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nas를 네트워크 드라이브처럼 쉽게 연결하는 방법?

시놀로지 DS 710+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NFS서비스를 사용함으로 하고 있구요.

그런데 윈도우즈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네트워크드라이브"-"\192.168.0.50***"이렇게
하면 연결이 자동으로 되는 유틸리티가 있을까요?

현재, NFS로 연결하려고 하면,

mount -t nfs IP주소 … 이런식으로 가고 이를 부팅해서 연결하려고 하면, /etc/fstab에서
또 설정을 해야하구요…

아 너무 복잡합니다. 그냥 GUI 방식의 유틸리티에서 연결하고 싶을때, 윈도우처럼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폴더 형식으로 그냥 붙여서 쓰기 쉽게 하는 방법이 있나요?

삼바 클라이언트 설치 하시면

노틸러스에서 말하신것처럼 연결됩니다.

*저런, 요즘 제가 난독증이 있나봅니다. gui를 찾고 계셨군요.

gui로는…

12.04 유니티 화면 기준으로,

바탕화면에서 상단 바에 'go’에서 ‘network’ 들어가셔서, 네트워크 찾아가신 뒤에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하시면서 들어가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들어가실때마다 매번 상단에서 네트워크를 찾아 들어가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조금 있습니다.

(의외로 fstab 수정해서 쓰는게 편합니다. 붙박이로…원하는 위치에 마운트해놓고 쓰시면 절대로 손대야 할 이유도 없고,

따로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더 돌려야 할 필요도 없으며,

IP나 패스워드가 바뀌지 않는 이상 다시 손댈 필요도 없어집니다. 저는 이렇게 '내문서’파일들을

NAS에 넣고 홈 폴더 내에 '내문서’에 마운트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퓨터가 폭팔해도 문서는 살아있게 해놨습니다.ㅎㅎㅎㅎ)

& 소위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관련하여 리눅스에서 따로 gui 프로그램은…못봤네요…

저도 윈도우에서 넘어와서 '네트워크 드라이브’잡기 위해 한동안 무척 애를 썼거든요.

프로그램이 없는 이유는 리눅스에서는 서버에서 소위 '네트워크드라이브’를 잡는

(이를 리눅스에서는 '마운트’라고 합니다) 방법이 너무나도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fstab를 수정해서 할수도 있고, 그냥 명령어 하나 쳐 넣어서 할수도 있고,

그 명령어도 워낙에 다양하다 보니 gui로 만들기에도 어렵다 보니 그래서 gui가 없지 않을까싶네요.

반대로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쓰실줄 안다면, 네트워크를 마운트하는 방법은 그만큼

다양하고 또 쉬워집니다.

이번기회에 fstab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을 익혀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을까 싶네요.


[url:2564frla]http://ubuntu.or.kr/viewtopic.php?f=21&t=21608[/url:2564frla]

같은 시놀로지는 아니나, 와이즈기가의 2200a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ftp나 삼바로 연결하는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이전에 제가 올려놓고…결국 제가 답변을 달아버린 '자문자답’글중 하나인데, ㅎㅎㅎ

이런 방법도 있으니 한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방법은

[code:2564frla]1. '시작명령’에 삽입해서 사용하는 방법

2. ‘fstab’ 파일을 수정하여 사용하는 방법[/code:2564frla]

요렇게 두가지로 사용해봤습니다. 다만, '시작명령’에 삽입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쓰실 때는 사용하시는

명령어의 권한을 수퍼유저만 쓸수 있는 권한에서 일반유저도 쓸 수 있는 권한으로 내려야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방법은 링크에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두번째 방법을 추천합니다(권한을 안내려도 되니 비교적 안전합니다).

현재 우분투12.04 입니다. smb와 nfs 관련 모든 것 설치되었다는 가정하에…

시놀로지의 내부 네트웍은 192.168.0.50입니다. 윈도우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시에는
"\192.168.0.50\smlabor\work" 라고 치면 연결됩니다.

마운트의 개념이 잘 안 와닿아 그렇지만, 윈도우 기준으로 바탕화면에 'work’의 바로가기를
만들고 싶습니다.

즉, 마운트된 nfs를 우분투기준으로 "/home/jinud/바탕화면/work바로가기" 이렇게 연결
하고 싶습니다.

아이디는 mailsjb 비밀번호는 **** 입니다.

시놀로지 나스의 NFS 설정은 그림과 같으며, guest계정도 현재는 열어놓은 상태입니다.
(이상하게 guest 설정을 막아 놓으면 SMB에서도 보이지 않습니다.)

1.NFS 연결시에 터미널에서 연결 명령어와 fstab에서 자동시작 연결명령어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혹시, SMB로 연결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하면 SMB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연결해서 바로 자료를 읽고 쓰고 편집하고 하려고 합니다.(윈도우즈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할수 있는 일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3.NFS 설정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1)클라이언트 라고 써진 부분에는 어떤걸 넣어야 하나요? 현재 내부 ip가 192.168.0.50 인데,
그냥 접속하고 싶은 아이디를 넣어 예를들어 test라고 입력해도 되나요?

(2)root squash와 비동기가 무슨 의미인가요?

(3)마운트경로:/volume1/smlabor 라고 되어 있는데, 이건 어디에 써먹는 건가요?
마운트경로라 함은 (1)번의 클라이언트 이름을 넣는 건가요?

4.NFS에 접근할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나요? 윈도우에서 설정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그대로 쓰는 건가요?

아… 어려워요.

너무 초보이다 보니 별걸 다 물어보네요. ㅠㅠ

부탁드립니다.

우분투는 쉬운듯 하면서도 텍스트기반으로 해야하는 것들이 많고, 정보를 검색
해도 도통 무슨 말인지 몰라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마 저도 컴터 조립 정도는 할줄
알고 어렸을때, 컴터 조금은 배웠는데도 이러한 상황이니… 컴맹이신 분들에겐 넘사벽일듯 ㅠㅠ)

윈도우에서 연결해서 잘 사용중이셨다면.

삼바로 연결해서 사용하신겁니다. NFS아닙니다.

윈도우에서 시작->실행 누르고 \아이피주소\경로 이렇게 사용하시거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해서 사용하신 방법대로

우분투에서 사용하실려면 노틸러스에서 연결 하면 똑같이 됩니다.

다만 재부팅 하거나해도 항상 연결되게 하실려면 fstab에 설정 하는게 편하다는겁니다.

[quote="mailsjb":2rltjw4b]현재 우분투12.04 입니다. smb와 nfs 관련 모든 것 설치되었다는 가정하에…

시놀로지의 내부 네트웍은 192.168.0.50입니다. 윈도우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시에는
"\192.168.0.50\smlabor\work" 라고 치면 연결됩니다.

마운트의 개념이 잘 안 와닿아 그렇지만, 윈도우 기준으로 바탕화면에 'work’의 바로가기를
만들고 싶습니다.

즉, 마운트된 nfs를 우분투기준으로 "/home/jinud/바탕화면/work바로가기" 이렇게 연결
하고 싶습니다.

아이디는 mailsjb 비밀번호는 **** 입니다.

1.NFS 연결시에 터미널에서 연결 명령어와 fstab에서 자동시작 연결명령어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혹시, SMB로 연결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하면 SMB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연결해서 바로 자료를 읽고 쓰고 편집하고 하려고 합니다.(윈도우즈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할수 있는 일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quote:2rltjw4b]

죄송합니다. 제가 NFS를 사용해본적이 없어(제가사용하는 와이즈기가 2200a모델에서는 삼바(smb)와 ftp만 지원을 해줍니다) smb(이하 ‘삼바’)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려야 될거 같습니다. 참고로, 위에서 다른 분께서 말씀하여주셨듯이, 윈도우에서 사용해오신건 '삼바’공유방식입니다.

[quote:2rltjw4b]마운트의 개념이 잘 안 와닿아 그렇지만, 윈도우 기준으로 바탕화면에 'work’의 바로가기를
만들고 싶습니다.[/quote:2rltjw4b]

윈도우에서는 보통 '네트워크 드라이브(드라이브에 새로이 추가하는 방식)'이나 '바로가기’를 통해서 자료를 주고받곤 하죠. 이를 리눅스에서는 보통 '마운트’시킨다고 표현합니다. 차이는, 윈도우에서는 보통 '드라이브’를 생성해서 새로이 하드나 시디롬등을 사용하게 하는 반면, 리눅스에서는… 드라이브 대신 이 모든게 ‘파일’ 혹은 '폴더’로 되어져 있습니다. 모든게 파일 혹은 폴더로 연결되어져 있는 것입니다.(이걸 '마운트’라고 이해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방법은 두가지가 될거 같습니다.

[quote:2rltjw4b]1. 바탕화면에 'work’폴더를 만들어 놓고 직접 마운트 하기

  1. 적당한 곳(?)에 마운트 해놓고… 바로가기(link)로 빼놓기[/quote:2rltjw4b]

보통은 두번째가, 링크를 삭제하거나 바꾸거나를 마음대로 할 수 있어서 쓰기가 편하고,

초보가 하시기에는 아싸리 바탕화면에 마운트 시켜버리는게 이해가 더 쉬우실 거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문제라기보다는…쓰는데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마운트’는 '수퍼유저’만이 쓸 수 있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입력할려면… 매번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편하게 쓸려고 바로가기 해놓을려 하는건데… 매번 명령어 처넣고, 암호 처넣고… 보안상으로는 '확실’한 반면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매번 컴퓨터를 켤때마다 넣어야 하니 불편하겠죠…??

그래서 ‘fstab’ 파일을 수정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수퍼유저 암호 매번 넣지 않고도 마운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code:2rltjw4b]//192.168.0.150/loxcane /home/sungyo/문서 smbfs username=loxcane,password=*******,uid=1000,gid=1000,setuids,codepage=cp949,rw 0 0[/code:2rltjw4b]

잠시, 제 fstab 파일에 '삼바’로 내문서를 마운트하고 있는 명령어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자세히 살펴보시면, 주소 한줄 들어가고 스페이스바 하나 넣고, 그다음 주소 들어가고 스페이스바 넣고, smbfs라고 적고는…그 뒤에 죽죽죽죽 적혀있는게 보이실 것입니다. 이 말은, 앞전의 경로를 뒤의 경로에 마운트 시키는데, smbfs라는 방식으로 할 것이고, 그 뒤에 이러 이러한 옵션들을 주는 것입니다. 하나씩…살펴보겠습니다.

(참, smbfs를 설치를 해주셔야 하는데…안되어져 잇으시면 터미널에서

[code:2rltjw4b]sudo apt-get install smbfs[/code:2rltjw4b]

를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에는,

[code:2rltjw4b]//192.168.0.150/loxcane[/code:2rltjw4b]

이곳이 제가 마운트를 해올 경로입니다. 192.168.0.150이란 아이피주소 내에 loxcane이란 폴더를 마운트 해올려 하는군요.

[code:2rltjw4b]/home/sungyo/문서[/code:2rltjw4b]

이것은 제 데스크탑 내에 마운트를 해놓는 '경로’입니다. 저는… 홈폴더에, 제 개인 개정 내에 '문서’파일에 직접 마운트를 해놓았습니다.

[code:2rltjw4b]smbfs[/code:2rltjw4b]

요게 명령어가 되겠군요. 즉, '삼바’로 마운트를 한다…라고 제가 명령을 주고 있습니다. 그 뒤에 이 명령어의 옵션들을 볼까요? 그 뒤에 옵션들은, 스페이스바가 아닌 ','로 구별을 해줍니다.

[code:2rltjw4b]username=loxcane,password=*******,[/code:2rltjw4b]

이건… NAS에서 접속할때 들어가는 아이디와 암호입니다.

[code:2rltjw4b]uid=1000,gid=1000,[/code:2rltjw4b]

요건, 제가 사용하는 '데스크탑’의 유저아이디와 그룹 아이디를 말하는건데… 확인 방법은 '터미널’에서 'id’라고 치면 지금 사용하시는 리눅스에서의 uid와 gid가 확인이 되실겁니다. 그걸 찾아서 본인의 경우로 적어 넣어주시면 됩니다.

[code:2rltjw4b]setuids,[/code:2rltjw4b]
이건… 실행시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하겠습니다. 라는 옵션입니다.

[code:2rltjw4b]codepage=cp949,[/code:2rltjw4b]
요거슨 NAS의 '인코딩’방법에 따라서 설정을 해주는 것인데요, 제 NAS는 한글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euc-kr’로 설정되어져 있습니다. 지금 소유하고 계신 시놀로지 NAS의 인코딩 방법이 어떠하신지 모르나, 폴더나 파일명에서 한글이 지원되신다면 euc-kr로 되어져 있으실 것이며 이 옵션을 동일하게 주시면 됩니다.

[code:2rltjw4b]rw[/code:2rltjw4b]
지금 제가 이게 잘 기억이 안나는데, 아마도 쓰고 읽고 하는 권한을 다 주는 옵션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 뒤에 '0 0’이건 fstab에서 마운트와 관련된 옵션인데 똑같이 주시면 문제 없으실 것입니다.

서론이 길어 죄송합니다.
이렇게… 본인의 경우를 적용하실 경우에는,

먼저 바탕화면에 'work’라는 폴더를 만들어 놓으시고

[code:2rltjw4b]//192.168.0.50/smlabor/work
/home/jinud/바탕화면/work smbfs username=mailsjb,password=,uid=,gid=****,setuids,codepage=cp949,rw 0 0[/code:2rltjw4b]

이렇게 넣으시면 될 것입니다.( 이거…한줄로 된 명령어입니다. 엔터 들어간거 아니오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uid와 gid는 터미널에서 'id’를 치신 뒤에 나오는 값을 확인해서 대입해 넣어주시면 될 것입니다.

(참고로 윈도우에서는 주소를 적을 때 ''로 적는 반면, 리눅스에서는 '/'로 구별을 합니다. 리눅스에서 ''는…주소나 명령어 적는 도중에 특별한 문자값을 전에 그 앞에다 적어넣는 것이라 용도가 다르오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적어드린 명령어처럼 그냥 다…/ 로 구별하시면 됩니다.)

저 명령어에 패스워드와 uid와 gid를 대입하시고, fstab 뒷부분에 한번 삽입한 뒤에, 한번 껐다가 켜보시기 바랍니다.
마운트 잘 되었으면…키신뒤에 바탕화면에 만들어놓으신 work 폴더에서 내용물이 깨지지 않고 짠 하고 열릴 것이고,
내용물이 열리긴 열리는데 한글이 깨져서 나오시면… 옵션 중에 codepage만 빼시고 한번 넣어보시고,
켜지는데 마운트 어쩌구 저쩌구하면서 마운트 잘 안되었다 나오거나…
혹은, work 폴더를 열어도 내용물이 아무것도 없다면 마운트가 잘 되지 않은 것이니 원인을 하나씩
차근차근 찾아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smbfs가 처음부터 설치가 안되셨다던지… 암호나 패스워드, 혹은 주소가 잘못된 부분이 있으시던지… 혹은 명령어 입력이 잘못된 부분이 있던지…)

뭐…일단 한번 시도해보셔야 알겠죠…?^^;;;;;

으헉 정말 하라는 데로 하니깐 신기할 정도로 잘 되네요. --;
굳이 NFS 시스템으로 연결되지 않아도 되네요.

서론이 길어서 이것저것 궁금한 것들 모두 해결되었습니다.
윈도우즈랑 다른 운영체제를 쓴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실이 ~

그런데, 이렇게 자세하게 가르쳐 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이제 한글2008리눅스 부터, 와인으로 MSoffice2010, 한컴오피스2010 설치하고
NAS의 파일들을 불러오니 남부럽지 않습니다. 완전 짱입니다.

우분투 속력때문에 2D유니티로 돌리고 있는데, 윈도우 보다 빠릿하네요. 지금시스템은
785G AMD칩셋에 레고르250 입니다. 정말 우분투 괜찮네요. ~

다른 분들도 댓글 주셔서 감사하구요. 특히 loscane님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사실 어제 오전 7시에 사무실 나와 10시까지 이것저것 NFS에 대한 것을 모두 찾아보았는데도
도무지 연결도 잘 안되고 어렵기만 하더라구요.

앗, 그리고 혹시 아래의 그림에 대해서는 아시는지요? smb4k라는 gui 를 설치했는데 무엇을
넣으라는 건지 몰라서요.

으헉 정말 하라는 데로 하셔서 되셨다니 저도 정말 신기하네요.ㅋㅋㅋㅋ

보여주신 어플을 한번 살펴봤는데, 삼바를 마운트해주는 용도로는 보이나…정확히는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짐작으로는… 전체공유(아이디/패스워드 지정이 안된)로 지정된 삼바공유를

대상으로 마운트를 해주는 어플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 네트워크중에 전체공유가 되어져있는 삼바가 없어서 직접 확인까지는 못해봤습니다)

즐거운 우분팅 되시길 바랍니다.^^

  • 참고로… 우분투가 리눅스 기반에, GUI를 입혀놓은지 그리 오래 되진 않다 보니 아직 명령어를 통해

풀고 해결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우분투에게도 장점이 있으니…

윈도우보다 안정적입니다. ㅡ,.ㅡ 이놈은 도무지 한번 마운트 해놓으면…풀릴 기미가 안보입니다.

제가 저렇게 6개월 썼는데도 한번도 풀리는걸 못봤습니다.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