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가지 환경에 대한 답글 부탁합니다.
1환경)
위치 : 사무실
ip : 공정ip
호스트 : 윈도우 7 32비트
설치 응용프로그램 : 토드, 울트라에디트, 기타 MS프로그램들
가상머신 : 버추얼박스 4.1.14
게스트 : 우분투 서버 12.04 64비트
설치또는 서비스예정 : 오라클 11gR2, telnet, ftp, 웹서비스
1환경에서 호스트에서 게스트로 토드연결, ftp연결, telnet연결이 가능해야 하며, 게스트는 인터넷이 되어야 함.
2환경)
위치 : 집
ip : 무선공유기를 통한 DHCP
호스트 : 윈도우7 64비트
가상머신 : 버추얼박스 4.1.14
게스트 : 우분투 서버 12.04 64비트
설치또는 서비스예정 : 오라클 11gR2, telnet, ftp, 웹서비스
2환경에서 호스트에서 게스트로 토드연결, ftp연결, telnet연결이 가능해야 하며, 게스트는 인터넷이 되어야 함.
2환경에서 사설ip로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해아 하나요?
그냥 이런식으로 하면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적어 봅니다.
1)의 경우 VirtualBox 도움말 내용의 6.3.1 Configuring port forwarding with NAT를 참조하여
포트 포워딩을 하는게 쉬울 듯. 또 Host-only networking 설정도 있는데 사용해 보지 않았음.
2)는 공유기에서 IP 할당을 받을 수 있다면 게스트의 IP설정을 공유기에서 사용가능한 고정IP 형태로 사용하면 그냥 한 대의 컴처럼 사용이 가능할걸로 보입니다. Virtual networking 설정은 NAT로 하시면 됩니다.
Virtual Box 도움말이 나름 잘되어있습니다. 6. Virtual networking 참조 ^^;
1,2 환경 두개다 호스트컴에서만 게스트인 우분투로 연결 하는 것이라면,
호스트가 고정 아이피를 가지고 있던, 공유기뒤에서 dhcp를 쓰던 상관없이,
위에분이 답변하신대로 두환경다 Configuring port forwarding with NAT 설정해서 게스트가 인터넷이 되게하고,
그러면 호스트와 게스트 사이는 내부 아이피로 연결 가능해지니 설정이 같아도 되겠죠?
1번 환경의 게스트 우분투쪽을 외부에서 접속가능하게 만들것이라면 이야기는 틀려지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특별히 설정할것도 없어 보입니다.
1,2환경에서 브리지 어댑터로 연결할 경우 공유기가 있는경우 공유기에 2대의 컴퓨터가 연결된걸로 뜨게 되니
내부라면 내부 사설 아이피로 접속하시면 되고요
만약 공유기가 아니라면 브리지 어댑터보다 NAT(호스트 pc를 공유기처럼) 만드는 방식을 쓰게 되니
연결후 버추얼박스내부에서 사설 아이피 조회후에 호스트 pc에서 그 주소로 접속하면 바로 버추얼 박스로 접속될듯 합니다.
다만 외부에서 버추얼 박스로 연결할경우에는 공유기에 2대의 pc중 하나에만 연결하려는 것과 같기 때문에
포트 포워딩 같은 방식으로 강제로 연결 시켜줘야겠죠.
랜카드가 두개 있으면 되지 않겠습니까?
하나는 내부네트웍 하나는 인터넷용으로 말이지요.
그러니까 버쳘박스에서 어댑터를 두개 설정해서 하나는 NAT로 인터넷 연결하고,
하나는 내부네트웍이나 호스트온리로 설정해서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겠죠.
//protochaos
NAT로 인터넷 연결을 설정하게 되면 어차피 사설 네트웍 아이피가 호스트와 게스트에 생깁니다.
걍 내부 게스트 아이피로 호스트에서 접속이 가능해져서, 굳이 어댑터 설정을 두개 할 필요가 없어요.
질문하신 분 1,2환경 둘다 호스트에서 게스트로의 연결만 필요하고 외부에서 게스트로의 연결은 필요없는 상태라
NAT 구성으로 게스트 에서 인터넷 사용 가능하게 하면, 어차피 호스트에서 게스트로의 연결은 보장 되는거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