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40대 중반으로 노안이 찾아와서 그런가요?
코분트 주분트 루분트 골고루 사용 해보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게시판 글씨체들이 대체적으로 뿌옇게 보인다는 게 혼자만 느끼는건지 알 수가 없네요.
Lubuntu - Chromium - 옵션 - 고급설정 - 웹페이지 기본언어와 글꼴설정-
글꼴크기를 [color=#FF0000:1v8bjkwl]17[/color:1v8bjkwl]로 큼직하고도 진하게 출력되도록 바꿨습니다만
기본설정으로 되어있던 [color=#0000FF:1v8bjkwl]13[/color:1v8bjkwl]이나 고친 [color=#FF0000:1v8bjkwl]17[/color:1v8bjkwl]이나 별로 바뀐 것 같지 않아
여전히 뿌옇게 보여서 한참있다 보면 머리가 띵~ 합니다.
어떻게 좀 시원스럽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아직 돋보기로 인쇄물을 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
그래픽카드는 ATI radeon 9600 pro 256MB (AG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주 동안 우분트 코분트 주분트 루분트까지 설치 해보면서 초보자가 이용하기 편해진 것을 느낍니다.
그런데 윈도우즈계열에서 진하게 잘보이는 게시판 글씨들이 유독 리눅스쪽에서만 뿌옇게 보여 도무지
사용하기 꺼리게 됩니다. 모양새를 통해 폰트의 크기를 조정도 해봤는데요. 고정된 창틀의 크기는
커져도 게시판 내의 실질적인 글씨들은 별차이를 보이지 않아 크로미엄 대신에 파이어폭스를 설치도
해보았지만 역시나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어쩌지를 못하는군요.
안티 앨리어징 먹은 폰트 때문에 좌절하신 듯 한데요.
그보다 크롬을 사용하셨다고 쓰셨는데, 저도 이것 저것 고쳐보고 인터넷도 뒤져보고 했는데 크롬 글꼴 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잘 안되더군요. 윈도우에서는 잘 되나 모르겠습니다만.
직관적으로 글꼴을 바꿀 수 있는 메뉴는 올리신 스크린 샷에 있는 메뉴가 전부입니다만, 저걸 백날 고쳐봐야 적용도 안되고, 유저 디렉토리 안의 .css를 수정해서 하는 방법 - 고전적인 방법으로 아주 오래전 버젼의 파이어 폭스 쓸 때나 써먹던 방법이었죠 - 으로도 해 보았습니다만 적용이 되는 것 같지는 않더군요.
결론은 ‘그냥 파이어 폭스를 쓰자’ 입니다. 윈도우 처럼 미려한 글꼴을 그놈 전체에서 원하신다면 우선 안티 앨리어징을 꺼야 하고, 안티 앨리어징을 끄고도 미려한 글꼴을 보려면 트루타입 폰트 내에 비트맵 폰트도 내장하고 있는 글꼴들(이를테면 윈도우의 굴림, 돋움, 네이버 사전체 등)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윈도우의 굴림, 돋움 글꼴을 리눅스에 투척하는 방법이지요. EULA 위반이긴 합니다만.
[quote="koolmint":32tyy7mt]안티 앨리어징 먹은 폰트 때문에 좌절하신 듯 한데요.
그보다 크롬을 사용하셨다고 쓰셨는데, 저도 이것 저것 고쳐보고 인터넷도 뒤져보고 했는데 크롬 글꼴 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잘 안되더군요. 윈도우에서는 잘 되나 모르겠습니다만.
직관적으로 글꼴을 바꿀 수 있는 메뉴는 올리신 스크린 샷에 있는 메뉴가 전부입니다만, 저걸 백날 고쳐봐야 적용도 안되고, 유저 디렉토리 안의 .css를 수정해서 하는 방법 - 고전적인 방법으로 아주 오래전 버젼의 파이어 폭스 쓸 때나 써먹던 방법이었죠 - 으로도 해 보았습니다만 적용이 되는 것 같지는 않더군요.
결론은 ‘그냥 파이어 폭스를 쓰자’ 입니다. 윈도우 처럼 미려한 글꼴을 그놈 전체에서 원하신다면 우선 안티 앨리어징을 꺼야 하고, 안티 앨리어징을 끄고도 미려한 글꼴을 보려면 트루타입 폰트 내에 비트맵 폰트도 내장하고 있는 글꼴들(이를테면 윈도우의 굴림, 돋움, 네이버 사전체 등)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윈도우의 굴림, 돋움 글꼴을 리눅스에 투척하는 방법이지요. EULA 위반이긴 합니다만.[/quote:32tyy7mt]
크롬의 글꼴 설정에서 사용자 선택이 제한된 것은 구글의 정책 때문이라고 합니다. 문서 작성자의 글꼴 디자인을 존중하기 때문에 그렇다는데, 그래도 End-User의 선택권 역시 존중되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