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 fonts 변경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현재 커널 2.6.35.3을 보드에 올려서 작업하고 있는데요…

font 설정 하는데 감이 않와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구글에 많이 나와있는 GUI 메뉴를 이용해서 변경하는 방법 말구요…

설정 파일을 변경해서 default fonts 변경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동일 application을 부팅 시 자동 실행시켰을 때와

로그인 후 실행시켰을 때의 적용되는 fonts가 다른 현상이 있는데

이런 현상 관련해서도 설명부탁드립니다.

우분투에서 사용하는 폰트랜더링엔진은 freetype이라는것이고,
설정하는 툴은 fontconfig죠.

/etc/fonts 디렉토리 밑에 관련 설정들이 저장되어 있구요.

대개 글꼴 고딕과 명조로 나누는데…
영어로 보자면 sans-serif와 serif로 볼 수 있어요.
sans-serif는 sans와 같이 사용되구요.
serif글자체는 삐침이 있는 형태로 명조형이죠

그리고, 또 다른 분류로 고정폭과 가변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변폭은 글자마다 크기가 다른걸 말합니다.
monospace글꼴은 고정폭 글꼴이죠

그러니, 대체로 monospace, sans-serif, serif 이렇게 세가지로 나눠볼 수 있어서
이 세가지가 기본적인 font-family를 구성합니다.

그리고, 그 하부에 여러가지 글꼴그룹들을 연결하여 사용하죠.

예를들어
serif 타입에 바탕이나 나눔명조
sans-serif 타입에 돋움이나 굴림 혹은 나눔고딕
monospace타입에 돋움체나 바탕체 혹은 나눔고딕코딩을 연결하죠.

그리고 각 글꼴마다 사용가능한 문자셋이 정해져 있구요…

예를들어 이야기글꼴은 옛날 조합형 문자셋으로 되어 있으니, 복사해도 제대로 글꼴이 보이지 않습니다.
해당 문자셋이 없다면, Alias를 통해 다른 글꼴로 연결할 수 있어요.
예를들어 monospace에 Lucida Sans Typewriter를 연결하고, 또한 나눔고딕코딩을 연결하면…
영어는 Lucida글꼴로 한글은 나눔고딕코딩으로 나오게 되죠.

fontconfig를 설정해서 기존 글꼴을 다른 글꼴로 치환도 가능하고, 굵기및 힌팅등을 설정할 수 있어요.

대체로 글꼴이라는것이 앞서 설명한 세가지 분류내에 속하는 것들은 약간의 차이일 뿐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다만… Anti-aliasing(가장자리다듬기), Hinting(윤곽선글꼴의 랜더링정보)등에 따라 글꼴이 뭉개지는 현상이 나타나니…
그것을 바로 잡고, 잘 보이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부팅시에 자동실행된다고 한다면… fontconfig설정이전이거나 root에 의해 설정된것과…
일반 사용자 계정에 의해 설정된 fontconfig설정이 다른경우나… 테마가 다른경우일 것이니…
fontconfig설정을 통일하시려면, $HOME/.fonts.conf 파일보다 /etc/fonts/local.conf를 사용하시면 글꼴 설정은 통일화 됩니다.
그리고, 테마의 경우는 $HOME/.themes디렉토리와 $HOME/.gnomerc파일을 /root 디렉토리밑에 심볼릭링크하시면 거의 같은 모양으로 나오게 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제가 너무 생 초보라서 이해가 잘 … (민망하네요…T.T)

현재 제가 해본것은 /etc/fonts 밑에 font dir를 만들고 *.ttf 파일을 복사한다음

fc-cache -r 명령어를 실행하고 reboot 하면

default font가 제가 위에서 만든 font로 바뀌더라구요…

만약 /etc/fonts 밑에 A와 B라는 font가 있을 경우

제가 어떻게 해야 A라는 font를 default font로 사용할 수 있는지요…

fc-cache -r 명령어를 사용하는것 말고

설정 파일을 수정해서 A라는 font를 default font로 만드는지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업하시는 환경이 일반적인 것 같지는 않은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면 짐작하기가 쉽겠습니다.

우분투 기준으로 말씀드리지만 패키지가 똑같기 때문에 다른 배포본도 거의 동일 합니다.

[code:44bb9vtf]
/usr/share/fonts
~/.fonts
[/code:44bb9vtf]
글꼴은 /usr/share/fonts/ 아래에 설치 합니다. 개인 사용자용은 ~/.fonts.

[code:44bb9vtf]/etc/fonts/fonts.conf
/etc/fonts/conf.avail/
/etc/fonts/conf.d/[/code:44bb9vtf]
기본 설정 파일들 이건 직접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먼저 fonts.conf 파일이 읽어들여지고 이 파일에서 conf.d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을 모두 읽어 들입니다.

conf.d 디렉토리는 conf.avail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에서 적용하고 싶은 설정을 링크 해서 구성 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list=1:44bb9vtf]
[:44bb9vtf]conf.avail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원하는 설정을 conf.d로 링크 하거나 반대로 conf.d의 링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m:44bb9vtf]
[:44bb9vtf]/etc/fonts/local.conf 파일을 만들고 여기에 설정을 집어 넣습니다. 이 설정은 시스템 사용자 전체에 적용 됩니다.[/:m:44bb9vtf]
[:44bb9vtf]~/.fonts.conf 이 파일은 개별 사용자들이 원하는 설정을 적용할 때 사용 합니다.[/:m:44bb9vtf][/list:o:44bb9vtf]

이 링크는 제 개인 설정 파일 인데 /etc/fonts/local.conf로 저장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내용을 보시고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십시오.

https://gist.github.com/2169504

기본적인 우분투 설치 환경에서는 글꼴이 추가 되었다거나 설정 파일들이 변경되면 거의 실시간으로 그 변경이 적용 되게 되어 있습니다.
굳이 fc-cache 같은 명령은 필요 없습니다.

[code:790lubnb]
fc-match
fc-list
[/code:790lubnb]
요 두 명령어는 글꼴 해킹! 작업 할 때 요긴합니다.

[code:790lubnb]
➜ ~ fc-match
LSANS.TTF: "Lucida Sans" "normal"

➜ ~ fc-match -s | head -5
LSANS.TTF: "Lucida Sans" "normal"
LexiSaebomR.ttf: "LexiSaebomR" "Regular"
DejaVuSans.ttf: "DejaVu Sans" "Book"
DejaVuSans-Bold.ttf: "DejaVu Sans" "Bold"
n019003l.pfb: "Nimbus Sans L" "Regular"

➜ ~ fc-match sans-serif
LSANS.TTF: "Lucida Sans" "normal"
➜ ~ fc-match sans
LSANS.TTF: "Lucida Sans" "normal"

➜ ~ fc-match sans:lang=ko
LexiSaebomR.ttf: "LexiSaebomR" "Regular"

➜ ~ fc-match sans:lang=ko:bold
NanumGothicBold.ttf: "NanumGothic" "Bold"

➜ ~ fc-list | grep Lucida
Lucida Std:style=Bold Italic
Lucida Bright:style=Demibold
Lucida Bright:style=Italic
Lucida Grande:style=Bold
Lucida Sans:style=Demibold Roman,halvfed,Halbfett,Seminegrita,Puolilihavoitu,Demi-gras,Demi-grassetto,Halfvet,Trekvartsfet,Seminegrito
Lucida Bright:style=Regular
Lucida Sans:style=Regular,normal,Standard,Normaali,Normale,Standaard
Lucida Std:style=Italic
Lucida Grande:style=Regular
Lucida Grande Bold:style=Regular
Lucida Sans:style=Demibold Italic,halvfed kursiv,Halbfett Kursiv,Seminegrita Cursiva,Puolilihavoitu Kursivoitu,Demi-gras Italique,Demi-grassetto Corsivo,Halfvet Cursief,Trekvartsfet Kursiv,Seminegrito Itálico
Lucida Sans:style=Italic,kursiv,Cursiva,Kursivoitu,Italique,Corsivo,Cursief,Itálico
Lucida Std:style=Bold
Lucida Std:style=Roman,Regular
Lucida Bright:style=Demibold Italic

➜ ~ fc-list | grep Nanum
NanumGothicCoding,나눔고딕코딩:style=Regular
Nanum Pen Script,나눔손글씨 펜:style=Regular
NanumMyeongjo,나눔명조:style=Bold
NanumGothicCoding,나눔고딕코딩:style=Bold
NanumMyeongjo,나눔명조,NanumMyeongjoExtraBold,나눔명조 ExtraBold:style=ExtraBold,Regular
Nanum Brush Script,나눔손글씨 붓:style=Regular
NanumGothic,나눔고딕:style=Bold
NanumMyeongjo,나눔명조:style=Regular
NanumGothic,나눔고딕:style=Regular
➜ ~
[/code:790lubnb]
이런 식으로 사용합니다.

[quote="choki99":2pyf50nc]답변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제가 너무 생 초보라서 이해가 잘 … (민망하네요…T.T)

현재 제가 해본것은 /etc/fonts 밑에 font dir를 만들고 *.ttf 파일을 복사한다음

fc-cache -r 명령어를 실행하고 reboot 하면

default font가 제가 위에서 만든 font로 바뀌더라구요…

만약 /etc/fonts 밑에 A와 B라는 font가 있을 경우

제가 어떻게 해야 A라는 font를 default font로 사용할 수 있는지요…

fc-cache -r 명령어를 사용하는것 말고

설정 파일을 수정해서 A라는 font를 default font로 만드는지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quote:2pyf50nc]

/etc 디렉토리는 설정파일들을 저장하는 곳입니다.
/etc/fonts디렉토리는 글꼴 설정과 관련된 곳입니다.
리소스(글꼴,이미지,문서)등은 /usr/share혹은 $HOME/.local/share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트루타입 글꼴은 /usr/share/fonts/truetype 디렉토리 밑에 넣는 것이 정석입니다.
그리고 그곳에 글꼴을 넣었다면 알아서 변경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gnome-color-chooser

이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테마및 글꼴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고,
$HOME/.gnomerc파일에 연결됩니다.
gnome-shell환경이라면 gnome-tweak-tool이 필요합니다.

글꼴설정은 나눔고딕이나 맑은 고딕등의 실제 글꼴명을 사용하지 마시고, sans-serif나 sans, monospace등으로 설정을 하세요.
그리고 나서 $HOME/.fonts.conf나 /etc/fonts/local.conf파일을 수정하셔서
sans-serif, sans, monospace 패밀리에 원하시는 글꼴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fontconfig 설정을 잘 모르시겠다면…
[url:2pyf50nc]http://freedesktop.org/software/fontconfig/fontconfig-user.html[/url:2pyf50nc]
이곳이 공식 메뉴얼이니 참조하시고,

저의 설정파일을 첨부하니, /etc/fonts/local.conf로 저장하시고
수정해보시면 감이 오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