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os도 리눅스 기반이라고 하던데 mac용 프로그램 우분투에서 돌릴 수 있나요?

요즘 곰티비를 많이 보는데 wine으로 곰 돌리는건 wine쓰기가 너무 어렵더라구요~ㅎ
혹시 MAC용 곰플레이어를 돌릴 수 있을까해서 여쭤봅니다!ㅎ
(곰티비 홈페이지에서 그냥 플레시로 돌려주면 볼 수 있는데 그게 젤 아쉽습니다.)

안 돌아가요.
Mac 은 BSD 기반입니다.

리눅스 기반이라기보단 좀 더 뿌리를 파고 들어가서 리눅스와 같이 유닉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해야 맞는거지요.

무식이 넘치는 질문이었군요…ㅠㅠ

[quote="cogniti":2a8ovrda]안 돌아가요.
Mac 은 BSD 기반입니다.[/quote:2a8ovrda]
이중 커널이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다윈위에 유닉스가 깔려 있는 그런 이중 커널 구조라고 하던데요…

[quote="cruiser":1x7wci15][quote="cogniti":1x7wci15]안 돌아가요.
Mac 은 BSD 기반입니다.[/quote:1x7wci15]
이중 커널이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다윈위에 유닉스가 깔려 있는 그런 이중 커널 구조라고 하던데요…[/quote:1x7wci15]

이중커널구조란 용어가 저는 좀 생소하긴 하지만…;;

다윈은 애플 독자커널인 XNU커널에 BSD 레이어를 올린것입니다.

그러니 BSD 기반이라는 말이 틀린건 아닙니다. :)

[quote="lunatine":sr2dfs8f][quote="cruiser":sr2dfs8f][quote="cogniti":sr2dfs8f]안 돌아가요.
Mac 은 BSD 기반입니다.[/quote:sr2dfs8f]
이중 커널이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다윈위에 유닉스가 깔려 있는 그런 이중 커널 구조라고 하던데요…[/quote:sr2dfs8f]

이중커널구조란 용어가 저는 좀 생소하긴 하지만…;;

다윈은 애플 독자커널인 XNU커널에 BSD 레이어를 올린것입니다.

그러니 BSD 기반이라는 말이 틀린건 아닙니다. :)[/quote:sr2dfs8f]
그런가요? BSD가 먼지 설명부탁드립니다

[quote="cruiser":1ruc9b7v]
그런가요? BSD가 먼지 설명부탁드립니다[/quote:1ruc9b7v]

[url:1ruc9b7v]http://www.kr.freebsd.org/doc/WhatIsFreeBSD/[/url:1ruc9b7v]

그러면 한가지만 물어보겠습니다.
정확하게 안드로이드랑 mac os 랑 다른점과 공통점이 뭐지요?

[quote="sg4520":vqa8dp9n]그러면 한가지만 물어보겠습니다.
정확하게 안드로이드랑 mac os 랑 다른점과 공통점이 뭐지요?[/quote:vqa8dp9n]

공통점은 원류가 UNIX라는겁니다.
차이점은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커널을 베이스로 임베디드 플랫폼 전용으로 구축된 OS이고
MacOS는 Apple사의 매킨토시 계열 하드웨어에 최적화 시켰다는 점이지요.

특히 MacOS의 경우에는 기반 구조만 UNIX에서 따 왔을 뿐, 현재의 모습은 유닉스와 리눅스와는 거의 완전히 다르다고 보셔야 합니다.
지금에 와서는 커널조차도 거의 오리지널에 가까울 정도로 변형 & 리뉴얼이 많이 되어 있지요.

이로 인해서 상호간…이라기보다 Mac OS와 다른 OS간의 호환성은 거의 전무하고 하드웨어로 넘어가면 말 그대로 독점입니다.
Apple에서 발매한 매킨토시 하드웨어 이외에서는 절대 구동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흔히 해킨토시라고 해서 일반 PC계열에서 구동 가능하게 포팅된(비공식입니다) Mac OS가 존재하고
반대로 매킨토시 하드웨어에서 구동 가능하게 포팅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오픈소스 진영의 자체적 개발로 매킨토시에 리눅스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는 Google에서 시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현재 2.3버전까지 릴리즈 된 상태입니다.
기반은 리눅스로 시작했고, OS구조는 임베디드 리눅스의 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그렇게 큰 노력 없이 상호 호환이 가능힙니다. (물론 소스코드 레벨의 수정이 필요하긴 합니다)

그렇지만 다윈은 오픈소스이지요. 독자커널위에 올린거라고는 하지만 안드로이드나 리눅스와 오픈소스라는 점은 같군요. (커널만 오픈소스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아쿠아나 코코아, 로제타 같은 것은 절대 오픈소스가 아닙니다.)

다윈이 오픈소스로 나오면서 인텍 맥이 나오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도 할 수 있지요. (다윈이 공개된지 얼마 안 되어서 인텔용이 커널이 개발 되었거든요.) 오픈소스의 힘이라면 힘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안드로이드는 핵심부분인 커널+가상머신+하드웨어 추상화 레이어 등이 공개됩니다. 휴대폰에 들어가는 것과 다른 것은 해당 기기에 맞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시스템 어플리케이션+구글 서비스(마켓, 지도 이런 것은 클로즈드에요. 배포하면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등이 있습니다.

우분투는… 100%공개입니다. 100%오픈소스만을 채용했기에 우분투 공식 저장소에 있는 모든 프로그램은 전부 소스가 공개 되어있습니다. (nVidia같은 독점드라이버는 제외합니다.)

가끔 몇몇 아이폰 사용자들 보면 안드로이드를 왜이렇게 까대는지 참… 오픈소스라고 까는 사람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것이 오픈소스의 힘을 받았다는 사실을 모르나 봅니다.

[quote="kjm89":zcjvw3hc]가끔 몇몇 아이폰 사용자들 보면 안드로이드를 왜이렇게 까대는지 참… 오픈소스라고 까는 사람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것이 오픈소스의 힘을 받았다는 사실을 모르나 봅니다.[/quote:zcjvw3hc]

이 부분은 예전부터 지금까지의 데스크탑 OS에서의 윈도우와 리눅스와의 관계와 똑같습니다.
다만 틀린 점이라면 윈도우와 맥의 위치가 바뀐겁니다.

이런 대립 구도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바뀐게 하나도 없어요.
리눅스 이용자들이 [그런 답답한 OS 어디다 쓰냐]라고 하면 윈도우 이용자들은 [그렇게 고생하며 컴퓨터 쓸 필요가 있냐] 라고 합니다.
이게 그대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로 넘어온 것 뿐이지요 : )

사실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시는 게,

맥 OS X은 10.5버전부터 단일 유닉스 규격의 표준을 따르는 유닉스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유닉스"이며,
리눅스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죠.

뭐, 그렇지 않다고 해서 뭐가 잘못됐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참고: [url]http://ko.wikipedia.org/wiki/단일_유닉스_규격[/url]

[quote="Seony":2bvw0za2]사실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시는 게,

맥 OS X은 10.5버전부터 단일 유닉스 규격의 표준을 따르는 유닉스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유닉스"이며,
리눅스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죠.

뭐, 그렇지 않다고 해서 뭐가 잘못됐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참고: [url]http://ko.wikipedia.org/wiki/단일_유닉스_규격[/url][/quote:2bvw0za2]

표준 유닉스 규격을 따라가게 바뀌었군요.

어…그럼 직접적인 바이너리 수준 호환성은 몰라도 컨버팅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거 아닌가요?
(…라지만 컨버팅도 쉬운건 아니지요 OTL)

기본적으로 source code가 공개되어 있고 맥자체의 cocoa와 같은 라이브러리에 종속적인 부분이 별로 없는 소프트웨어라면

포팅이 가능 할겁니다. 하지만 맥전용 SW는 맥의 화려한 UI를 십분활용하는게 많고 상용소프트웨어는 소스를 오픈하는게 거의 없죠

그러나 두가지를 확보한상태라면 포팅은 가능합니다. 그래서전 블리자드가 좀 힘좀써줬으면 합니다.
블리자드게임은 윈도우용과 맥용이 거의 동시또는 비슷한시기에 발표되죠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요
맥용에서 조금만 신경쓰면 리눅스용이 나올수 있을텐데

스타, 와우,디아블로(새로나올3) 정도가 포팅된다면 개인이나 특히 PC방(여기는 윈도우를 정품으로 사서쓰기때문에
비용부담을 좀 느낍니다)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크게늘텐데요

문제는 wine 으로 잘돌아서 별 필요를 못느끼게 되었다는 개인적으로^^

[quote="bluedog7":105vm772]기본적으로 source code가 공개되어 있고 맥자체의 cocoa와 같은 라이브러리에 종속적인 부분이 별로 없는 소프트웨어라면

포팅이 가능 할겁니다. 하지만 맥전용 SW는 맥의 화려한 UI를 십분활용하는게 많고 상용소프트웨어는 소스를 오픈하는게 거의 없죠

그러나 두가지를 확보한상태라면 포팅은 가능합니다. 그래서전 블리자드가 좀 힘좀써줬으면 합니다.
블리자드게임은 윈도우용과 맥용이 거의 동시또는 비슷한시기에 발표되죠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요
맥용에서 조금만 신경쓰면 리눅스용이 나올수 있을텐데

스타, 와우,디아블로(새로나올3) 정도가 포팅된다면 개인이나 특히 PC방(여기는 윈도우를 정품으로 사서쓰기때문에
비용부담을 좀 느낍니다)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크게늘텐데요

문제는 wine 으로 잘돌아서 별 필요를 못느끼게 되었다는 개인적으로^^[/quote:105vm772]

제가 idSoftware를 좋아하는건 … 카멕님께서 VM 형태의 게임엔진을 제작하신뒤로는

리눅스/맥/윈도우 다 지원이 되어서 좋습니다.

해외에서 Darling 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dmg / app 파일을 직접 설치 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저도 설치는 해봤지만 아직 실행은 안되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