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SBox로 도스의 추억을 살려볼까요!

[attachment=0:1cj3379h]dosbox_3-.png[/attachment:1cj3379h]
에뮬레이션하면 [b:1cj3379h]VirtualBox[/b:1cj3379h]가 먼저 생각나지만 도스만 사용하고 싶다면 DOSBox가 좋습니다.
(닭 잡는데 소 잡는 칼 쓰랴…)

리눅스에서 도스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b:1cj3379h]DOSemu[/b:1cj3379h] 와 [b:1cj3379h]DOSBox[/b:1cj3379h]가 대표 주자인데
DOSBox가 사용하기 편하고 설정도 쉬워 많이 사용합니다.

에뮬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도스용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며 [b:1cj3379h]DPMI[/b:1cj3379h]를 사용하는 32비트 프로그램도 지원합니다.
DOSBox만으로 [b:1cj3379h]3D Studio[/b:1cj3379h]나 [b:1cj3379h]Doom[/b:1cj3379h]도 무리없이 돌릴 수 있습니다.

전 가끔 DOSBox로 게임도 하고 도스 패키지도 돌리면서 추억에 잠기곤 합니다.
도스를 모르는 신세대가 아니라면 DOSBox 강추합니다.

우선 시냅틱이나 터미널로 DOSBox를 설치합니다.

[list:1cj3379h][b:1cj3379h]$ sudo apt-get install dosbox[/b:1cj3379h][/list:u:1cj3379h]

설치가 끝나면 [b:1cj3379h][프로그램] - [게임] - [DOSBox Emulator][/b:1cj3379h] 를 실행합니다.
잠시 후 작은 도스창이 뜨고 프롬프트(Z:>)가 나타납니다.

[attachment=2:1cj3379h]dosbox_6-.png[/attachment:1cj3379h]
위 그림과 같이 [b:1cj3379h]config -writeconf dosbox.conf[/b:1cj3379h] 를 입력합니다.

위 명령어는 도스박스의 설정 파일을 [b:1cj3379h]dosbox.conf[/b:1cj3379h]로 만들어 저장하겠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홈 폴더에 dosbox.conf가 만들어져 있을 겁니다.

일단 도스박스를 닫고 우분투로 돌아옵니다.
우분투에서 도스 프로그램이 돌아갈 디렉토리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자신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b:1cj3379h]dosbox[/b:1cj3379h] 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dosbox 폴더는 나중에 C: 드라이브로 사용됩니다.)
doxbox 폴더 아래 dos, utility, game 폴더도 미리 만들어 주는게 좋습니다.

이제 에디터로 dosbox.conf를 열어 끝 부분의 [b:1cj3379h][autoexec][/b:1cj3379h] 를 찾습니다.

[list:1cj3379h][b:1cj3379h] [autoexec]

Lines in this section will be run at startup.

[color=#FF0000:1cj3379h] @echo off
set path=c:/dos;c:/utility;c:/utility/m;
mount c: /home/[/color:1cj3379h][color=#000000:1cj3379h]아이디[/color:1cj3379h][color=#FF0000:1cj3379h]/dosbox
c:
mode con rate=32 delay=1[/color:1cj3379h][/b:1cj3379h][/list:u:1cj3379h]

붉은색 부분을 입력한 후 저장하고 나옵니다. ([b:1cj3379h]아이디[/b:1cj3379h]는 자신의 로그인 아이디로 변경해야 합니다.)
mode 프로그램이나 mdir III 프로그램은 아직 없지만 미리 만들어 주는 겁니다.

[b:1cj3379h][프로그램] - [게임] - [DOSBox Emulator][/b:1cj3379h] 에 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바탕화면에 DOSBox Emulator 실행 아이콘을 하나 만들어 줍니다.

다시 실행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b:1cj3379h][속성][/b:1cj3379h]을 클릭한 다음 [b:1cj3379h][실행 아이콘] 탭[/b:1cj3379h]으로 이동합니다.

[attachment=1:1cj3379h]dosbox_7-.png[/attachment:1cj3379h]
명령어 부분을 위 그림과 같이 변경해 줍니다.
([b:1cj3379h]아이디[/b:1cj3379h]는 자신의 로그인 아이디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제 바탕화면의 도스박스를 실행하면 창이 열리고 [b:1cj3379h]C: 드라이브[/b:1cj3379h]로 자동 부팅됩니다.
하지만 C:는 빈 드라이브로 도스 프로그램조차 없으며 이전에 만들어 놓은 빈 폴더만 존재합니다.

이 상태에서 게임만 한다면 상관없지만 그래도 도스는 기본적으로 있어야 하니 [b:1cj3379h]freedos[/b:1cj3379h]를 설치해 주는게 좋습니다.

[list:1cj3379h][url=http://www.ibiblio.org/pub/micro/pc-stuff/freedos/files/distributions/1.0/fdbasecd.iso:1cj3379h][b:1cj3379h][color=#000080:1cj3379h]http://www.ibiblio.org/pub/micro/pc-stuff/freedos/files/distributions/1.0/fdbasecd.iso[/color:1cj3379h][/b:1cj3379h][/url:1cj3379h][/list:u:1cj3379h]

위 [b:1cj3379h]freedos.iso[/b:1cj3379h] 이미지를 다운 받아 마운팅합니다.
이미지 안의 [b:1cj3379h]./freedos/setup/odin[/b:1cj3379h] 디렉토리를 찾아 파일을 모두 [b:1cj3379h]~/dosbox/dos[/b:1cj3379h]로 복사해 줍니다.

이제 도스가 깔렸으니 예전부터 소장해 온 도스 유틸리티나 게임 압축프로그램을 ~/dosbox 로 옮겨 줍니다.

프로그램 복사가 끌나면 도스박스를 실행시키고 도스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해 봅니다.
대부분 이상 없이 동작하지만 간혹 안 되는 것도 있습니다.

일본폰트 연결해서 삼국지까지 해봤는데 아주 잘 돌아갑니다.

도스 사용법은 잘 아시리라 여기고 도스박스만의 특이사항만 살펴보겠습니다.

전체화면으로 전환하고 싶으면 [b:1cj3379h]Alt + Enter[/b:1cj3379h] 를 눌러 주면 되고 도스박스 실행시 전체화면으로 시작하고 싶다면
dosbox.conf를 열어 [b:1cj3379h]fullscreen=false[/b:1cj3379h] 부분을 찾아 f[b:1cj3379h]ullscreen=true[/b:1cj3379h] 로 변경해 주면 됩니다.

명령어가 기억이 안나는 경우 [b:1cj3379h]help[/b:1cj3379h]를 입력하시고 CD-Rom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b:1cj3379h]mount d: /cdrom[/b:1cj3379h]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 경우 D: 드라이브가 CD-Rom이 됩니다.)

예전 도스 프로그램이 없으시다면 아래 네이버카페에 들려보세요.
대부분의 유명한 도스프로그램은 다 있습니다.

[list:1cj3379h][url=http://cafe.naver.com/cirius:1cj3379h][b:1cj3379h][color=#000080:1cj3379h]http://cafe.naver.com/cirius[/color:1cj3379h][/b:1cj3379h][/url:1cj3379h][/list:u:1cj3379h]

도스박스에 익숙해지시면 [b:1cj3379h]DOSemu[/b:1cj3379h]도 도전해 보세요.
색다른 재미가 있습니다.

[b:1cj3379h]페르시아 왕자의 추억…[/b:1cj3379h]

도스박스 말고 그 인디아나 존스 시리지를 잘 돌리는 그 뭐지;; 이름을 까먹었는데;;

그것에 관한 팁도 부탁드리겠습니다!.

[quote="dandy35":3tq0a9a0]도스박스 말고 그 인디아나 존스 시리지를 잘 돌리는 그 뭐지;; 이름을 까먹었는데;;
그것에 관한 팁도 부탁드리겠습니다!.[/quote:3tq0a9a0]
인디아나존스가 도스박스에서 안 돌아가는가 보죠 !
정확히 어떤 프로그램을 말씀하시는지 감이 안 옵니다.

DOSemu이 될지 모르겠는데 이게 사용하기 만만치 않아서요.
일단 인디아나존스가 돌아가는지부터 확인해 봐야겠네요 !

SCUMM VM 에 관한거였네요; 저도 검색하고 알아냈네요;;

그럼 좋은 강좌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

[quote="dandy35":2ly90n16]SCUMM VM 에 관한거였네요; 저도 검색하고 알아냈네요;;
그럼 좋은 강좌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quote:2ly90n16]
제가 어드벤쳐 게임은 잘 못해서 ScummVM 은 사용해 보지 못했습니다.
DOSBox에서 돌아가지 않는다면 버박에서 돌아갈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ScummVM 강좌는 실력미달로 못 할 것 같습니다. 흑흑흑…
(꼭 모르는 것만 물어봐… :cry: )

ScummVM 같은 경우는 리눅스 용도 있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PDA 용으로도 있어서 예전에 PDA에서도 많이 했는데…

아, 그리고 정확히 말하면 ScummVM은 루카스 아츠 사에서 나온 어드벤처 전용 에뮬레이터랍니다. :)

[quote="pcandme":1s4p8f28]아, 그리고 정확히 말하면 ScummVM은 루카스 아츠 사에서 나온 어드벤처 전용 에뮬레이터랍니다. :)[/quote:1s4p8f28]
찾아보니 현재의 ScummVM은 루카스 아츠 사의 어드벤쳐 외에도 다른 회사의 어드벤쳐 게임도 지원하나 보네요. ^^;;;

exit 명령어가 먹히네요 =ㅁ=…

[quote="pcandme":3gdtfbd6]ScummVM 같은 경우는 리눅스 용도 있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quote:3gdtfbd6]

기본 저장소에 있습니다. Add/Remove에서 추가 가능하더군요.

참고로 기본 저장소에는 Beneath a Steel Sky 랑 Fight of the Amazon Queen 이라는 게임들도 있습니다. 처음엔 그냥 리눅스용으 포팅된건줄 알았다가 나중에야 에뮬되고 있는걸 알았다는… ㅋㅋㅋ

고전게임 소장카페( http://cafe.naver.com/fullcd )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

ㅋㅋㅋ 도스보니 옛날생각이…

autoexec.bat파일하고 config.sys파일 만지던 생각이 나네요
거의 메모리와의 전쟁이였는데 ㅎㅎㅎ

=_=;; 지금은 다 까먹었지만…

Ubuntu 8.10을 최근에 새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삼국지 3를 해볼 생각으로 DosBox를 설치했고 실행은 잘 됩니다. ㅎㅎ

그런데 키보드 숫자 패드 옆에 있는 엔터키가 먹지 않는다는…

그래서 알아본 결과 ubuntu 8.10에서 dosbox의 버그가 발견되었다는 겁니다.

화살표와 엔터키가 바를게 먹지 않는다는 버그요…

저마다 해결책을 내놓는것 같긴한데 잘 안되나 봐요… dosbox.com에서는 다음 버전에서 버그를 고치겠다고 하고…

좀 더 google에서 찾아보고 집에 가서 다시 시도를 해봐야겠습니다.

=================== 수정 ===============
홈폴더에 .dosboxrc 파일을 생성후

[code:2i1zmvbl][sdl]
usescancodes=false[/code:2i1zmvbl]

위 코드를 집어 넣으면 키들이 정상 작동한답니다.

참고: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947416

[quote="dong":30jbbfll]Ubuntu 8.10을 최근에 새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삼국지 3를 해볼 생각으로 DosBox를 설치했고 실행은 잘 됩니다. ㅎㅎ
그런데 키보드 숫자 패드 옆에 있는 엔터키가 먹지 않는다는…
그래서 알아본 결과 ubuntu 8.10에서 dosbox의 버그가 발견되었다는 겁니다.
화살표와 엔터키가 바를게 먹지 않는다는 버그요…
저마다 해결책을 내놓는것 같긴한데 잘 안되나 봐요… dosbox.com에서는 다음 버전에서 버그를 고치겠다고 하고…
좀 더 google에서 찾아보고 집에 가서 다시 시도를 해봐야겠습니다.

=================== 수정 ===============
홈폴더에 .dosboxrc 파일을 생성후

[code:30jbbfll][sdl]
usescancodes=false[/code:30jbbfll]

위 코드를 집어 넣으면 키들이 정상 작동한답니다.
참고: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947416[/quote:30jbbfll]

굳이 .dosboxrc 파일을 생성할 필요까지는 없을 듯 합니다.
홈 폴더에 만들어 준 dosbox.conf 파일을 열어 보시면, [sdl] 옵션들이 주욱 있는데, 마지막 라인이
usescancodes=true 로 디폴트 설정 되어 있는 것을 false로 수정해주면 됩니다.

참고로, 몇 줄 위에 있는 autolock의 옵션을 false로 주면, 마우스가 도스박스에 가서 갇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일도 사라집니다.

[quote:2dr9ztff]참고로, 몇 줄 위에 있는 autolock의 옵션을 false로 주면, 마우스가 도스박스에 가서 갇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일도 사라집니다.[/quote:2dr9ztff]

와~~ 마우스 문제도 불편했었는데… 감사합니다. 나중에 해봐야 겠네요.

하하;;;;;;;;;; 저는 MS 창문 98만 돌아가는 노트북이라고도 못하는 고철 (정확히 말하면… 내장 사운드칩셋 정전기 먹고 망가졌고, 액정부분은 또 액정이 맛이 가버리는 바람에 액정만 떼어냈습니다.) 에서 DOS 게임 돌립니다 :mrgreen: :mrgreen: :mrgreen:

DOS 시스템을 네이티브로 돌리니까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