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9.10 글꼴문제좀 도와주세요

우분투가 맘에 들어서 쓰고는 있지만
9.4부터 썼고 9.10은 쓴지 얼마 안되었네요
아무튼, 글꼴관련해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제가 중국에 있다보니 중국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쓰게되는 일이 많은데
한국어로 부팅해서 한국어를 쓰면 아무 문제 없고
중국어로 부팅해서 중국어를 쓰면 역시 아무 문제 없지만
저는 한국어로 부팅해서 중국어와 함께 쓰고 싶은데
그러면 중국어가 제대로 안나오네요
그래서 검색해보니 글꼴관련 설정을 해줘야 하고 매치(match)도 해줘야 한다고 하는데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정리하면

  1. 한국어 우분투로 중국어와 한국어를 둘다 잘 썼으면 좋겠습니다
    인데 문제는
  2. 천둥새로 중국어 메일 읽을 때 메일 내용이 깨지고
  3. 불여우로 한국웹이나 중국웹 볼때 중국어 한국어 서로 약간씩 깨집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고수님들이 글 올리신거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다가
    gksu rm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이렇게 쓴거 같은데 아마도 위 파일을 지우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위파일이 없습니다
    약간은 총체적 난국인데
    좀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저도 다국어 설정에 관심이 많은데요.
직접 해 보지는 않았지만 포럼에 올라 온 글과 검색해서 찾은 참고 예시를 정리해 두었습니다.
제가 한다면 이 방식으로 한번 해 볼 생각이었습니다.

[quote:3hcl7so1]###중국어/일본어/한국어-표시 잘 되게 설정-http://61.72.254.234/~ubuntu/viewtopic.php?p=27969
ace4ker님의 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글꼴 매칭"에 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저 역시 이 문제로 질문을 올리기도 했었습니다.
그 때 답변으론 "기본설정으로 돌려라"라든지, "특정 글꼴을 써보라", "구슬체를 삭제하라" 등이었습니다.
그 때는 저도 그렇게 해결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마음에 드는 글꼴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더군요.

원하는 글꼴을 쓰면서 영어, 한자, 일본어 모두 문제 없이 보기 위해선
/etc/fonts/conf.avail 폴더의 69-language-selector-ko-kr.conf를 편집해야 합니다.
(모양새의 글꼴 설정은 기본설정 그대로 둡니다.)
Sans 형태의 글꼴 매칭에 한글 폰트, 중국어 간체 폰트, 중국어 번체 폰트, 일본어 폰트, 이 네가지를 모두다 입력하는 것입니다. 시스템 > 관리 > 언어 설정에서 일본어 중국어 체크하고 적용하여 폰트및 로케일를 설치하였다.
영어 폰트는 따로 매칭을 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 다음 Firefox 글꼴 설정에선 기본글꼴과 고딕체 글꼴만 원하는 한글폰트를 설정해 주시면,
왠만한 사이트는 문제 없이 볼 수가 있을겁니다.

[참고] 69-language-selector-ko-kr.conf 설정 예시-한자를 예쁘게 보이게 하기 위해 M$의 YaHei 글꼴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fontconfig>

<!-- Set preferred Korean fonts –>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08SeoulHangangL</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08SeoulNamsanL</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monospace</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NanumGothicCoding</string>
</edit>
</match>

</fontconfig>
[/quote:3hcl7so1]
순서는
1.시스템 > 기본설정 > 모양새의 글꼴 설정을 설치했을 때 기본 설정으로 둡니다.
저는 이미 바꿔서 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sans,sans-serif,monospace(고정폭) 세가지로 설정되어 있었던 것 같네요.
2.시스템 > 관리 > 언어 설정에서 중국어를 설치합니다.
언어가 설치될 때 폰트도 같이 설정되는 모양입니다.
3./etc/fonts/conf.avail 폴더의 69-language-selector-ko-kr.conf를 편집합니다.
[참고] 69-language-selector-ko-kr.conf 설정 예시에서 Microsoft YaHei 폰트를 넣었는데 그 부분에 원하는 중국어 폰트를 넣으면 될 것 같습니다.
넣고 싶은 폰트가 있으면 그 밑으로 다시 <string>넣고싶은 폰트</string> 로 추가 하는 방식일겁니다.
4.<추가/수정합니다.>설정 끝나면 $ fc-cache -r 명령어로 글꼴 설정 캐시를 다시 해줘야 하고 시스템 전체 적용은 재로긴 필요 하답니다.
그리고 gksu rm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이 명령어는 별 문제될 것 같진 않네요.
오히려 우분투 설치하자 마자 하는 작업인데요. 8-)
검색해 보셨겠지만 그 외 궁금하신 부분은 아래 글타래에서 충족되시리라 봅니다.
[url:3hcl7so1]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9&t=791&st=0&sk=t&sd=a[/url:3hcl7so1]

[quote:cha9cetz]firegiraffe[/quote:cha9cetz]
firefox(불여우)에 이어 firegiraffe(불기린)까지 등장했네요. ^^

아이디가 불현듯 제 눈에 꽂혀 답변도 아닌 댓글을 달게 되네요.
아이디 정말 멋있습니다. ;)

댓글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대로 해보긴 했는데 제가 잘 못해서 그러는지
문제는 여전하네요
알려주신대로 /etc/fonts/conf.avail 폴더의 69-language-selector-ko-kr.conf를 아래와 같이
수정했습니다
<!-- Set preferred Korean fonts –>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UnBatang</string>
<string>[color=#FF0000:1wqyk2av]WenQuanYi Bitmap Song[/color:1wqyk2av]</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UnDotum</string>
<string>Guseul</string>
<string>[color=#FF0000:1wqyk2av]WenQuanYi Bitmap Song[/color:1wqyk2av]</string>

빨간색을 추가하고
fc-cache -r로 글꼴캐시 갱신하고(무언지는 잘모르겠지만)
(아마도 fc-cachr -r은 오타인 듯 싶네요)
그리고 위에 추가 된 글꼴은
69-language-selector-zh-sg.conf에서 따왔습니다
무엇이 잘 못된 걸까요?

덧붙이는 말:
firegiraffe는 한 10년전 부터 사용을 해온 아이디 입니다 ㅎㅎ

덕분에…한번 시도해 봤습니다.
저는 9.10인데 ibus나 nabi를 쓰지 않고 scim을 사용합니다.
언어설정의 중국어 설치는 ibus로 되나 봅니다.
scim은 잘 몰라서 scim-chewing, scim-pinyin을 설치해 봤습니다.

fc-cachr -r 는 오타네요. 복사해 붙여넣기 했는데요. 8-)
fc-cache -r 입니다. 수정해 놓겠습니다.
처음 내용 그대로 가능하면 따라했습니다.

결국은 한자를 지원하는 글꼴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firegiraffe님이 힌트를 주셨는데 WenQuanYi Bitmap Song 이것이 적절한 글꼴인 것 같아요.
그런데 이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xfonts-wqy 로 검색하시고 설치하세요.
그리고 저는 혹시나 해서 69-language-selector-ko-kr.conf 에서
<string>WenQuanYi Bitmap Song</string>을 2순위나 3순위가 아닌 1순위에 설정했습니다.
저장하시고 fc-cache -r 하시면 됩니다.
제가 확인한 사이트에서는 한글 위에 점 찍힌 문자는 더 이상 나오지 않더군요.

firegiraffe님도 잘 되길 바랍니다.
직접 해 보니 어렵군요.

저도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중국어 입력은 어떻게 합니까? 8-)

[quote="akuna":hgfai4gz]중국어 입력은 어떻게 합니까? 8-)[/quote:hgfai4gz] 이건 제가 답변할 수 있겠네요.
제가 상해에 살아서 중국인들이 중국어 입력하는 것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pinyin 으로 중국어를 입력합니다. (우리가 한자 입력하는 방식과 거의 흡사합니다. 추천 글자가 뜨면 번호로 선택하는 방식 ^^)
예를 들면, 你好 를 입력하고 싶으면 ni 를 치고 你 를 번호로 선택하고 hao 를 치고 好 를 선택하고…
자주쓰는 문장이나 단어는 다 입력하고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nihao 치고 你好 를 선택하는 식으로 ^^

[quote="하노스":3pqa2bmu][quote="akuna":3pqa2bmu]중국어 입력은 어떻게 합니까? 8-)[/quote:3pqa2bmu] 이건 제가 답변할 수 있겠네요.
제가 상해에 살아서 중국인들이 중국어 입력하는 것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pinyin 으로 중국어를 입력합니다. (우리가 한자 입력하는 방식과 거의 흡사합니다. 추천 글자가 뜨면 번호로 선택하는 방식 ^^)
예를 들면, 你好 를 입력하고 싶으면 ni 를 치고 你 를 번호로 선택하고 hao 를 치고 好 를 선택하고…
자주쓰는 문장이나 단어는 다 입력하고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nihao 치고 你好 를 선택하는 식으로 ^^[/quote:3pqa2bmu]
하노스님…
scim에서 설정에서 중국어(간체)로 하고 pinyin으로 하는 방식 시험해 보니 잘 되는군요.
한글보다는 불편한 입력방식 같지만 그렇게 쓰고 있다는 걸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P

간체, 번체가 있고…
chewing은 번체 입력기라는데 이건 pinyin 방식과는 다르네요.
chewing 입력기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시험해보니 부수로 쓰는 듯한 한자만 입력됩니다.
번체는 대만인과 일부 화교들만 쓰는 것 같네요.

우선 akuna님 감사합니다
akuna님 말대로 맨위에 중국어 폰트를 넣으니(1순위)
불여우와 천둥새모두 중국어를 잘 표시합니다
물론, 사람욕심이 끝이없어서
약간의 문제점도 보이는데
중국어폰트를 1순위로 하니
숫자나 영문 역시 중국어폰트를 따라가는 건지
약간은 어색하지만
그전에 비하면 이건 문제도 아니죠
그리고 ibus에서도 중국어입력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chewing? 잘은 모르지만
우리나라의 세벌식과 비슷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누군가 개발은 해놨지만
일반사람들은 거의 쓰질 않는
일반 중국(북경,제가 있는 곳이 북경이니)사람들은
pinyin을 씁니다
그리고 번체같은 경우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접적 행정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서 쓴다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대만(국제적으로 국가라고 인정받고 있지는 못하지만), 홍콩(독립행정도시)등등
간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번체는 쓰고 읽기가 복잡하다고
만든 거라서 그렇습니다

아~ 1순위로 하니까 어색하더군요.
두번째로 해도 글꼴 표현은 상관없네요.
세번째 순위에 놓으면 안됩니다.
저는 나눔고딕을 좋아해서 첫번째에 설정했어요.

[quote:3pn3z3y8]<!-- Set preferred Korean fonts –>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NanumGothic</string>
<string>WenQuanYi Bitmap Song</string>
<string>UnBatang</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NanumGothic</string>
<string>WenQuanYi Bitmap Song</string>
<string>UnDotum</string>
<string>Guseul</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monospace</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NanumGothicCoding</string>
<string>UnDotum</string>
<string>Guseul</string>
</edit>
</match>[/quote:3pn3z3y8]
일단 모양새 글꼴 설정은 그 전에 되어 있었고 파이어폭스 글꼴 설정을 다시 했습니다.
파이어폭스 글꼴 설정이 상관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네요.
[attachment=2:3pn3z3y8]screenshot1.png[/attachment:3pn3z3y8]
[attachment=1:3pn3z3y8]screenshot2.png[/attachment:3pn3z3y8]
이 WenQuanYi Bitmap Song 글꼴도 완벽하지는 않은가 봅니다.
대부분은 잘 나오는데 표현 못하는 글자가 있나봐요.
[attachment=0:3pn3z3y8]screenshot4.png[/attachment:3pn3z3y8]
저도 알려드린 만큼 배웠네요. 즐거웠습니다.
객지에서 건강하게 지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