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가 잘 돌아가는 ati 그래픽카드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ATI 그래픽카드 중
다른 방법 필요없이, 독점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가속도 잘되고 쌩쌩 잘 돌아가는 모델이 있을까요?

집 PC의 ATI 라데온이 우분투 8.10에서 도통 안잡히길래
연구실에서 남아도는 지포스 하나 줏어다가 설치했었는데…

이 N당 VGA는 윈도우로 부팅했을 때
TV랑 연결하면 인식도 제대로 못하고(재부팅해야 인식 됨) 극장 모드도 안되는군요.
아… 윈도에서는 낡은 라데온이 훨씬 나았는데…

이번에 투잡으로 알바 뛰어서 번 돈으로 라데온을 새로 장만해볼까 생각 중인데…
윈도에서야 두말할 나위 없이 괜찮지만…
멀티부팅으로 사용하는 우분투에서도 잘 돌아가는 녀석으로 고르고 싶어서요.

최신 ATI는 잘 돌아 간다고 듣고 있습니다.
4XXX 시리즈 …

전에 X시리즈 부터 좀 된다 소리 들어 왔는데…
대표적으로 x1350 쓰던 라스콜린코프 이 친구부터
ATI가 사용상 큰 문제 없다는 소리 들어왔습니다.

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9&t=232

한빈군 이야기는 4800이 지포9800 정도 성능 된다는 데
그건 안 믿습니다.
한빈군 4800은 저의 지포 6800GT 수준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shock:
이하 부분은 현재 사용자가 더 이야기 해보십시오 …

HD 4670으로 우분투 9.10 베타에서 독점 드라이버로 문제 없이 잘 실행되고 있습니다~
가속은 어떤걸 말씀하시는지 잘 모르겠네요^^;

저는 ati 가 노트북에서 사용 중이라 경우가 좀 다를 수도 있겠네요.
radeon express 200m 시리즈인데
우분투8.04와 또 다른 버전의 우분투에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듯 했습니다.

덧 붙여서 …비디오 칩셋이 사양이 좀 낮은 감이 있지만
동영상 1.3기가 하나 짜리를 우분투와 윈도에서 아무 문제없이 재생합니다.
게임은 해보지 않아서 알 수 없네요.

*추가
노트북이니 당연 내장이지요.
위의 <또 다른 버전>은 넷북리믹스였습니다.

  • 아래의 서명은 현재와 맞지 않네요.

ATI 내장 그래픽 HD3300 사용자입니다.

ATI 드라이버가 예전보다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좀 힘듭니다.
제 HD3300에 FGLRX 드라이버 설치하고, 이중 모니터 설정하는데 많이 힘들었습니다.
이중 모니터에선 컴피즈 동작 잘 안되구요. 속도도 엄청 안나옵니다. glxgears 돌려보면 컴피즈 껐을 때, 1000fps, 컴피즈 켜면 200fps 정도 나옵니다. 그 나마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컴피즈 제대로 동작 안합니다.

컴피즈 끈 상태에서도 시도 때도 없이 갑자기 화면의 일부가 검게 변하곤 합니다. 그 때마다 수동으로 화면 갱신해 줘야 합니다.

어제 우분투 9.10 베타 업그레이드 했다가 지금 컴퓨터 먹통(원격 로그인은 가능)된 상태입니다.
오늘 저녁 퇴근 후에 다시 씨름할 생각하니, 벌써 가슴이 답답하군요.

ATI 독점 드라이버로 잘 쓰시고 계시다는 분들은 도대체 어떻게 쓰시는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집에 컴퓨터 한 대는 NVIDIA 그래픽이고, 회사 컴퓨터도 NVIDIA 그래픽인데, ATI 그래픽처럼 고생해 본적 없습니다.

이건 뭐, 그래픽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삽질의 연속이군요.

다음에 컴퓨터 바꿀 일 있으면 다시는 ATI 그래픽 안쓸려고 다짐하고 있습니다.

hd3200 로도 9.10 beta 드라이버 깔고 컴피즈도 잘되고 떡을 칩니다.

그래도 아직은 N 당 쓰시는게;;

Phoronix 포럼에 자주 가서 벤치도 많이 보지만.

아직은 N 당입니다;;

벤치 결과과 48xx 시리즈가 98xx 시리즈와 엇비슷하게 나오는데.

쩝…

제 그래픽 카드가 ATI 4830 인데, 잘 돌아갑니다.

리눅스로 게임 같은 걸 안해서, 가속 같은게 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잘 돌아갑니다.

위에 분들 중에, ATI 깔기 어렵다고 하셨는데,

전 리눅스 쓴지 1달 정도 되어 가는데,

깔때, 조금 고생했지만 서도, 쉽게 깐거 같습니다.

검색해보면, 까는 법 같은게 자세히 나와있답니다.

컴피즈 같은거 잘되고, 해상도도 문제 없고,
딱히, 그래픽카드를 많이 쓰는게 없으니, 잘 되는거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지금 9.10 베타에 fglrx-8.660 깔고, 불안정하나마 겨우 살려놓고 글 쓰고 있습니다.

싱글 모니터에서는 aticonfig --initial -f 로 잘 잡히네요.
화면 효과 "많음"으로 하고 glxgears 하니, 무려 4500fps나오네요. 이상한 것은 화면 효과 "없음"에서 2000 fps 나옵니다.
참고로 9.04에서는 화면 효과 "없음"에서 1000 fps, 화면 효과 "많음"으로 하면, 300 fps 정도 나왔었습니다.

문제는 제가 듀얼 모니터로 설정해서 쓰려고 하는데, 이게 잘 안됩니다.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니터 1 : LG1720P D-SUB 연결,
모니터 2 : 47LG90QD HDMI 연결
그런데, 9.10 깔기 전까진 우여곡절 끝에 겨우겨우 쓰고 있었는데(컴피즈만 돌리면 화면 이상해짐), 9.10으로 바꾸고 나니, 도무지 설정이 안됩니다.
aticonfig --initial=dual로 하면 모니터 1이 "지원 주파수 초과"로 먹통되고, RANR 기능 살리고, xorg.conf 편집해서 해보면 디폴트 모니터가 자꾸 모니터 2로 설정됩니다.

위에 잘 쓰고 계시다는 분들은 저와 같은 경험이 없으신지요?

전 9.9 버전인데, 잘 되네요.

fps 같은거 볼줄 몰라서, 그거는 잘 모르겠는데,

컴피즈 많이 해서 쓰고 있습니다.

작업공간이 15개 까지 되던데,

15개 다 켜고, 돌려도, 잘 돌아갑니다.

모니터는 싱글로 17 crt 쓰고 있습니다.

전 xorg.conf 파일은 1번 건드렸습니다.

각 섹션이 2개씩 있어서, 그것만 1개씩 지웠습니다.
(Monitor, Screen 그런게 2개씩 있길래요…)

RANR 이건 뭔지 모르겠네요. ㅠㅠ 초보라…

전 초보라, 뭐 건드는게 없어서, 그냥 잘되요… ㅎㅎ;;

싱글 모니터(모니터 한개)에서는 저 역시 설정에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계속 듀얼 모니터(모니터 두개)에서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글을 쓰는데에도 싱글 쓰시는 분들이 잘 된다고 댓글 다시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난감하네요. :roll:

brionz님은 그보다 [b:twp9scnv]내가 쓰는 그래픽카드는 ATI 어떤 칩[/b:twp9scnv]인데 카드가 얼마 짜리다. 정도 정보는 주셔야지요 ;)

[quote="misari":twp9scnv]계속 듀얼 모니터(모니터 두개)에서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글을 쓰는데에도 싱글 쓰시는 분들이 잘 된다고 댓글 다시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난감하네요. :roll:[/quote:twp9scnv] 그냥 잘되서 다행입니다. 정도로 넘어가 주세요
인생 머 그런거죠 :ugeek:

[quote="misari":twp9scnv]싱글 모니터에서는 aticonfig --initial -f 로 잘 잡히네요.
화면 효과 "많음"으로 하고 glxgears 하니, 무려 4500fps나오네요. 이상한 것은 화면 효과 "없음"에서 2000 fps 나옵니다.
참고로 9.04에서는 화면 효과 "없음"에서 1000 fps, 화면 효과 "많음"으로 하면, 300 fps 정도 나왔었습니다.[/quote:twp9scnv] 정말 반대로 수치가 나오는것이 신기 하군요 glxgears 수치 믿지 마십시요 전에 제가 쓴 글 [url=http&#58;//www&#46;ubuntu&#46;or&#46;kr/viewtopic&#46;php?p=11490#p11490:twp9scnv]수치놀음 쯤이야 머[/url:twp9scnv] 웃자는 링크 입니다.

[quote="misari":twp9scnv]문제는 제가 듀얼 모니터로 설정해서 쓰려고 하는데, 이게 잘 안됩니다.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니터 1 : LG1720P D-SUB 연결,
모니터 2 : 47LG90QD HDMI 연결
그런데, 9.10 깔기 전까진 우여곡절 끝에 겨우겨우 쓰고 있었는데(컴피즈만 돌리면 화면 이상해짐), 9.10으로 바꾸고 나니, 도무지 설정이 안됩니다.
aticonfig --initial=dual로 하면 모니터 1이 "지원 주파수 초과"로 먹통되고, RANR 기능 살리고, xorg.conf 편집해서 해보면 디폴트 모니터가 자꾸 모니터 2로 설정됩니다.[/quote:twp9scnv] 전 nvidia 인데 8.04 때 지난 설정 버렸고 9.04 때 또 지난 설정 버렸는데 이번에 9.10 에서 지난 설정 또 버리고
새로 했습니다. 9.10 은 로그인 창 변화 때문 인지 (2번째 모니터에서 로그인이 기본적으로 뜨려함) 새로 하고 nvidia 로그만 안나오게 해놓은 상태 입니다. /var/log/Xorg.0.log 를 살펴보니 기본적으로 컴피즈나 3d 가속에 필요한건 옵션 없이 다 로딩하더군요 중복으로 옵션 줄 필요 없는…
ati 는 사실 제가 xorg.conf 봐도 정확히 모릅니다. 듀얼로 했을 때 Xorg.0.log 살펴보시며 xorg.conf 설정 편집 해보시란 정도로 조언 합니다.
ATI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xorg.conf가 새 9.10의 xorg에 불필요한 옵션이 있는것이 아닌가 예상 해 봅니다.

완벽하게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그 동안 고생(?)한 경험을 토대로 다른 분들께 조그마한 도움이 되고자 올립니다.

  1. 사용 환경

[list:2sxrbrgr]그래픽 카드 : ATI HD 3300, 790GX 칩셋, 내장 그래픽(HDMI, DVI, D-SUB 단자가 있으나 HDMI와 DVI를 동시에 쓸 수 없음)
첫 번째 모니터(일반 모니터) : LG L1720P, 1280x1024, D-SUB 커넥터로 연결
두 번째 모니터(LCD TV) : LG 47LG90QD, 1920x1080, HDMI 커넥터로 연결
그래픽 드라이버 : CATALYST 9.10? ( 우분투 9.10에 포함되어 있음 fglrx 8.660 )
사용 목적 : 일반적으로 첫 번째 모니터를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두 번째 모니터를 확장하여 사용하고자 함.
[/list:u:2sxrbrgr]

단일 모니터 사용자의 경우, 다음 명령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quote:2sxrbrgr] $ sudo aticonfig –intial -f [/quote:2sxrbrgr]
2. aticonfig의 동작 특성

aticonfig 메뉴얼에 따르면 aticonfig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저와 같이 이중 화면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뜻대로 안되더군요.
일단, aticonfig 명령을 실행하면 /etc/X11/xorg.conf를 이용하여 /etc/ati/amdpcsdb 라는 파일을 만들거나 갱신합니다. fglrx 드라이버가 이 파일을 이용하여 그래픽 카드를 제어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aticonfig 명령을 여러 번 실행하면 amdpcsdb 파일이 복잡하게 엉키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또한 이 파일을 지우더라도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다시 생깁니다. 아마도 파일이 없을 때 재부팅하면 xorg.conf를 참조하여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가 판단됩니다.

  1. 이중 화면 구성

aticonfig 명령을 이용한 여러 차례의 실패로 득도(?)를 한 후, xorg.conf 파일을 수작업으로 작성하여 성공하였습니다. 단, 메뉴패널과 상태패널이 자꾸 두 번째 모니터로 표시되네요. 다음은 설정에 성공한 제 xorg.conf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만들어 준 후, /etc/ati/amdpcsdb 파일은 지웠습니다.

[code:2sxrbrgr]
Section "ServerLayout"
Identifier "Layout0"
Screen 0 "Screen0" 0 0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Option "VendorName" "LG Electronics"
Option "ModelName" "L1720P"
Option "DPMS" "true"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1"
Option "VendorName" "LG Electronics"
Option "ModelName" "47LG90QD"
Option "DPMS" "true"
Option "LeftOf" "Monitor0"
EndSection

Section "Device"
Identifier "Device0"
Driver "fglrx"
BusID "PCI:1:5:0"
Option "monitor-CRT1" "Monitor0" # 이 옵션으로 주, 보조 모니터 설정을 바꿀 수 있다고 하던데,
Option "monitor-DFP2" "Monitor1" # 실제로는 안되더군요.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Device0"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24
SubSection "Display"
Viewport 0 0
Depth 24
Virtual 3200 1080
EndSubSection
EndSection
[/code:2sxrbrgr]

요즘은 xorg.conf에 굳이 모듈이나 옵션을 지정해 주지 않아도 웬만한 것들은 알아서 올라가는군요.

TV로 출력을 내보내지 않을 때에는 xrandr 명령을 이용하여 TV쪽 출력을 죽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메뉴패널과 상태패널이 첫 번째 모니터로 돌아오더군요. TV쪽 출력을 살리면 다시 그 쪽으로 도망갑니다. :x

[code:2sxrbrgr]
$ xrandr --output DFP2 --auto --left-of CRT1 # 첫 번째 모니터(CRT1)의 왼쪽에 TV(DFP2)를 두어라.
$ xrandr --output DFP2 --off # TV(DFP2)를 꺼라. <- 이렇게 하면 패널들이 돌아옵니다.
[/code:2sxrbrgr]

참고 xrandr.log

[code:2sxrbrgr]
$ xrandr -q
Screen 0: minimum 320 x 200, current 3200 x 1080, maximum 3200 x 1080
DFP2 connected 1920x1080+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708mm x 398mm
1920x1080 60.0*+ 30.0 24.0
1776x1000 60.0 + 30.0
1680x1050 60.0 +
1400x1050 60.0
1280x1024 75.0 60.0
1440x900 59.9
1280x960 60.0
1152x864 60.0
1280x768 59.9
1280x720 60.0
1024x768 75.0 70.1 60.0
1152x648 60.0
1440x480 60.0
800x600 72.2 75.0 60.3 56.2
720x480 59.9
640x480 75.0 72.8 60.0
640x400 75.1 59.9
512x384 60.0 74.9
400x300 75.0 60.7
320x240 75.6 60.0
320x200 75.5 60.1
CRT1 connected 1280x1024+192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0mm x 0mm
1400x1050 60.0
1280x1024 60.0* 47.0 43.0
1440x900 59.9
1280x960 60.0
1152x864 60.0 47.0 43.0
1280x768 59.9
1280x720 60.0 50.0
1024x768 60.0 43.5
1152x648 60.0
1440x480 60.0
800x600 60.3 56.2 47.0
720x480 60.0
640x480 60.0
640x400 59.9
512x384 60.0
400x300 60.7
320x240 60.0
320x200 60.1
[/code:2sxrbrgr]

[quote="강분도":2waf0x6u]한빈군 이야기는 4800이 지포9800 정도 성능 된다는 데
그건 안 믿습니다.
한빈군 4800은 저의 지포 6800GT 수준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shock:
이하 부분은 현재 사용자가 더 이야기 해보십시오 …[/quote:2waf0x6u]

제가 지금 4850유저인데,

glxgears 때려보면
화면효과 (왕 화려함) 으로 해놓고 2000
화면효과 없음 (컴피즈 효과 모두 끔) 으로 9000대 나옵니다.

수치상으로는 N당 9800GT랑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글쎄요… 라는 소리가 나오기는 합니다 :mrgreen:

[quote="edogawaconan":3b85rd9t]
제가 지금 4850유저인데,

glxgears 때려보면
화면효과 (왕 화려함) 으로 해놓고 2000
화면효과 없음 (컴피즈 효과 모두 끔) 으로 9000대 나옵니다.

수치상으로는 N당 9800GT랑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글쎄요… 라는 소리가 나오기는 합니다 :mrgreen:[/quote:3b85rd9t]

glxgears 수치 믿지 마십시오. ㅋㅋㅋ
제 고물딱지 nVidia 5900으로 화면효과 없으면 15000나옵니다.
평상시 컴피즈 몇가지 켜놓는데 그정도로 9500정도,
컴피즈 보통정도로 켜면 7000정도 나오구요.

라데온 HD3300 내장그래픽이 윈도우에서보다 만족스러운 성능이 나오지를 않네요 ㅠㅠ 4760으로 바꾸면 나아지려나요?
어쨌든 라데온 HD3xxx 는 우분투와 잘 맞지 않는 것 같네요…

GLXGEARS 수치가 아닌 Phoronix 포럼에서 3D 게임같은거 돌려서 벤치 냈더군요.

일단 hd4200 은 ( hd3200 하고 뭐가 다른지는 모르겟습니다. UVD 만 2 에서 2.2 로 업뎃했다나 뭐라나. 일단 기본적인 성능차는 없다네요. ) 8400GS 와 엇비슷하게 나오는, hd3450 은 8400GS 보다 쬐끔 압서더군요.

그냥 로우엔드 쪽은 동급이라 보시면 될듯하네요.

이제 XvBA 만 좀 제대로 지원하면 됩니다.

쳇.

HD3300 산 것이 지난 5월이었는데, 처음에 정말 실망했었지요. 화면 잡는데만 보름 걸렸습니다. 그나마도 조금 쓰다보면 화면이 검게 변하고…
하지만 꾸준히 드라이버 판올림되면서 조금씩 나아지더니, 이번에 우분투 9.10으로 바꾸고 나서 사실 또다시 삽질을 좀 하긴 했지만, 그래픽 성능이 정말 놀랄 정도로 좋아졌습니다. 3D 가속도 훨씬 좋아졌고, 그 동안 발생하던 화면이 자꾸 검게 변하던 문제도 더 이상 발생하지 않네요.
아직, 윈도우 드라이버에 비하면 열악하지만 내년쯤 되면 근사치에 도달하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