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ment=0:2m3fdxf4]SDC11021.JPG[/attachment:2m3fdxf4]
현재 전 드라이브 하나에
우분투 + 비스타32 + 비스타32 이렇게 os를 사용중입니다.
현재 우분투도 잘 사용하고 있는 중인데 처음 진입하는 화면이 조금 복잡해져서 질문을 드립니다.
-
우분투가 업그레이드 하고 나서 버전별로 들어가는 입구가 나뉜것 같은데 간소화 시킬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recovery라고 되어 있는것에 대한 용도가 궁금하며 이 행을 안보이게 할 순 없는지가 궁금합니다.
-
궁금해서 recovery를 클릭했더니 명령어가 나오면서 부팅이 된 후부터 리눅스로딩이 느려졌습니다. ㅜㅜ…
-
마지막으로 다른 운영체제…를 선택한 후 다시 비스타를 선택해야 하는데…
비스타도 우분투있는 전면에 선택할 수 있게끔 할 수는 없는건가요?
리눅스를 윈도우처럼 사용할 줄만 알지 명령어나 기본적인 지식은 별로 없는 초짜입니다.
6개월이상 전에는 우분투로 부팅하는것도 신기했는데 자꾸 욕심이 생기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메뉴가 늘어난 이유는 커널이 더 설치되어 그렇습니다.
이전버전의 커널을 삭제하시면 메뉴도 같이 제거됩니다.
제거는 시냅틱관리자에서 하면 됩니다.
recovery는… 복구용으로 GUI가 아닌 콘솔로 바로 들어가는 메뉴일겁니다.
메뉴 관련해서는 grub의 경우 /boo/grub/menu.lst 를 수정하시면 되구요,
grub2의 경우엔 다른분이 답변 주실…;;
9.04 이전에는 grub을 사용하고 9.10 부터 grub2 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분투는 상위버전의 커널이 문제 없이 동작한다면 하위버전은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검색하여 삭제하시면 됩니다.
위 같은 경우는 2.6.28-16 버전이 하위버전이니 '2.6.28-16’으로 검색하여 검색되어 나오는 패키지중
linux-로 시작하는 패키지를 모두 삭제하면 됩니다. (3가지 내지는 4가지가 검색되어 나올겁니다.)
저렇게 되면… 기본으로 비스타를 실행하도록 설정했었다면 어이없게 memtest가 실행되죠…;;;
원인은 헤즈님께서 해주셨고… 전 예전에 도라키넷에서 소개한 아래 스크립트를 사용합니다. 현재 해당 글이 삭제되어 정확하지는 않지만 우분투긱에 소개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전 커널을 삭제함은 전반적으로 찌꺼기를 지워주는 스크립트인 것 같습니다. 1년 정도 사용한 것 같은데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었습니다.
사용 방법은, 우선 아래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attachment=0:3ro38vpv]71529-ubucleaner.sh.tar.gz[/attachment:3ro38vpv]
압축을 풀고 터미널에서 아래 코드를 실행해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code:3ro38vpv]chmod +x ./71529-ubucleaner.sh[/code:3ro38vpv]
그리고 나서는 해당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code:3ro38vpv]sudo sh ./71529-ubucleaner.sh[/code:3ro38vpv]
각 프로세스 타이틀에 색이 들어갔었는데 제 시스템에서는 언젠가부터 코드가 그냥 보이네요…
draco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