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ize,,,

이번에 수십…많게는 수백대의 서버에 설치를 해야합니다.

일일이 한대씩 설치 후 Kernel 및 Package 를 설치하려니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갈꺼 같아서…

windows 와 같이 Customize 해서 image를 생성 후 설치 시

제가 설정 한 Kernel 및 Package까지 설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

정리해서…ubuntu 도…

Customize해서 CD(image)제작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방법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좋은 방법은… http://www.sf.net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찾는겁니다.

프로그램을 못찾았을 경우에는

CD(DVD or USB저장장치)에 자료저장하고

CD로 부팅해서 복사하고 grub만 설치하면 될것 같습니다.

모든 서버 하드웨어 스팩이 똑같나요?
만약 같다면 아래 글에 나와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kldp에서 봤던 글 같은데 기발해서 기록해놨습니다.

대충 1996년 겨울쯤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대학원에 들어가기 직전 겨울이었다.

실험실에서 이것저것 일을 배우면서 … 하루 하루 보내고 있을 무렵이었다.

강의동 지하에 약 300 대 정도(60 대씩 다섯곳)의 PC 실습실이 있었는데, 이곳에 깔린 윈 95를 개강하기 전에 싹 밀고 다시 깔아야 한다며 지원 요청이 있었다.

처 음에 몇대는 … 말 그대로 윈도즈 95 씨디를 가지고 깔았다. 그러다보니 … 시리얼 넘버도 외울 정도가 되었는데… 문제는, 이게 300 대라는 거다. 씨디 넣고 엔터키 치고 … 시리얼 넘버 치고, 이것저것 선택하고 … 등등 의 일은 결코 만만하지 않다. 사양도 펜티엄 MMX 166 에서 200 정도였던 걸로 기억한다. - 그래도 그때 난 AMD 486DX4-100 을 쓰고 있었으니 저정도 사양이면 당시로선 매우 빠른 것이었다.

하루쯤 하고 나니 … 이게 장난이 아니었다. 게다가, 윈도즈 95/98 은 인스톨 하면서 각종 프로그램 설정을 해줘야 할 게 많다. 학생들이 게임 못하게 한다며 카드 게임 이런 것 다 지우고 깔라고 해서 -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 있었다. 말 그대로 실습만 하는 곳이었다. 인터넷 연결은 2, 3 년쯤 지나서 됐다. - 각종 옵션 선택하고, 또 실습용으로 사용할 아래아 한글과 MS 오피스 외에 winzip, V3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까지 깔아야 했다.

그때 누가 고스트라는 걸 가져 왔다. 그 전에도 알고는 있었지만, 거의 안 쓰고 있었는데… 꽤 괜찮았다. 아니, 상당히 편해졌다. 일단 한대에다가 윈도즈 95, V3, winzip, 하안글, MS 오피스 를 쭉 깔고 나서 고스트로 이미지를 떠서 씨디로 굽고, 그것을 각 컴퓨터에 들고 다니면서 까는 건데… 문제가 발생했다. 저런 애플리케이션을 다 깔고 나니 고스트 이미지가 씨디롬 한장 분량을 훌쩍 넘긴다는 거다. 즉, 씨디 1, 2 로 레이블링을 해서 돌아다니며 깔아야 하는데… 이것도 기존보다는 편했지만 … 상당한 삽질이라는 거다.

그러다가 문득 … 생각났다. "cat" … 고양이 말고 …

테스트 삼아서 한대는 위의 그런 작업을 마친 컴퓨터, 또 한대는 아직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컴퓨터 … 해서 두대를 뜯어서 하드디스크를 떼어내서 실험실로 가져와서 리눅스 깔아둔 컴퓨터에 하드디스크를 설치한 뒤에

cat /dev/hdb > /dev/hdc

를 해 봤다. 그리고 /dev/hdc 에 달았던 걸 다시 실습실로 가져 가서 깔아보니 … 앗 ! 잘 된다. !!!

바로 실험실로 돌아와서 리눅스 박스를 들고 실습실로 갔다. CD-ROM 에 연결된 EIDE 케이블을 떼어낸 뒤, 하드디스크를 3개를 달고,

cat /dev/hdb > /dev/hdc &

cat /dev/hdb > /dev/hdd

그리고 약 5분뒤 … 끝… 전원 끄고 /dev/hdc, /dev/hdd 에 붙였던 하드디스크를 떼어낸 뒤 점퍼 세팅 바꾸고 원래 있던 컴퓨터에 설치한 뒤 전원을 켜자… 오오… 잘 된다…

컴퓨터 케이스 뜯고 … 하드디스크 떼어내서 옆에 쭈욱 쌓아놓고 cat 명령 을 계속 반복 했다.

잠시 후 … 리눅스를 한대에 더 깔고 … 계속 저거 반복 … 생산성 2배 증가.

약 한시간 뒤… 모든 실습실에 리눅스 한두대씩 갈고 (리눅스도 사실 깔 게 없었다. 원래 깔려 있던 것을 cat 명령으로 보내 버리면 되었으니까…) 작업 시작…

일주일 동안 하기로 예정되어 있던 작업이 하루 반나절 만에 끝나 버렸다.

그리고 …

한 3년간 … 매학기마다 저짓을 반복했다. -_-

[quote="nike984":13qstdr3]
그리고 …

한 3년간 … 매학기마다 저짓을 반복했다. -_-[/quote:13qstdr3]

어디서나…일반적인 삽질을 머리써서 쿨하게 해결해버리면…
돌아오는것은 약간의 찬사와
비슷한 삽질거리만 생기면 또 시킨다는 것이죠. -_-;

[quote="nike984":2d5gulag]kldp에서 봤던 글 같은데 기발해서 기록해놨습니다.[/quote:2d5gulag]
그 글에 고스트 멀티캐스트에 대해 썼던 것 같은 기억이 있네요.
피방은 게으름뱅이들의 천지인지라… 어떻게 하면 안 움직이고 해볼까 고민하는 사람들 천지입니다.
사장도 예외가 아니죠. 덕분에 이런 류의 기술(?)은 발달한…

삽질마저 귀찮아져서 아직 모든 일을 카운터에서 진행하진 못하지만, PXE 부팅을 통해 전체 멀티캐스팅을 하곤 합니다.
이 경우 아무것도 필요없지요. 부팅 디스크든 usb 든 뭐든… 그냥 사양만 같고 LAN 으로 연결만 되어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쓰는 랜카드칩이 범용일수록 좋고요. 특이한 거면 직접 ndis 같은 걸 찾아넣어야 하는 귀찮음이 조금 존재…

여튼 그닥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좀 둘러보시면…

후배가 있으시면 위 방법(kldp)도 나쁘지 않고, 혼자 하셔야 한다면 고스트 멀티캐스트를 고민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quote="draco":2d5gulag][quote="nike984":2d5gulag]
그리고 …
한 3년간 … 매학기마다 저짓을 반복했다. --[/quote:2d5gulag]
어디서나…일반적인 삽질을 머리써서 쿨하게 해결해버리면…
돌아오는것은 약간의 찬사와
비슷한 삽질거리만 생기면 또 시킨다는 것이죠. -
-;[/quote:2d5gulag]
백만번 공감.

[quote="draco":qfexqwhp][어디서나…일반적인 삽질을 머리써서 쿨하게 해결해버리면…
돌아오는것은 약간의 찬사와
비슷한 삽질거리만 생기면 또 시킨다는 것이죠. -_-;[/quote:qfexqwhp]

그래서 전 쿨하게 해결하고 열내서 삽질한 척 합니다. ㅋ

스타 트랙의 Scotty씨의 주옥같은 명언도 있죠.

Scotty: Oh. You didn’t tell him how long it would REALLY take, did you? (설마 자네, 그 작업에 필요한 실제 시간을 말해준건 아니겠지?)
Geordi La Forge: Of course I did. (당연히 제대로 보고했습니다.)
Scotty: Oh, laddie. You’ve got a lot to learn if you want people to think of you as a miracle worker. (쯧쯔… 사람들이 자네를 기적의 일꾼이라고 부를려면 아직 배울게 태산이구만 그래)

[quote="gillbuntu":26oqrw2c]이번에 수십…많게는 수백대의 서버에 설치를 해야합니다.

일일이 한대씩 설치 후 Kernel 및 Package 를 설치하려니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갈꺼 같아서…
[/quote:26oqrw2c]
아마도 서버라면 pxeboot 를 지원할것으로 여겨집니다… 간혹 초 저가형 서버는 지원 않하는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서버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다면…

그래서 혹시나 해서 우분트쪽도 지원 여부를 확인해보니…

https://wiki.koeln.ccc.de/index.php/Ubuntu_PXE_Install 여기에서 pxeboot 설치 위키가 있네요..

다음에

http://my.safaribooksonline.com/0672329093/ch02lev1sec5 여기를 보니

우분트도 kickstart 방식을 지원하는것을 확인 할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둘을 조합하는데 우분트도 가능하다 여겨집니다…

한때 레드헷 엔지니어를 한적이 있어서… 한번에 200 애대 를 해야 한적이 있고…
설치 방식은 비슷하지만 조금씨 구성이 다르게 타입 4~5 개 정도로
그래서 pxeboot + kickstart 를 이용해서 부팅 되면 자동으로 설치 되게 했던 적이 있습니다…
pxeboot 가 뜨면 선택 리스트에서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면 그 방식으로 설치하는…

200 개 서버가 블래이드 서버 였는데 전체 설치하는데… 서너 시간 않걸렸던거로 기억합니다…
준비하고 스크립트 짜고 하는시간이 더 걸림… --;

FAI (Fully Automatic Installation)…이라는 것도 있답니다.

우분투 기본 패키지로도 존재합니다. ㅎㅎ

자세한 건 구글신께…

[quote="pcandme":1fwm4wkb]FAI (Fully Automatic Installation)…이라는 것도 있답니다.

우분투 기본 패키지로도 존재합니다. ㅎㅎ

자세한 건 구글신께…[/quote:1fwm4wkb]

헛 이건 뭔가요 이름을 보디 더 존거 같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