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Ӹ���������2014-����)01-��������1(�������ູ��ã�±״뿡��)
이메일로 pdf파일로 된 한글이름의 파일명을 받았는데요 이런식으로 파일명 되어서 나옵니다. 어떤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한글로 된 파일명을 받아서 사용할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완전초보 우분투사용자- ^^;
������(�Ӹ���������2014-����)01-��������1(�������ູ��ã�±״뿡��)
이메일로 pdf파일로 된 한글이름의 파일명을 받았는데요 이런식으로 파일명 되어서 나옵니다. 어떤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한글로 된 파일명을 받아서 사용할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완전초보 우분투사용자- ^^;
파일 이름 깨져도 내려받을 수만 있다면 저장하셔서 pdf 파일 보는 프로그램으로 보면 됩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명이 깨지는 이유는 현재 시스템의 로케일과 다른 인코딩으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UTF-8 인코딩을 사용한다고 보겠습니다.
깨진 파일명을 올바르게 표현하려면, 수동으로 인코딩의 HEX을 찾아 변환 하거나 iconv를 사용하여 UTF-8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예컨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원본 문자열을 변경시키세요.
[code:21e73mpw]echo -e ‘\xc0\xce\xc4\xda\xb5\xf9\x20\xba\xaf\xc8\xaf\x0a’ | iconv -f UHC[/code:21e73mpw]
'������(�Ӹ���������2014-����)01-��������1(�������ູ��ã�±״뿡��) '는 이미 UTF8 디코더가 잘못된 문자를 대체문자로 대체하여 해석을 할수 없네요. 노틸러스 등의 파일 관리자의 유니코드 디코더는 이렇게 표시 불가능한 문자를 표시단계에서 �와 같은 문자로 대체시켜버립니다.
올바른 인코딩으로 변환하기 위해 원본 코드를 확보한뒤 변경하면 정상적으로 파일명을 얻을수 있습니다.
[code:21e73mpw]code=$(ls *.pdf)[/code:21e73mpw]로 결과값을 저장한뒤 [code:21e73mpw]echo -n "$code" | iconv -f UHC -c[/code:21e73mpw]로 변환시켜 보세요.
댓글 감사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시놀로지나스 장비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 장비도 그냥 FTP로 접속해서 파일을 올리면 다 파일이 깨져서 나오더라구요 그런데 그 자체의 장비에서 자바를 설치해서 접속해서 사용하면 한글이든 영문이든 다 괜찮게 나오더라구요… 윈도우 처럼 간편하게 볼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우부툰 14.04LTS 초보가~~
Synology NAS - DiskStation에서 UTF-8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참고해보세요.
[url:1vwq58di]http://www.chainsawonatireswing.com/2012/01/08/set-up-the-synology-diskstation-ds411j-to-support-utf-8/[/url:1vwq58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