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우분투라는 것은 제겐 미묘한 위치였습니다.

개인 사용자에게 적당하다고 하지만 제겐 미묘한 위치긴 했습니다.

게임을…그럭저럭 하니까 아마 이것이 가장 큰 문제였을 수도 있지만 게임을 안할 때도 그랬습니다.

미묘하다는 것은 딱히 필요성을 못느꼈다는 말과 같습니다.

위에 게임 이야기를 했는데 이것을 제외하더라도…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전에 사용할때 동영상을 보는 것을 예를 들자면

폴더 안에 순서대로 있는 영상을 윈도우에서(kmp나 곰이나 다음팟플이나 기타등등으로) 볼때면 재생목록에 넣지 않아도 뒤의 영상이 제대로 나왔는데

우분투에선 그게 안되더군요.

전 사실 여기서 정말 당황했습니다.

뭐가 문젤까 왜 안될까…

그러다가 재생목록에만 넣어야하는 걸 알았죠.

어쩌면 제가 설정을 몰라서 그랬을수도 있지만 그 후에도 뒤져봤지만 그건 모르겠더군요;

사실 저런 식으로 연속으로 보는 경우는 거의 드뭅니다.

매번 볼때마다 하나씩 끌고가서 드래그 & 드랍을 하니까요.

꼬투리 잡기라고도 보이겠지만 사실 그 몇번 안하는 걸 그 당시엔 자주해서(애니나 일드나 미드를 몰아서 보기라든지)

타이밍이 안좋았다고 볼 수 있네요.

어쨌든 이런 일이 있지만 사용하는 재미가 있어서 쓰다가

정작 인터넷 강의가 그땐 제 주된 컴 사용이라서 일단 윈도우로 돌아왔습니다만…

프로그래밍 공부를 좀 하려니(자바입니다) 이게 오히려 윈도우에선 독입니다;

게임도 되지; 동영상도 쉽게 볼 수 있지(보는 것 자체가 아니라 영상물을 구하는 의미로서…토렌트가 아닌 웹하드 쪽이 좀 더 편하니까요)

놀 거리가 풍부한겁니다;;;;;

책을 피고 에디터를 열고나서 코드 몇자(정말 초보적인)를 넣고 나면…

저도 모르게 손이 애니메이션을 끌어다가 kmp에 넣고 있더군요;;

덕분에 우분투의 필요성이 이제와서 새삼스레 대두됐다고나 할까요.

파티션을 나눠서 우분투를 설치하긴 귀찮고

하드를 하나 더 사고 싶어졌습니다;

보통땐 윈도우 하드를 아예 떼버리고 우분투 하드만 붙여서 쓰다가 간간히 윈도우 하드를 사용하는 식으로.

갑자기 모니터도 하나 더 사고 싶어졌고

하드도 하나 더 사고 싶어졌고

넥서스 원은 출고가 60만으로, 아마 노예계약 맺으면 공짜까진 아니지만 아이폰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땡기고 있습니다;

한번에 지름신이 몰려오고 있네요.

아니, 자바를 공부하고 싶은데 왜 이런걸까요…저도 모르겠습니다;

ps. 아, 우분투로 오고 싶게 만든 이유 중 또 하나는 geany가 있기 때문이죠.

윈도우 진영에도 괜찮은 에디터가 많은데 이상하게 geany에 이끌려버려서…

명필은 붓을 탓하지 않는다지만 전 초보거든요.

이제 배우는 입장으로 쓰고싶은 에디터를 사용해야…이거시 진정한 초보의 자세!

ㅋㅋ저도 언젠가 윈도우즈를 완전히 밀어버리고 우분투를 설치해 버렸죠. 일단 저지르는 겁니다!

공부목적으로 우분투를 깔으시려하시는거면 윈도우는 아예 안까시는걸 권장합니다.
하드를 떼어놔도 우분투 사용하다 조금만 불편한 사항이 느껴지면 하드연결하는건 일도 아닐껍니다.
그정도로 우리가 윈도우에 익숙해져있기에…

하지만 문제는 우분투에서도 즐길거리가 충분하다는거, -_-;;

[quote="interoasis":2shti1x8]하지만 문제는 우분투에서도 즐길거리가 충분하다는거, -_-;;[/quote:2shti1x8]
저도 그게 문제입니다. ㅋㅋㅋ

윈도 개발자라 VBox에 VS2005 설치해 놓고 사용하지만… (심리스 모드로)
휠버튼으로 데스크탑 큐브 휙휙 돌려가면서 리눅스용 게임이나 웹 서핑 등을 동시에 하느라 생산성이 떨어집니다. ㅡ_ㅡ;
(상사가 와도 바탕화면에서 휠 한번 돌리면 선방)

1년반 넘게 사용해온 지금은 우분투에 너무 익숙해져서…
서버로 돌리는 젠투는 들어가기도 싫어요. ㅠㅠ
가끔 동료 PC 만질 때, 윈7은 너무 불편한데다 이뿌지도 않아요. ㅠㅁㅠ (특히 USB 제거가 제대로 안될 때는 짜증…)

리눅스 계속 쓰다보면 리눅스에서도 동영상 다운 받고 외국 영화 다운 받고 하는
어둠의 경로를 다 찾아내게 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가령 토렌트에서 시작해서 rapidshare나 hotfile같은 외국 웹하드를 이용하는 -_-;;;;

결국 리눅스도 계속 쓰다보면 윈도처럼 똑같이 컴터 붙잡고 놀고 있게 되는건 마찬가지라는거죠
요즘은 트위터랑 페이스북까지 하다 보니 컴터 앞에 앉아서 일은 안하고 트윗질만 하는 사태도 종종 발생합니다 :oops:

[quote="tinywolf":1yy3wfbp]가끔 동료 PC 만질 때, 윈7은 너무 불편한데다 이뿌지도 않아요. ㅠㅁㅠ (특히 USB 제거가 제대로 안될 때는 짜증…)[/quote:1yy3wfbp]

예쁜건 개인적 취향이니까요.

전 우분투도 좋아하지만 리눅스 민트도 꽤 좋아합니다.

그 녹색의 느낌이 마음에 든다고 해야할까…

마찬가지로 윈7도 좋구요.

테마 바꿔 쓰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예전에도 우분투를 사용하긴 했지만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선(그러니까 그냥 외부로 보이는 부분에서)

전 윈7의 UI가 좀 더 낫더군요.

[quote="nike984":1bm3wfv8]가령 토렌트에서 시작해서 rapidshare나 hotfile같은 외국 웹하드를 이용하는 -_-;;;;

트위터랑 페이스북까지 하다 보니 컴터 앞에 앉아서 일은 안하고 트윗질만 하는 사태도 종종 발생합니다 :oops:[/quote:1bm3wfv8]

토렌트나 래피드셰어등은 그냥…잊어야합니다;

손쉽게 구한다는 점에선 좀 다르죠.

윈도우 환경에서 구축(?)해놓은 웹하드의 편리함을 버리니까요.

토렌트는…지금도 사용하지만 영상물(영화말고 애니나 드라마로서)을 구할 때는 잘 사용하지 않게 되더군요.

아마…앞으로는 쓰겠지만;

트위터는 위험합니다;

그건 정말 손대서는 안될 물건 중에 하나죠…시간 가는 줄을 몰라요 덜덜덜

[quote="magneticrose"
전 윈7의 UI가 좀 더 낫더군요.[/quote]

혹시 우분투 기반 배포판으로 Kubuntu나, Docky 사용 해보셨나요?

저도 원래는 윈 7 UI가 맘에 들었으나 무한 확장/변형 가능한 우분투에 반해버렸습니다^^

[quote="magneticrose":36o67skq]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전에 사용할때 동영상을 보는 것을 예를 들자면

폴더 안에 순서대로 있는 영상을 윈도우에서(kmp나 곰이나 다음팟플이나 기타등등으로) 볼때면 재생목록에 넣지 않아도 뒤의 영상이 제대로 나왔는데

우분투에선 그게 안되더군요.

전 사실 여기서 정말 당황했습니다.

뭐가 문젤까 왜 안될까…

그러다가 재생목록에만 넣어야하는 걸 알았죠.[/quote:36o67skq]
이런 건 뭐 예전에는 Windows에서도 안되는 거였죠. 정확하게는 OS가 문제가 아니라 프로그램에서 지원을 해주느냐 아니냐인데… 예로 들면 곰플에서도 파일 이름이 같고 이름 내에 숫자만이 변화할 경우 자동으로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것인가를 처음에 묻죠. 제 기억이 정확하다면 곰플 초창기에는 이런 기능 없었습니다.

리눅스 용 동영상 플레이어 중에도 되는 것이 있지 싶은데 정확하게는 모르겠군요. 아무튼 프로그램에서 그런 편의 기능을 제공해주느냐 아니냐의 차이이지 운영체제의 차이는 아니라는 거죠.

다른 운영체제로 전환한다는 것은 비단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바꾼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Windows <-> 리눅스 간에는 말이죠.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 하지만 사용 방법과 그 기능은 많이 다른 도구라고 할까요… 결국 이 차이가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이겠습니만… 저의 경우에는 하는 일이 Windows에서보다 리눅스에서가 훨씬 편하기도 하고… 리눅스가 재미있기도 하고 해서 리눅스 씁니다. 물론 게임용 PC(…)에는 Windows 7이 당당히 깔려져 있습니다. ㅋㅋㅋ.

[quote="tuberosity":29sub66f][quote="magneticrose":29sub66f]
전 윈7의 UI가 좀 더 낫더군요.[/quote:29sub66f]

혹시 우분투 기반 배포판으로 Kubuntu나, Docky 사용 해보셨나요?

저도 원래는 윈 7 UI가 맘에 들었으나 무한 확장/변형 가능한 우분투에 반해버렸습니다^^[/quote:29sub66f]

윈7의 슈퍼바가 뭐라할까 매우 깔끔해서 말이죠.

비스타시절까지는 우분투쪽이 좋았습니다만

슈퍼바에 플글을 등록해놓고 실행하면 따로 작업창이 뜨질 않고 그 등록해놓은 버튼 자체에서 실행되고 있다고 나오는 점이 깔끔해서 좋았습니다.

docky이전에 awn은 사용해봤지만 제가 독 프로그램을 그다지 선호하는 편은 아니라서요.

처음엔 신기하고 재미있어서 사용했지만 제 취향과는 좀 떨어져있어서…물론 docky가 awn과 얼마나 다른지는 사용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우분투 얼마전에 설치했다가(좀 파티션이 꼬여서 지금은 포맷하고 윈도우만 설치해놓은 상태입니다만)

패널에 플글을 등록해도 플글 실행시에 따로 작업현황이 뜨는걸 보고 제가 윈7에 얼마나 종속되어있나 느꼈더랬죠;

쿠분투는 kde환경에 익숙치 않아서(사실 우분투 쓰기전엔 그놈도 익숙하지 않았지만) 설치했다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냥 지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쿠분투나 리눅스 민트를 설치해볼까 생각도 하는 중이라서요…

[quote="pcandme":1zqo9fcf][quote="magneticrose":1zqo9fcf]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전에 사용할때 동영상을 보는 것을 예를 들자면

폴더 안에 순서대로 있는 영상을 윈도우에서(kmp나 곰이나 다음팟플이나 기타등등으로) 볼때면 재생목록에 넣지 않아도 뒤의 영상이 제대로 나왔는데

우분투에선 그게 안되더군요.

전 사실 여기서 정말 당황했습니다.

뭐가 문젤까 왜 안될까…

그러다가 재생목록에만 넣어야하는 걸 알았죠.[/quote:1zqo9fcf]
이런 건 뭐 예전에는 Windows에서도 안되는 거였죠. 정확하게는 OS가 문제가 아니라 프로그램에서 지원을 해주느냐 아니냐인데… 예로 들면 곰플에서도 파일 이름이 같고 이름 내에 숫자만이 변화할 경우 자동으로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것인가를 처음에 묻죠. 제 기억이 정확하다면 곰플 초창기에는 이런 기능 없었습니다.

리눅스 용 동영상 플레이어 중에도 되는 것이 있지 싶은데 정확하게는 모르겠군요. 아무튼 프로그램에서 그런 편의 기능을 제공해주느냐 아니냐의 차이이지 운영체제의 차이는 아니라는 거죠.

다른 운영체제로 전환한다는 것은 비단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바꾼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Windows <-> 리눅스 간에는 말이죠.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 하지만 사용 방법과 그 기능은 많이 다른 도구라고 할까요… 결국 이 차이가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이겠습니만… 저의 경우에는 하는 일이 Windows에서보다 리눅스에서가 훨씬 편하기도 하고… 리눅스가 재미있기도 하고 해서 리눅스 씁니다. 물론 게임용 PC(…)에는 Windows 7이 당당히 깔려져 있습니다. ㅋㅋㅋ.[/quote:1zqo9fcf]

곰플도 초창기에 그랬나요?

저도 곰플 초기에 썼다가 kmp를 알고 난 뒤엔 그것만 썼는데…

과거에 어땠는지 정말 기억이 하나도 안날정도네요;

간단히 가지고 놀기 위해서 전에 설치를 해봤지만 패러다임을 바꿔야한다는 말씀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윈도우에서 하던걸 못하니까 리눅스 안써…가 아닌거죠.

그래도 윈7의 슈퍼바는 너무 좋아요. 왜이리 깔끔하게 만들어놔서;ㅁ;

비스타 쓸때만 해도 우분투의 패널이 더 편하고 좋았는데…커스텀도 마음대로 됐었고…

윈 7 슈퍼바 향수느끼시는분들

Docky 도키를 추천합니다

여러 기능 만지시다보면 슈퍼바따윗 ㅋㅋㅋㅋ

[quote="tuberosity":16jjf0gl]윈 7 슈퍼바 향수느끼시는분들

Docky 도키를 추천합니다

여러 기능 만지시다보면 슈퍼바따윗 ㅋㅋㅋㅋ[/quote:16jjf0gl]

dockbarx가 더 좋지 않을지 ㅋ

[quote="magneticrose":1bpag4s3]곰플도 초창기에 그랬나요?

저도 곰플 초기에 썼다가 kmp를 알고 난 뒤엔 그것만 썼는데…

과거에 어땠는지 정말 기억이 하나도 안날정도네요;[/quote:1bpag4s3]
제 기억에 과거 어느 시점에서 곰플이 업그레이드 된 뒤부터 파일명이 뒤에 숫자를 빼고 같다면 자동 추가해주는 기능이 생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어느날 갑자기 그런 걸 물어봐서 이게 뭔가했던 기억이 있거든요. ㅎㅎ

제가 아는 바론 곰이든 팟플레이어든 플레이리스트에 안 넣어도 다음걸 읽어 들이는게 아니라 자동으로 어떤 조건에 맞는 파일들을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도록 되어 있는겁니다. 강제로 재생목록 열어보면 알 수 있죠. 그리고 어째 분위기가 리눅스에서 이게 안된다는 식인듯 합니다만

http://sourceforge.net/apps/mediawiki/s ... sion_0.6.4

여기 보면 SMplayer 0.6.4 버전부터 있던 기능인데요? (Added the possibility to add consecutive files (video_01.avi, video_02.avi…) automatically to the playlist) 기본적으로 활성화가 안 되어 있는 기능인가보죠. 지금은 회사컴이라 그 설정이 어디 붙어 있는지 체크를 못하겠군요. 누구 알아봐 주실 수 있는 분?

[attachment=0:1d60d3s0]Screenshot.png[/attachment:1d60d3s0]요기에 있습니다ㅋㅋ

저 옵션은 gmplayer 부터 있었던 기능인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러고보니 mplayer GUI에 재생목록 기능이 있었나가 가물가물하군요.

저 옵션도 괜찮게 동작하긴 하는데, 요즘 같이 파일 이름에 지저분한 무언가([2010 최신 한국 영화] 어쩌구 저쩌구 xvid.AC3-DvdripCD3-WAF 이런식)가 가운데 껴있는 경우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순서대로 재생하려면 숫자가 맨 끝에 있어야만 동작하지요. 곰플 같은 경우엔 어떠한 지저분한 이름이라도 숫자를 찾아내서 재생해줍니다. 이 기능, 참 웃을까 울을까 망설이게하는 기능이지만, 어쨌든 기능만으로 보자면 SMP보단 강력합니다.

그런데 그러고보니 왜 아무도 이 사실을 지적하고 있지 않았을까요?=_=ㅋ

[quote="Vulpes":1t9xr8s4]제가 아는 바론 곰이든 팟플레이어든 플레이리스트에 안 넣어도 다음걸 읽어 들이는게 아니라 자동으로 어떤 조건에 맞는 파일들을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도록 되어 있는겁니다. 강제로 재생목록 열어보면 알 수 있죠. 그리고 어째 분위기가 리눅스에서 이게 안된다는 식인듯 합니다만

http://sourceforge.net/apps/mediawiki/s ... sion_0.6.4

여기 보면 SMplayer 0.6.4 버전부터 있던 기능인데요? (Added the possibility to add consecutive files (video_01.avi, video_02.avi…) automatically to the playlist) 기본적으로 활성화가 안 되어 있는 기능인가보죠. 지금은 회사컴이라 그 설정이 어디 붙어 있는지 체크를 못하겠군요. 누구 알아봐 주실 수 있는 분?[/quote:1t9xr8s4]
ㅎㅎ 제 말씀이 그 말씀입니다… 파일 이름이 뒷부분의 숫자를 제외하고 흡사하면 플레이리스트 자동 추가. 그리고 그 기능이 곰플에도 ‘원래부터’ 있진 않았으며 리눅스에서도 찾아보면 있을 것이고, 그렇기에 Windows냐 리눅스냐의 차이가 아니라 그냥 단지 어플의 차이라고… 그런 요지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