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ttp://ani2life.com/wp/?p=1205
위의 사이트에 나와있는 내용을 보고 LVS로 FTP를 분산 시키려고 하는데 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네요…
LVS 서버 그리고 분산 시킬 FTP1, FTP2 서버 이렇게 있을 경우 VIP를 세군데 서버 동일한 VIP를 지정을 해 준다고 되어 있는데…
이게 가능한가요?? 충돌이 나지 않나요?? 그리고 만약 192.168.0.10 이라는 VIP를 세개의 서버에 동일하게 설정했을 경우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192.168.0.10 이라는 IP를 입력 했을 때 LVS에 접속을 해야 정상적인 분산이 될텐데…다른 FTP1, FTP2도 192.168.0.10 이라는
동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VS에 붙지 않고 FTP1,FTP2 서버에 바로 붙어 버리지 않나요??
제가 아직 초보라서 이 부분이 이해가 잘 되지 않네요… 죄송하지만 아시는 분들은 설명좀 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LVS는 모릅니다. 그렇지만, 링크해 주신 글을 읽어보니 대충 이해는 되고 그럴듯해 보이네요. 저도 일부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ㅎㅎㅎ
의문을 제기하신 부분의 답은 link해 주신 글에 있네요. 그 글에서 다음의 단락을 가져왔습니다.
[quote:1r2c4pl2]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결정 프로토콜) 기능을 끄는 설정을 반드시 추가해야 한다. 외부에서 가상 IP(192.168.56.10)로 접속시 ARP가 캐쉬 되면 로드밸런싱이 되지 않고 캐쉬된 맥주소의 장비로 바로 연결이 되버린다.
[/quote:1r2c4pl2]
아시다시피 IP 주소를 가지고 device에 연결하기 위하여 ARP가 필요하며, ARP는 IP 주소를 Ethernet 카드 주소 (즉, MAC 주소)로 바꾸는 일을 합니다. 위에 보인 바와 같이 web server (dizi1942 님의 경우 FTP1, FTP2)들의 ARP를 꺼버렸습니다. 그러니, web server 들은 ARP를 못하고, load balancer만 ARP를 하죠. 따라서, 가상 IP로 외부에 들어온 web 연결을 위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router에서 ARP를 위한 broadcast packet를 뿌리면, web server 들은 침묵하고, load balancer만 대답 (MAC address)을 하겠죠. 따라서, 가상 IP로 접속을 시도했을 때, 대답하는 load balancer의 MAC address에 접속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LVS를 몰라서 헛소리 했다면 용서하시고… 문제 없이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적어 주신 내용이 맞는거 같네요…^^ 지식이 짧아서 신중하지 못했네요…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