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부가 ActiveX 사용에 대해 손을 보려나요?

민간쪽에서는 넷마블이 12개로 액티브 X를 가장 많이 사용했고, KB국민은행 11개, 하나은행·옥션·한게임 각 10개, 디씨인사이드 5개, 노컷뉴스 5개 등이었다. 정부쪽에서는 청와대 방통위 등 중앙행정기관 대표 홈페이지 45개 중에서 38개(82%)가 액티브 X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기관별 사용 숫자는 공개하지 않았다.

행안부 정윤기 정보기반정책관은 “금년에는 액티브X 진단 및 대체기술 컨설팅을 더욱 강화하고 진단기관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통위와 행안부는 올해 안에 액티브X 기술대체와 웹 표준 기술 확산을 위해‘웹사이트 진단시스템’을 구축해 웹 개발자나 웹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기사 링크1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 … xno=101436
기사 링크2 : http://www.etnews.com/news/telecom/tele … _1435.html

뭐 올해 안에 ActiveX 기술 대체와 웹 ㅍ준 기술 확산을 위해 진단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방한다고 해도, 결국 서비스 주체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도루묵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말이 없네요.

자유로운 웹 환경으로 가는 길은 아직도 요원해 보입니다. 정부쪽에서 먼저 솔선수범해주었으면 하는 바램도 그냥 바램으로 끝날지도 모르겠네요

그나마 스마트폰의 보급에 힘입어 소셜 커머스 사이트들의 ActiveX 사용은 상당히 자제되는 편이니 그것만으로도 다행으로 알아야 하는 건가요.

다른건 모르겠고, 리눅스에서 카드결제가 가능한 날이 과연 올까요? 아마도 안올거라는…

[quote="taba":3fm5t7qi]다른건 모르겠고, 리눅스에서 카드결제가 가능한 날이 과연 올까요? 아마도 안올거라는…[/quote:3fm5t7qi]
인터넷 뱅킹도 되는데 카드 결재도 머지 않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액티브 엑스 결재수단이 생겨나는 것도 꽤 오랜 기간을 거쳤습니다.

대체기술로 금방은 전환되겠지만 검증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겠죠.

보안 쪽에 약장수가 너무 많아서 (먼산)

제 개인적으로는 엑티브엑스를 포기하고,

결재방법을 핸드폰으로 돌림으로서 리눅스로 넘어올수 있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방법은 조금 불편할수도 있지만 오히려 전 마음이 놓이네요.

OS 에 상주하는 인증키 자체가 없으니 쓰는데 있어서 부담도 없구요,

가끔 뭐 음악같은거 받아야 할때나 겨우 네이버 다운로드 돌리는 정도가 되버리고 마네요.

사실상 저에게 현재의 걸림돌은 '악보편집프로그램’이지만…^^;;;

그냥 썰이였습니다.

[quote="loscane":4izjh53r]제 개인적으로는 엑티브엑스를 포기하고,

결재방법을 핸드폰으로 돌림으로서 리눅스로 넘어올수 있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방법은 조금 불편할수도 있지만 오히려 전 마음이 놓이네요.[/quote:4izjh53r]

저도 아이폰에서 인터넷 뱅킹이 되면서부터 윈도우를 부담 없이 지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quote="antix666":3g1po7vt]
행안부 정윤기 정보기반정책관은 “금년에는 액티브X 진단 및 대체기술 컨설팅을 더욱 강화하고 진단기관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통위와 행안부는 올해 안에 액티브X 기술대체와 웹 표준 기술 확산을 위해‘웹사이트 진단시스템’을 구축해 웹 개발자나 웹서비스 제공자에게 개방할 계획이다.[/quote:3g1po7vt]
액티브X 대체기술과 웹 표준 기술은 양립할 수 없는 겁니다. 이 글은 쓴 기자 양반은 개념이 없어 보입니다. 액티브 X 대체기술이란 또다른 플러그인,즉 떡칠입니다. 이게 필요한 이유는 공인인증서 때문인데 이 놈의 공인인증서 없이 전자거래를 할 수 있는 대체 기술이 없는 이유가 ~

금융위와 금감원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같은 평가기관을 앞세워 매우 높은 수준의 공인인증서와 동등한 수준의 체제를 요구하며 매우 까다롭게 굴기 때문에 정작 심의 단계까지 올라온 대체 기술들은 없다네요 ! 요구하는 기술요건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거래내역의 부인방지’ 기능이라고 하는데 이 걸 맞출 수 있는 것은 현재의 공인인증서 체계이며 따라서 어쩔수 없이 플러인 방식의 전자서명 프로그램을 깔 수 밖에 없다는 군요 !

[quote="antix666":3g1po7vt]자유로운 웹 환경으로 가는 길은 아직도 요원해 보입니다. 정부쪽에서 먼저 솔선수범해주었으면 하는 바램도 그냥 바램으로 끝날지도 모르겠네요[/quote:3g1po7vt]

그런데, 최근 서울시가 웹표준을 지키는 wordpress 기반의 웹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하였죠. Active-X 뿐 만아니라 어떤 플러그인도 요구치 않아요. Pin으로 가입 하는경우도 웹표준인 ssl 보안으로 해결되는 것 같더군요. 개념있는 시장을 뽑았더니 개념있는 홈페이지가 나온거죠 ! 중앙정부 담당자는 개념이 없어 못하는 건지 ~ 아니면 재벌과 결탁한 모비아족처럼 플러그인 기술업체과 결탁한 IT 알박기족이 있어 안하는 건지 모를 일이죠 ? 개인적으로 후자에 한표 !

[quote="제이원":17eqas6e]
그런데, 최근 서울시가 웹표준을 지키는 wordpress 기반의 웹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하였죠. Active-X 뿐 만아니라 어떤 플러그인도 요구치 않아요. Pin으로 가입 하는경우도 웹표준인 ssl 보안으로 해결되는 것 같더군요. 개념있는 시장을 뽑았더니 개념있는 홈페이지가 나온거죠 ! 중앙정부 담당자는 개념이 없어 못하는 건지 ~ 아니면 재벌과 결탁한 모비아족처럼 플러그인 기술업체과 결탁한 IT 알박기족이 있어 안하는 건지 모를 일이죠 ? 개인적으로 후자에 한표 ![/quote:17eqas6e][/quote]

문제는 서울시장 바뀌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거죠.

아마 참여정부 시절에도 이런 이야기는 꽤 많이 나왔던거 같지만 아직도 였거든요.

개념있는 몇몇이 아무리 만들어놔도 후속 주자가 개념을 쌈싸먹은 사람이면 다시 뒷걸음질 치는 걸 너무 많이 봤으니까요.

중앙 정부에서야 뭐 강제가 아닌 가이드를 말하지만 결국 돈 문제로 들어가면,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홈페이지를 싹 갈아엎어버린다고 했을때 들어갈 비용 문제가 만만찮은 것 역시 사실이죠.

여기서 개념을 찾아야 할 건, 돈은 들어가는데 예산이 없어~~ 그러니 못해~! 라는 마인드가 아니라, 지금 못하면 앞으로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니 지금 해야해~~! 라는 마인드인데…

걱정스러운 건 이러다가 호미로 막을 걸 가래가 아니라 불도저나 포크레인으로 막아도 못 막을 사태가 올지도 모른다는거죠.

[quote="taba":3nhdsblv]다른건 모르겠고, 리눅스에서 카드결제가 가능한 날이 과연 올까요? 아마도 안올거라는…[/quote:3nhdsblv]

얼마전에 일본 라쿠텐 온라인에서 인터넷 쇼핑 했는데 카드결제가 생각외로 참 쉽더라구요…

우분투 11.10에서!!!

[quote="etoet":2h1uucbg][quote="taba":2h1uucbg]다른건 모르겠고, 리눅스에서 카드결제가 가능한 날이 과연 올까요? 아마도 안올거라는…[/quote:2h1uucbg]

얼마전에 일본 라쿠텐 온라인에서 인터넷 쇼핑 했는데 카드결제가 생각외로 참 쉽더라구요…

우분투 11.10에서!!![/quote:2h1uucbg]

그게 참…

왜 이런 환경으로 가야 하는 건지 참 이상해요.

쉬운 방법만 찾아 첫 단추 잘못 끼우면 결국 나중에 그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는 게 기정사실인데 특정 기업의 특정 기술의 독점 폐해란게 정말 무섭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