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저기 찾아보니
ximeta 서버가 가끔 죽어있는 모양입니다.
code.ximeta.com이 접속이 안되는데
혹시
우분투용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다른 링크를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설치 및 연결 방법도 좀 부탁드립니다.
복받으세요.
여기 저기 찾아보니
ximeta 서버가 가끔 죽어있는 모양입니다.
code.ximeta.com이 접속이 안되는데
혹시
우분투용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다른 링크를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설치 및 연결 방법도 좀 부탁드립니다.
복받으세요.
현재는 http://code.ximeta.com 잘뜨는군요
우분투 설치 법은 http://code.ximeta.com/trac-ndas/wiki/HowToBuildDEB 인데
For Ubuntu 9.04 on 2.6.28 kernel 패치 까지 있군요 9.10은 안되려나 …
해결했습니다.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은 잘 붙어서 돌아가고 있기는 한데…
ntfs로 돌릴라니깐 잘 안되는군요.
fat32로는 잘 되는데 말이죠…
리눅스에서는 읽기로만 붙여놓고
윈도우에서 주로 쓰는지라 리눅스 파일시스템으로는 바꿔볼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그런 것인지
뭐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 변경되었을 때 그때 그때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언마운트했다가 다시 마운트해야만 업데이트가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건 또 무슨 문제일까요…?
9.10 설치법이 보여서 간단히 번역합니다
도움이 됐으면합니다.
#컴파일을 위한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리로 갑니다.
mkdir ndas
cd ndas
#터미널에서 컴파일에 필요한 파일들을 미리 설치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dpkg-dev debhelper gcc bzip2 fakeroot module-assistant libc6-dev build-essential
sudo apt-get install linux-headers-uname -r
#ndas소스를 받고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dev/current/linux/ndas-1.1-24.tar.gz[/url:3bh7xy1b]
#압축풉니다.
tar zxf ndas-1.1-24.tar.gz
#패치들을 받습니다.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839/Linux2.6.27.patch?format=raw[/url:3bh7xy1b] -O Linux2.6.27.patch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839/Linux2.6.28.patch.zip?format=raw[/url:3bh7xy1b] -O Linux2.6.28.patch.zip
unzip Linux2.6.28.patch.zip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1105/openSUSE.patch?format=raw[/url:3bh7xy1b] -O openSUSE.patch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1110/Linux2.6.31.patch?format=raw[/url:3bh7xy1b] -O Linux2.6.31.patch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1110/Linux2.6.31-1.patch?format=raw[/url:3bh7xy1b] -O Linux2.6.31-1.patch
#패치들을 ndas 디렉토리로 옮깁니다.
cp *.patch ndas-1.1-24
#ndas 디렉토리로 가서 패치들을 적용해 줍니다.
cd ndas-1.1-24
patch -p1 <Linux2.6.27.patch
patch -p1 <Linux2.6.28.patch
patch -p0 <openSUSE.patch
patch -p1 <Linux2.6.31.patch
patch -p1 <Linux2.6.31-1.patch
#ndas-core.conf 파일을 받아서 /etc/modprobe.d 디렉토리로 옮겨줍니다.
wget [url:3bh7xy1b]http://code.ximeta.com/trac-ndas/attachment/ticket/1110/ndas-core.conf?format=raw[/url:3bh7xy1b] -O ndas-core.conf
sudo cp ./ndas-core.conf /etc/modprobe.d
#소스를 deb 패키지로 만든뒤 설치해줍니다.
dpkg-buildpackage -rfakeroot
cd …
sudo dpkg -i ndas-modules-src_1.1-24_all.deb
#이제 모듈을 컴파일 설치해줍니다.
sudo m-a prepare
sudo m-a auto-install ndas (주의: 커널 업데이트될때 마다 이 명령을 해주어야 업데이트된 커널 버젼에 맞는 ndas 커널 모듈이 만들어 설치됩니다)
sudo dpkg -i ndasadmin_*.deb
#사용법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http://code.ximeta.com/trac-ndas/wiki/Usage#요점은 위 패치들을 순서대로 적용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openSUSE.patch 는 p0 옵션으로 패치한다는데 주의
그 사이트 접속이 잘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all-in-one 으로 압축했습니다.
그부분은 자신의 네트웍 환경에 맞게 고쳐주면 되는군요.
현재의 ndas-core.conf 파일은 무선랜 설정(wlan0)이 되어 있습니다.즉
options ndas-core ndas_dev=wlan0
로 되어 있지만
만약 자신이 유선랜 환경(eth0)이라면 그에 맞게 또는( 그밖의 다른 환경의 경우는 그에 맞게
options ndas-core ndas_dev=eth0
고쳐 주면 됩니다.
cuto의 게시물이군요.
이대로 하면 동작이 안됩니다.
이 게시물의 밑에 달려있던 cyann의 댓글을 참조해야 합니다.
원본 링크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p=8463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