깔았습니다. LibreOffice는 F1키를 누르거나 할 때 한글 입력이 풀리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먼저 www.openoffice.org에서 프로그램을 받아서 압축을 풀고 DEBS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sudo dpkg -i *.deb
다시 DEBS/desktop-integration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등록합니다.
sudo dpkg -i *.deb
- 컴퓨터 하나만 설치하고 이를 다른 컴퓨터로 복제하기 위해 Clonezilla를 활용했습니다.
Clonezilla는 USB 메모리 디스크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lonezilla가 실행된 파티션에 들어 있는 백업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USB 메모리를 여러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여러 파티션으로 나누어도 윈도에서는 첫째 파티션만 인식하고 합니다. gparted 프로그램으로 USB 메모리를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누고 첫번째 파티션에 Clonezilla를 설치하고 백업 이미지는 둘째 파티션에 넣었습니다. USB에 Clonezilla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는 tuxboot를 활용했습니다.
sudo apt-add-repository ppa:thomas.tsai/ubuntu-tuxboot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tuxboot
- 복제한 컴퓨터 이름을 서로 다르게 바꾸었습니다.
gksudo leafpad /etc/hostname
gksudo leafpad /etc/hosts
- 리눅스에서 파일 이름을 찾을 때는 앞뒤에 "*"를 붙여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지"를 찾으려면 "일지"로 입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