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ip인데 랜선 한 번 바꿔 쓰고 난 뒤로 리눅스에서 인터넷이 안돼요

저번에 IRC에서 ping이 안날라간다고 난리치다 결국 방화벽 문제로 결론난-- freaxtux(a.k.a FreakyTux)입니다.
(인터넷은 잘 된다고 미리 제대로 말을 했어야 됐는데-
-;:wink:
그런데 이번엔 진짜예요. 인터넷 자체가 안 돼요.

일단 상황 설명을 드립니다.
기숙사에서 고정IP로 인터넷을 쓰는 중입니다.
학교에서 내 준 조별 숙제를 해야 했기에 다른 층에 살던 친구가 제 방으로 [s:3bfkdrik]놀러[/s:3bfkdrik] 왔습니다.
친구는 제 랜선에서 기존에 쓰던 IP 그대로 인터넷 연결을 했고
저는 룸메 랜선으로 기존에 쓰던 IP 그대로 인터넷 연결을 했습니다.(리눅스)
친구가 간 뒤에 제 랜선으로 인터넷 연결을 하려는데 그때부터 우분투로는 인터넷이 안 됩니다-_-
친구와 룸메와 저 세 명이 쓰는 DNS서버,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는 같습니다. IP 주소만 다릅니다.
게이트웨이가 a.b.c.d이면 제 IP는 a.b.c.e이고 친구 IP는 a.b.f.g, 룸메 IP는 a.b.c.e+1 입니다.
세 명중 저 외에는 모두 윈도를 씁니다.

현재 상황은, 친구나 룸메는 인터넷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윈도에서는 인터넷이 잘 되지만 리눅스에서는 인터넷이 안 됩니다.
리눅스에서는
0. 다음의 모든 내용은 sudo ifconfig eth0 down 한 뒤 다시 sudo ifconfig eth0 up을 해 보아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1. 크로미움
    인터넷에 연결하려고 하면 DNS오류라면서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2. 네트워크 관리자
    패널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안 뜨다가 sudo killall NetworkManager를 치면 나타납니다.
    (xubuntu 세션으로 로그인 해서 관찰한 내용입니다)
    클릭을 하면 유선네트워크는 관리되지 않음으로 뜨고, 무선네트워크는 무선랜을 켜 놨는데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고 뜹니다.
    오른쪽 클릭 메뉴 내에 있는 연결 정보 메뉴를 누르면 활성된 연결을 찾을 수 없다는 말이 뜹니다.
    오른쪽 클릭-연결 편집을 눌러 보면 설정은 맞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했듯 관리되지 않음으로 뜨니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3. ifconfig
    ifconfig에는 eth0가 잘 뜹니다.(wlan0는 확인 안 했네요)
    IP나 netmask도 설정한 값에 맞게 뜹니다.

USB에 깔아둔 우분투로도 인터넷이 안되네요. 전에는 분명 둘 다 제대로 됐는데도 그러네요. 하드디스크의 우분투만 안 되면 설정 파일이 어디선가 꼬였을거라 짐작할 수 있겠지만 왜 이런건지 전혀 모르겠네요. 네트워크 관리자가 먹통인걸 보면 외부 요인도 아닌 것 같고 말이죠.
무슨 문제가 있어서 이렇게 되는걸까요?

추가)
4. conky
IP는 제대로 잡는데, 업로드 수치는 계속 0이고 다운로드 수치는 양이 늘었다 줄었다 하지만 계속 지속됩니다.

갑자기 무선 인터넷이 되네요-_-이건 또 뭐하자는건지;;

흠 일단 Gateway로 핑이 되는지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네요.
Gateway는 netstat 명령이나 route명령으로 확인해 보시면됩니다. 고정 IP방식이니 이미 알고 계실 수도 있구요.

[code:22jh3zxe]

netstat -r

route

...
...
default xxxxxxxxx 0.0.0.0 (그외에...)
[/code:22jh3zxe]

저 default에 나오는 IP로 PING을 해서 PING이 성공적이라면 일단 IP와 NETMASK, DEFAULT ROUTE는 정상이라는 뜻이 됩니다. 세가지가 정상인데 웹프로그램이나 다른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는 DNS서버 설정이 잘못된 경우라고 보면 됩니다.
DNS서버 설정은 /etc/resolv.conf 에 기록되게 되어 있고 현재 버전이 항상 기록되게 되어 있습니다.

resolv.conf의 내용중

[code:22jh3zxe]
nameserver w.x.y.z
[/code:22jh3zxe]

w.x.y.z로 아까와 마찬가지로 PING을 해 봅니다. 만약 PING이 안된다면 서버가 죽었거나 DNS서버로 가는 과정의 네트웍에 문제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물론!!! iptable이나 개인방화벽등의 설정에 의해서 네트웍이 차단되는 경우는 여기서 배제한 것입니다. 만약 그런 기능을 사용하고 계셨다면 위의 과정은 해당 기능들을 모두 끈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도 문제가 없다면… 정말 복잡한 원인으로 네트웍이 안되는 것이므로 전문가를 찾아서 부탁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quote="lanterrt":3mfjzzq7]흠 일단 Gateway로 핑이 되는지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네요.
Gateway는 netstat 명령이나 route명령으로 확인해 보시면됩니다. 고정 IP방식이니 이미 알고 계실 수도 있구요.

[code:3mfjzzq7]

netstat -r

route

...
...
default xxxxxxxxx 0.0.0.0 (그외에...)
[/code:3mfjzzq7]

저 default에 나오는 IP로 PING을 해서 PING이 성공적이라면 일단 IP와 NETMASK, DEFAULT ROUTE는 정상이라는 뜻이 됩니다. 세가지가 정상인데 웹프로그램이나 다른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는 DNS서버 설정이 잘못된 경우라고 보면 됩니다.
DNS서버 설정은 /etc/resolv.conf 에 기록되게 되어 있고 현재 버전이 항상 기록되게 되어 있습니다.

resolv.conf의 내용중

[code:3mfjzzq7]
nameserver w.x.y.z
[/code:3mfjzzq7]

w.x.y.z로 아까와 마찬가지로 PING을 해 봅니다. 만약 PING이 안된다면 서버가 죽었거나 DNS서버로 가는 과정의 네트웍에 문제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물론!!! iptable이나 개인방화벽등의 설정에 의해서 네트웍이 차단되는 경우는 여기서 배제한 것입니다. 만약 그런 기능을 사용하고 계셨다면 위의 과정은 해당 기능들을 모두 끈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도 문제가 없다면… 정말 복잡한 원인으로 네트웍이 안되는 것이므로 전문가를 찾아서 부탁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quote:3mfjzzq7]
Gateway로 핑이 가는 건 확인했습니다. DNS의 경우 기숙사의 방화벽으로 막혀 있었는지 원래 핑이 안 먹었습니다. 원래 설정해 둔 DNS 주소로 설정돼 있는건 맞네요.

nslookup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다음 www.google.com 을 검색해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code:j2cw5uo3]

nslookup

> www.google.com
Server: dns.server.ip.address
Address: dns.server.ip.address#53

Non-authoritative answer:
www.google.com canonical name = www.l.google.com.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99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103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104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105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106
Name: www.l.google.com
Address: 74.125.153.147
>
[/code:j2cw5u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