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64비트 설치에 따른 4기가 메모리 인식 방법 문의

질문전에 4기가를 인식하기 위해서 제가 걸어온 삽질의 길입니다.

  1. 32비트에서 커널을 SERVER 로 설치 => [b:3mi96l3p]3.2기가로 인식[/b:3mi96l3p]
  2. 64비트로 다시 설치 => [b:3mi96l3p]3.2기가로 인식[/b:3mi96l3p]
  3. 2에서 다시 커널을 SERVER로 설치 => [b:3mi96l3p]3.2기가로 인식[/b:3mi96l3p]
  4. 구글링 끝에[b:3mi96l3p] High memory support[/b:3mi96l3p]을 읽어보고 그 것을 설정하기 위해서 커널 재 컴파일을 하려고 하는데…
    해당하는 항목이 make xconfig에서 show all option에서는 나타나는데 선택할 수 없는 [b:3mi96l3p]비활성화 상태[/b:3mi96l3p]로 나타납니다.

[b:3mi96l3p]질문)[/b:3mi96l3p]
[color=#000080:3mi96l3p]64비트에서는 Generic에서도 4기가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고, 결국 그 것을 하기 위해서는
아마도 [u:3mi96l3p]High memory support 항목에서 64기가를 선택해서 재 컴파일해서 설치[/u:3mi96l3p]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럼 [b:3mi96l3p]어떻게 비활성화된 것을 선택[/b:3mi96l3p]할 수 있을지 질문을 드려봅니다. 또는 많은 분들이 커널 컴파일하는 방법의 정보는 올려주셨는데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질문 드리옵니다. 감사합니다.
[/color:3mi96l3p]
참조) 메인보드에서는 메모리를 4기가로 인식합니다. 또한 Vista 64비트에서도 4기가로 인식합니다.
즉, 메인보드 특성은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분투에서 일반적으로 4기가 램을 인식하기 위해서
서버 커널을 사용하거나 64비트 설치가 보편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국 관련 글에도 크게 안된다는 말이 없는거로 봐선 보편적인 방법같은데…
위에 다해보셔도 안된다니… 참 이상 합니다. :oops:
혹시 바이오스에 …
Advance - Chipset - Memory Remap Feature 같은 메뉴가 있다면 enable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커널 컴파일 경우… 선택 할 수 없는 이유는 권한 때문 일것 입니다.
gksu make xconfig

또는 제가 컴파일하는 방식인(menuconfig)
sudo -i 로 루트 변환 후 소스가 풀린 디렉에서
make menuconfig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