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1ysml1n5][size=150:1ysml1n5]cobuntu 9.10_2 (코분투 칼믹 코알라 2번째)[/size:1ysml1n5]
[/list:u:1ysml1n5]
[list:1ysml1n5]코분투(Cobuntu)는 우분투의 환경 그대로
한국환경에 필요한 패키지와 설정들을 포함한 배포판입니다.
라이브 상태에서도 편한 한글 환경을 제공하고
처음 우분투를 접하는 분들에게 코분투는 보다 쉬운 사용과 설치가 가능합니다.
한글 환경의 라이브 사용과 우분투를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코분투는 좋은 선택이 돼 줄 것입니다.
[attachment=0:1ysml1n5]cobuntu-9.10-2.png[/attachment:1ysml1n5]
[/list:u:1ysml1n5]
[list:1ysml1n5]
[b:1ysml1n5]우분투 9.10과 다른 점[/b:1ysml1n5]
[:1ysml1n5]한글 부트 메뉴 기본[/1ysml1n5]
[:1ysml1n5]커널 2.6.31-17-generic[/1ysml1n5]
[:1ysml1n5][b:1ysml1n5]기본글꼴 은돋움에서 나눔고딕으로 변경[/b:1ysml1n5][/1ysml1n5]
[:1ysml1n5]한글 설치 기본에 라이브와 설치가 한글/영문 설치만 가능[/1ysml1n5]
[:1ysml1n5][b:1ysml1n5]2010년1월22일까지 패키지 업데이트 완료[/b:1ysml1n5][/1ysml1n5]
[:1ysml1n5]그놈 한글언어팩 추가로 라이브에서도 한글 메뉴 전체 적용[/1ysml1n5]
[:1ysml1n5]라이브에서 한글입력 가능 [b:1ysml1n5](기본입력기 나비)[/b:1ysml1n5][/1ysml1n5]
[:1ysml1n5]라이브에서 오픈오피스 한글 메뉴 [/1ysml1n5]
[:1ysml1n5]추가 패키지 :
한글 맞춤법 검사기, 한글 맨페이지, 피진 & 피진네이트온 설치, 노틸러스 확장기능, 우분투 트윅, MC ,kozip 스크립 내장(Cp949)
[/1ysml1n5]
[:1ysml1n5]코분투 저장소 추가 및 인증 https://launchpad.net/~cobuntu
코분투 저장소 패키지 ( hunspell-ko(한글맞춤법 검사기), manpages-ko(한글멘페이지), [b:1ysml1n5]nateon(네이트온)[/b:1ysml1n5], ttf-nanum (나눔글꼴), ttf-nanum-coding(나눔고딕코딩글꼴), happytimer(GTK타이머), twitux (GTK 트위터) . ttf-hankc(한겨레 결체), 그외…
[/1ysml1n5]
[:1ysml1n5]미디분투 추가 및 인증 http://medibuntu.org
미디분투 저장소 패키지 ( w32(64)codecs(MS코덱), libdvdcss2(DVD용 라이브러리), googleearth(구글어스), non-free-codecs(비자유코덱), 그외…
[/1ysml1n5]
[:1ysml1n5]우분투 트윅 설치와 저장소 인증 (ubuntu-tweak) http://ubuntu-tweak.com
[/1ysml1n5]
[:1ysml1n5]버그 수정
한글 글꼴 깨짐 수정 ( 29-language-selector-ko-kr.conf.bak으로 이름 바꿈)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세지 수정 (avahi daemon)
토템자막 uhc 변경으로 cp949 자막 가능
gedit MS 문서 자동읽기 버그 수정 (cp949)
리듬박스 한글 방송 시청 시 노래 제목 깨짐 수정
[/1ysml1n5]
[*:1ysml1n5]그 외 기본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kr106) 및 키보드 Num lock 켜기 …
코분투로 설치 시에는 모든 메세지가 한글화 되어 있으며 한국 상황 기본 값으로 설치 진행됩니다.
설치 후 기본 저장소는 국내 미러인 다음 FTP 이며 ( ftp.daum.net )
3개의 저장소를 미리 추가 및 인증을 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1ysml1n5][/list:u:1ysml1n5]
[quote="포풍저글링":323q4tnm]흐음… gedit 대신 geany를 넣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GNOME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지 않는 데다가 용량도 더 적어요.[/quote:323q4tnm]
저 또한 지니를 애용하고 포럼에 소개도 하고 좋아 하는데 코분투에 gedit 대신 지니를 넣는것은 반대입니다.
[b:323q4tnm]코분투는 우분투에 환경에서 한국어적 환경만 가미하는 것이지 완전 변화는 아닙니다.[/b:323q4tnm]
우분투는 그놈 환경이고 그놈은 gedit가 기본 편집기 입니다.
물론 이번 9.10에 기본 메신저가 엠퍼시인 것을 피진으로 바꾼 건은 네이트등이 엠퍼시는 지원 안되기 때문입니다.
코분투는 기본 태생 자체가
[quote:323q4tnm]코분투(cobuntu)는 우분투 한국어 커뮤니티에서 우분투 리눅스(Ubuntu GNU/Linux)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환경에 맞게 수정한 배포판.[/quote:323q4tnm] 입니다.
물론 포풍저글링님이 중심이 되어 코분투를 만드실 때는 가능 하실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삽질하기 좋아 하시는거 같은데 제작 참여 환영합니다. https://launchpad.net/~cobuntu
저의 현재 코분투에 대한 기본 방침은 우분투 상황를 최대한 그대로 하되 바꾸어야 할것만 바꾸자 입니다.
[quote="beroberos":suwzfs57]한국형 우분투를 왜 cobuntu라고 명명하셨는 좀 굼금하네요. 일반적으로 국가 표시를 ko 혹은 kor로 쓰고있는데 co은 좀아니다 싶습니다. 아니면 co가 다른 뜻을 가지고 있는지요.[/quote:suwzfs57]
코분투 이름에 대해선 이미 분도님께서 예전에 설명하신점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국가표시를 ko 혹은 kor로 한다고 해서 모든 프로그램에 그와 비슷한 이름을 붙인다는것은 좀아니다 싶습니다. 이름에 관해서는 전적으로 분도님맘입니다. 님께서 이래라 저래라 간섭할 입장이 아니라고 봅니다.
[quote="beroberos":3pl0lgls]한국형 우분투를 왜 cobuntu라고 명명하셨는 좀 굼금하네요. 일반적으로 국가 표시를 ko 혹은 kor로 쓰고있는데 co은 좀아니다 싶습니다. 아니면 co가 다른 뜻을 가지고 있는지요.[/quote:3pl0lgls]
1900년대 이전 까지는 c 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미 군정 때 외교문서에 몇 번 k 로 사용되다가 정착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굳이 따지자면 역사적으로도 아예 의미가 없지는 않지요.
고려를 영어로 쓸 때 k 로 시작하지 않고 c 로 시작하니까요.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의 노하우를 가진 배포판 이름을 kobuntu 로 할까 더스트님이 저와 같이 이야기 하다
쿠분투 (kubundtu) 하고 조금 헛갈리는거 같기도 하고
원래 한국이 Corea 인거도 있고
k 다 보니 일본 보다 바로 뒤 인거도 있고
그래서 co 를 붙였는데
"코코코… 코" 처럼 느껴져도 상관없습니다.
세뇌 교육(…)의 결과인지는 몰라도 저 역시 ko 또는 kor이 더 익숙합니다만, 뭐 이름 붙이는 거야 만드시는 분 마음이고, 원래 Korea의 어원인 '고려’를 영문자로 표기할 시 'Co’로 시작한다는 점 등을 미루어 보아 나쁘지 않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Kobuntu라고 하면 분도 님 말씀대로 Kubuntu랑 헷갈리는 부분이 없잖아 있고…
또한 'co-'는 접두사로서 ‘공동’, '함께’라는 뜻을 나타내니 이 또한 좋은 의미가 아니라 할 수 없는듯! 설마 분도님 이 것까지 노리신 것은 아니시겠지요?
[quote="nhamfnad":whoh3y6l] 일반적으로 국가표시를 ko 혹은 kor로 한다고 해서 모든 프로그램에 그와 비슷한 이름을 붙인다는것은 좀아니다 싶습니다. 이름에 관해서는 전적으로 분도님맘입니다. 님께서 이래라 저래라 간섭할 입장이 아니라고 봅니다.[/quote:whoh3y6l]
설마 분도님외에 다른분도 글을 다셨을 줄이야…
받아쓰는 입장에서 이미 정해진 명명법을 딴지거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cobuntu의 명명법에대해 딴지를 거는 내용이 되었다면 상당히 유감스럽 다고 할까요.
정해진 상징은 마음대로 바꿀 수 없습니다. 정해져 버리면 계속쓰는게 도리이지요. 바꾼다는 것은 이전의 신용을 잃는 것 과도 같습니다. 명칭의 중요성은 아이덴티티디자인(Identity design)이론만 보아도 알수 있습니다.
여기부터는 개인적인 이야기 혹은 개인적인 견해 입니다.받아쓰는 수동적인 입장이래도 개인적인 의견을 말할 자유는 있습니다. 명칭과 상징물 디자인을 공부해서 그런지 co표기에 너무 많은 걸 연상했습니다.
co와 ko는 쓰임과 내력만큼 의미가 많습니다. co와 ko는 발음상 비슷하지만 표기는 전혀틀리지요. 만약 ko표기를 표준으로 보았을대 co비표준으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웹에서는 웹표준준수를 외치면서 비표준을 쓰는 경우랄 까요. 하물며 co에서 대한민국을 보편적으로 연상이 가능한가의 문제도 있고요. 한국형이라기에 ko표기인줄알 았는데 co표기라 좀 놀란 감도 잇습니다. 개인적으로는 co표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이기도 합니다.
co이 ja이 단어상의 위치에대한 애피소드가 많기는 한데 그런 만큼 일본 배척혹은 민족주의 적인 뉘앙스를 풍기게 됩니다. 우분투가 국가나 민족을 초월한 공동체, 오픈소스는 공동을 위한 재산이라고 생각 했는데 아직까지 민족적인 갈등이 오픈소스에도 남아 있다. 이런생각 을 하니 혼자 씁쓸해진 겁니다.서구인들이 보기에는 그런것은 느끼기 힘들겠지만 말이지요.
[quote="beroberos":k4zs7d9v]co이 ja이 단어상의 위치에대한 애피소드[/quote:k4zs7d9v]는 하도 확실한 게 없어서 믿어야 할지 말아야 될지 모르겠더군요.; c와 j와 k의 위치 때문에 서로 왈가왈부가 많은데 기왕지사 k가 되었으니 이젠 뭐 어쩔 수 있나요.;;;
[quote="mike":3s56c02u]사실 이런 좋은 일을 한 것에 대해 수고하셨다거나, 감사하셨다는 표현 없는 점이… 참 놀랍습니다. 그러면 안되지요.[/quote:3s56c02u]대부분의 분들이 이전 코분투 글타래에서 감사의 표현을 많이 하셔서 이 글타래에선 잊으신 것 같군요.
위 글타래를 한 번 참조해 보세요~ ^^[/quote:2vfb5z2o]
예를 들어 파일 이름이 1.zip이면
[color=#804000:2vfb5z2o]kozip MS1.zip[/color:2vfb5z2o] 이렇게 하는거 아닌가요? 왜 파일을 읽을 수 없다고 나올까요?
그리고 터미널 말고 노틸러스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quote="tomaru":29wwsh1y]
예를 들어 파일 이름이 1.zip이면
[color=#804000:29wwsh1y]kozip MS1.zip[/color:29wwsh1y] 이렇게 하는거 아닌가요? 왜 파일을 읽을 수 없다고 나올까요?
그리고 터미널 말고 노틸러스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quote:29wwsh1y]
rar 은 모르겠고요
zip 경우 ms 에서 압축한건 그냥 [b:29wwsh1y]kozip 1.zip[/b:29wwsh1y] 하시면 됩니다.
제가 [url=http://ubuntu.or.kr/viewtopic.php?p=40719#p40719:29wwsh1y]위 링크 글[/url:29wwsh1y]에서 쓴 kozip MS압축파일.zip 은 ms에서압축한 zip 파일을 (MS압축파일.zip) 라고 말한것입니다. ^^;
[quote="강분도":2c9ozjx6][quote="tomaru":2c9ozjx6]
예를 들어 파일 이름이 1.zip이면
[color=#804000:2c9ozjx6]kozip MS1.zip[/color:2c9ozjx6] 이렇게 하는거 아닌가요? 왜 파일을 읽을 수 없다고 나올까요?
그리고 터미널 말고 노틸러스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quote:2c9ozjx6]
rar 은 모르겠고요
zip 경우 ms 에서 압축한건 그냥 [b:2c9ozjx6]kozip 1.zip[/b:2c9ozjx6] 하시면 됩니다.
제가 [url=http://ubuntu.or.kr/viewtopic.php?p=40719#p40719:2c9ozjx6]위 링크 글[/url:2c9ozjx6]에서 쓴 kozip MS압축파일.zip 은 ms에서압축한 zip 파일을 (MS압축파일.zip) 라고 말한것입니다. ^^;[/quote:2c9ozjx6]
아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