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르고 벼르던 그 날이 왔습니다.
노트북을 구입하는 날이 왔습니다.
2010년 2월 22일
4시쯤 용산으로 가서 7시가 거의 다 되어 집에 왔습니다.
여러곳에서 나눠진 물건들을 사느라 발에 물집 잡힐 지경.
파우치 무선 마우스 외장하드 등…
본론으로.
가격은 68만 7천원.
[img:ortibtin]http://i46.tinypic.com/2li7wox.jpg[/img:ortibtin]
이렇게 생겼습니다.
궁금해 하시는 제품의 사양.
[code:ortibtin]COMPAQ Presario CQ40-702TU
인텔 / 펜티엄 / T4400 (2.2GHz) / 14.1인치 / 1280x800 / 250GB / 2GB / DVD레코더 / 7 홈프리미엄 / 인텔 / GMA 4500M / 시스템 메모리 공유 / 2.36Kg / 6cell / 100Mbps 유선랜 / 802.11g 무선랜 / HDMI / D-SUB / 웹캠 / 블루투스 / 멀티 리더기 / 색상: 블랙[/code:ortibtin]
펜린 듀얼코어에 있을 것은 다 있는 제품.ㅎㅎ
그런데 황당하더군요. 집에가서 상자를 연 순간.ㅎㄷ ㄷ …
우리나라에 없는 규격의 접지 부분이 있더군요!
정신 나간 거 아냒ㅍㅍㄷㄷㄷ
[img:ortibtin]http://i49.tinypic.com/4lg2rn.jpg[/img:ortibtin]
동네 컴가게 가서 3천원 주고 선 하나 사서 꼈습니다.
제 글 읽고 사실 분들은 위 선을 꼭 확인하시고 사세요.ㅜㅜ.
어쨌든 컴을 키니 윈도우7이 자동으로 설치되더군요.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윈도우 7이 멋대로 설치되길래 ㅜㅜ 일단 설치를 했습니다.
자 이제 모든 것이 끝났습니다.
답글로 하나씩 하나씩 우분투 설치 과정을 적어가겠습니다.^^
시작하자 말자 바로 무선 인터넷이 잡히더군요. 윈도우 7인데, 동네에서 누군가 공유했나봐요.
일단 공유기값은 굳었군요.ㅎㅎ
다음 글은 윈도우 복구시디를 굽고 포멧을 한 후 우분투 설치기. 입니다.^^
개봉박두…벌써 9시 59분 이군요. 자야겠네요.ㅎㅎ
14인치인데 화면이 좀 작은 느낌…ㅜㅜ
지금까지 17인치만 써서 그런지 아직은 적응이 잘 안됨…ㅜㅜ
15인치는 좀 무겁더군요. 어쨌든 전 이만…
오호 아직 컴팩 이름 달고 나오다니 오래된 컴팩 노트북에 리눅스 깔아 잘 쓰고 있는 저로서 참 반갑군요. ㅎㅎ
역시 컴퓨터하면 컴팩이죠. (…라는 건 10년 전 이야기.; )
Windows 7도 꽤 괜춘한데 좀 써보시다가 바꾸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만, 뭐 우분투가 워낙 매력적이어야 말이죠. ㅋㅋㅋ.
사양도 괜춘하고 우분투가 아주 쌩쌩이 잘 돌겠습니다요. ㅎㅎ. 그래픽이 인텔 칩셋인게 좀 마음에 걸리지만 잘은 몰라도 최신급 인텔 글픽 칩셋이니 잘 되겠지요?
우분투 설치기/사용기 꼭 올려주세용~ ^^
드디어 dvd 공시디가 도착하여 어제 복구시디를 만들었습니다.
hp용 복구디스크 만드는 법이 있더군요.
어려운 것은 아니고 자체 도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만들어 줍니다.
dvd 4장이 필요했습니다. 이미지를 만들고 굽고 구워진 것을 재확인하기 까지 1시간 넘게 걸린듯.
기다리다가 쓰러지는 줄.ㅎㅎㅎㅎㅎ
[img:38cs824u]http://i50.tinypic.com/14y7t0.png[/img:38cs824u]
[img:38cs824u]http://i47.tinypic.com/wmhyrr.png[/img:38cs824u]
[img:38cs824u]http://i48.tinypic.com/98h6ix.png[/img:38cs824u]
위의 복구 디스크를 우분투에서 가상 실행 상자에 설치를 하려고 생각중입니다.
과연 될지… 설치가 가능한 복구디스크인지 확신이 서지 않군요.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그리고 우분투로만 쓸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윈도우7이 아깝더군요…ㅎㅎ
정품이고 … 굳이 지워버릴 이유는 없는 것 같아서 복구용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복구용은 rw용에는 구워지지가 않고 rom에만 구워진다고 경고가 나오더군요.
또한 한 번에 한하여 만들 수 있다고 나오네요.
복제품이 확산될까봐 염려가 되었나 보군요.ㅎㅎ
엠딸랑이…ㅎㅎㅎㅎ
CQ-702TU 제가 쓰는 이 제품.
정말 조용하고 열도 없네요.
1시간 동안 굽기를 진행했는데, 약간 온기가 느껴지는 정도네요.
사실 발열이나 소음문제는 매우 신경쓰이는 부분이지만 직접 사용하기 전,
다른 사람들의 말만 듣고는 알 수 없는 부분인데,
cq40 제품군이 아마 다 비슷할 것 같네요.
인텔 cpu라서 발열이 적은 것인지…
소음을 줄이는 방법은, bios에 들어가 기본값으로 되어 있는 환풍기 항상 회전을,
꺼주시면 자기가 알아서 똑똑하게 돌아갑니다.
조용하게…ㅎㅎㅎ
다음은 포멧후 우분투 설치하기 입니다.
250gb 저장공간을
/ : 10Gb
home : 나머지 전체
swap : 약1Gb
저렇게 나누고 우분투 9.10을 설치했습니다.
[img:24ifojl7]http://wholesale.techawave.com/images/keyboards/lkb-CQ40.JPG[/img:24ifojl7]
일단 무선 마우스도 잡히고 외장하드도 잡히고 단축키들도 잘 실행 됩니다.
음량조절 단축키 화면 밝기 단축키 프린터 단축키 등 잘 됩니다.
화면을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4번은 기회가 되면 해봐야 겠습니다.
일단 단축키가 아주 잘 되니 기분이 좋네요…ㅎㅎㅎ
다음은 무선 마우스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ㅎ
윗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무선마우스 이야기.
과연 무선마우스가 한 번에 잡힐까.
patech에서 아주 저렴한 물건이 나왔더군요.
만원 초반이었습니다.
일단 그 회사에 전화해서 리눅스를 지원하는지 물어보니 페도라에서 잘 되더랍니다.
거기서 되면 우분투도 되겠지 생각하고
샀습니다.
만원주고 샀죠. 사은품으로 공 디비디 주더군요.
PTM-G1
ㅎㅎ
[img:1gw2mjdl]http://i48.tinypic.com/2i7sas7.jpg[/img:1gw2mjdl]
아주 잘 됩니다.
cq40-702tu 노트북에서 아주 잘 돌아갑니다.
이 제품 적극 추천합니다.ㅎㅎ
[img:1gw2mjdl]http://i50.tinypic.com/118gj2g.jpg[/img:1gw2mjdl]
단 단점이라고 한다면.
뚜껑을 열어서 usb 수신기를 넣어야 하는 점입니다.
아는 분의 무선 마우스를 썼던 기억을 되돌아 보면 그 제품의 usb는 마우스 아래쪽에 수납공간이 있었습니다.
뭐 뚜껑안에 안전하게 담아 둘 수 있으니 이게 더 좋은 것일지도 모르겠군요.
[img:1gw2mjdl]http://i47.tinypic.com/29eg1z4.jpg[/img:1gw2mjdl]
무선 마우스 아주 잘 돌아가서 기쁩니다.ㅎ
일어서서 마우스로 편하게 볼 수 있네요.ㅎㅎ
[img:1gw2mjdl]http://i48.tinypic.com/2u43bjq.jpg[/img:1gw2mjdl]
[img:1gw2mjdl]http://i45.tinypic.com/2b36zb.jpg[/img:1gw2mjdl]
[img:1gw2mjdl]http://i48.tinypic.com/1zlu7go.jpg[/img:1gw2mjdl]
리눅스를 지원한다 라고 친절하게 그림으로 나와있네요.ㅎㅎㅎ
아주 저렴하고 성능도 만족합니다.
자동 전원 차단 기능도 있어서 컴을 끄면 작동 중지되어 아래 붉은 빛이 없어집니다.
다음 글은 외장하드에 대해서 적겠습니다.
우분투에서 지원되는 저렴한 외장하드 케이스…두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