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grb.or.kr/board/Inform.aspx? … &type=view
동의합니다.
정부에선 말로만 스마트네 뭐네 하면서 앱 개발자를 키워야 되니 마니 하는데, 실상 스마트 미디어 컨텐츠 중에 가장 강력한 킬러 컨텐츠라 할 수 있는 게임 앱을 게임물 등급제도로 막아버린다면 사실상 앱 시장 자체가 클 수가 없습니다.
시장이 협소한데 어느 개발자가 적극적으로 뛰어들이 시장을 개척하려고 할까요. 게임앱이 앱 시장을 키우는데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그외에도 말씀하신 것처럼 인디 개발자들이 심의료를 부담하지 못하여 국내 시장에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것은 소비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좋지 않은 일이겠지요.
한 사람의 게이머로써, 한국 게임 시장이 좀 더 커지고 풍성해 지기를 마음에서 tuberosity 님을 적극 지지해 봅니다.
이번에 심사 수수료 올린다는 얘기도 있던데요.
도대체 이 집단은 뭐하는 집단인지 모르겠습니다.
안그래도 죽은 시장을 확인사살하는 꼴이지요.
패키지 시장 죽었는데, 그나마 활성화 될까말까 하는 부분에 제한을 걸어버리면 죽으란 말이랑 다를게 없으니까요.
그렇게 가다간 관련 개발자들이 해외로 등을 돌려버리게 될 겁니다.
(실제로 국내 모바일게임회사인 게임빌은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자사의 게임을 해외쪽에서만 출시를 하고 있습니다.)
공감합니다.
게등위는 제발 현실성 있는 판단을 했으면 하는군요.
결국 게임은 나쁜거. 애들한테 시키면 안되는거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위에 계셔서 그러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아직 사회에서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게임 하면 인식이 안좋은게 가장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그런분들이 정책 결정권자로 있으니까요.
게임 등급위원회도 기준에 따라 5달러 미만 모바일 제품. 같은 기준을 두고 돈을 안받겠다던지…이러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이런 이야기 하면 바다 이야기 를 예로 들면서 싸잡아 비난할테니 그것에 대한 방패막도 미리 만들어 놓으셔야 할듯합니다.
모바일 게임은 월 10만원 밖에 결제가 안되지만 바다이야기 같은 코인제 게임은 돈을 계속 넣을수 있으니 그런면의 대책을 세운다
같은 방식으로요…뭐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 이런제약도 애매해지긴 하지만 같이 생각하면 좋은 방법이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리눅스나 freebsd 배포판에 포함된 게임이라던가 소스포지에 올라와 있는 오픈소스 게임 같은 것도 일단은 불법이 되는 것이겠죠? 심의를 받았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니…
만일 제가 소스포지에 심의를 받지 않은 게임을 하나 올려놓으면 전 범법자가 되는겁니까?
현실에 맞지 않는 참 난감한 법입니다…
[quote="MAD_AK":dlrtunvp]안그래도 [b:dlrtunvp]죽은 시장을 확인사살[/b:dlrtunvp]하는 꼴이지요.
패키지 시장 죽었는데, 그나마 활성화 될까말까 하는 부분에 제한을 걸어버리면 죽으란 말이랑 다를게 없으니까요.
그렇게 가다간 관련 개발자들이 해외로 등을 돌려버리게 될 겁니다.
(실제로 국내 모바일게임회사인 게임빌은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b:dlrtunvp]자사의 게임을 해외쪽에서만 출시[/b:dlrtunvp]를 하고 있습니다.)[/quote:dlrtunvp]
진하게 한 부분이 가장 눈에 띄는… ㄷ
결국,게등위는 중간에서 국내에 출시하는게임 매출 수익금을 빼먹어보자는 숟가락 들이대기 스킬 시전하기위해서 법적으로 '우리가 하는 숟가락 들이대기 스킬은 합법이요~'라고 하려고 하는거죵
[quote="year1984":shnaz7m7]리눅스나 freebsd 배포판에 포함된 게임이라던가 소스포지에 올라와 있는 오픈소스 게임 같은 것도 일단은 불법이 되는 것이겠죠? 심의를 받았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니… [/quote:shnaz7m7]
네이트온 경마 사건도 있었는데요 뭐.
별거 아니고 같은 크기의 파일을 1번말 2번말… 이런 형태로 파일명을 바꾼 다음 어떤 상대에게 파일 전송으로 보내는 거지요.그리고 전송 승락하기 전에 몇번말이 이길까를 정하고 전체 전송… 하는 건데
[url=http://www.grb.or.kr/Board/GameQna.aspx?searchtype=001&bno=7365&categorytype=&type=VIEWGAMEQNA&searchtext:shnaz7m7]전에 누가 게등위 게시판이 그럼 이런것 조차 불법이란 말이냐! 하고 저쪽 난감해 하라고 올린적[/url:shnaz7m7]이 있는데 대답이 보시다시피 가관입니다.
그밖에도 곰플레이어에 이스터 에그로 숨겨져 있는 총알피하기 게임도 그레텍에 시정 공문 보낸 적도 있다고 하고…
미친 집단입니다.-_-
저희는 게임만들어 먹고사는 중인데요… 걍 국내는 접었습니다.
좋은 나라말을 두고 넘나라 말에 신경쓰기 짜증나지만…
저 변덕쟁이 입맛에 맞추는 것 보다는 백만배쯤 편하더군요.
사행성 판단한답시고 서버 소스도 내놓으라던 적도 있었지요.
무슨 무슨 분석시스템을 고가에 도입했다면서…
저 집단의 논리에 의하면 게임개발서적에 포함된 컴파일된 바이너리도 단속대상입니다.
제대로 미친 집단 맞아요.
확실한 출처는 아니고, 어디서 들은 이야기인데…
개등위가 원래는 정부에서 어느정도 지원을 받는데 그게 얼마 전부터 끊기고 심사비만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정책이 바뀌었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심사비도 대폭 뻥튀기되고 심사대상도 이렇게 모든 게임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quote="year1984":1dmdsop6]리눅스나 freebsd 배포판에 포함된 게임이라던가 소스포지에 올라와 있는 오픈소스 게임 같은 것도 일단은 불법이 되는 것이겠죠? 심의를 받았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니…
만일 제가 소스포지에 심의를 받지 않은 게임을 하나 올려놓으면 전 범법자가 되는겁니까?
현실에 맞지 않는 참 난감한 법입니다…[/quote:1dmdsop6]
이것도 제 부족한 지식에 한해서 생각해본거지만…(법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은 댓글로 지적좀…)
소스포지 서버, 외국에 있죠?
freebsd나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 서버 외국에 있죠?
제가 알기로 그럼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법이 어처구니가 없는 이유중의 하나고요.
이렇게 외국에 있으면 아무리 게임이 심각하더라도 아무 대처를 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카이스트나 다음 서버의 우분투용 게임 패키지는 심사 받지 않으면 불법이지요.
ps. 이제보니 이 글은 확실하지 않은 글로만 100%네요. 음…그냥 삭제해야 하나?
[quote="jincreator":1aabgqig]확실한 출처는 아니고, 어디서 들은 이야기인데…
개등위가 원래는 정부에서 어느정도 지원을 받는데 그게 얼마 전부터 끊기고 심사비만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정책이 바뀌었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심사비도 대폭 뻥튀기되고 심사대상도 이렇게 모든 게임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quote="year1984":1aabgqig]리눅스나 freebsd 배포판에 포함된 게임이라던가 소스포지에 올라와 있는 오픈소스 게임 같은 것도 일단은 불법이 되는 것이겠죠? 심의를 받았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니…
만일 제가 소스포지에 심의를 받지 않은 게임을 하나 올려놓으면 전 범법자가 되는겁니까?
현실에 맞지 않는 참 난감한 법입니다…[/quote:1aabgqig]
이것도 제 부족한 지식에 한해서 생각해본거지만…(법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은 댓글로 지적좀…)
소스포지 서버, 외국에 있죠?
freebsd나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 서버 외국에 있죠?
제가 알기로 그럼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법이 어처구니가 없는 이유중의 하나고요.
이렇게 외국에 있으면 아무리 게임이 심각하더라도 아무 대처를 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카이스트나 다음 서버의 우분투용 게임 패키지는 심사 받지 않으면 불법이지요.
ps. 이제보니 이 글은 확실하지 않은 글로만 100%네요. 음…그냥 삭제해야 하나?[/quote:1aabgqig]
그건 아닙니다… 외국 서버에서 배포한다고 해도 우리나라에 배포하고 있으면 해당대상이 됩니다…
애플의 앱스토어도, 구글 마켓도 외국에서 서비스 하는데…(구글은 모르겠고, 애플 앱스토어는 외국서버가 확실하죠…) 게임 카테고리를 한국인들만 접근 못하게 했죠…
koxel님 그러면
저 얼마전에 humble bundle 게임 구매했는데 그럼 저 잡혀가는건가요?
아니면 humble bundle측 구속?
아니면 우리나라사람들만 문제되나요?
만약 제가 humble bundle 3에 제 게임 출판하게되면 한국사람들만 humble bundle 못사나요?
[quote="tuberosity":2lxc9irc]koxel님 그러면
저 얼마전에 humble bundle 게임 구매했는데 그럼 저 잡혀가는건가요?
아니면 humble bundle측 구속?
아니면 우리나라사람들만 문제되나요?
만약 제가 humble bundle 3에 제 게임 출판하게되면 한국사람들만 humble bundle 못사나요?[/quote:2lxc9irc]
아마도 3가지 질문 전부 yes라는 답변이 나올 것 같네요. ㅋㅋ
예전에 제가 게등위에 올린 질문은 아직 답변이 없더군요.
[url=http://www.grb.or.kr/Board/GameQna.aspx?searchtype=001&bno=7425&categorytype=&type=VIEWGAMEQNA&searchtext=:2lxc9irc]심의받지 않은 게임들이 유통되고 있습니다.[/url:2lxc9irc]
서버가 외국에 있어도 한국 소비자에게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b:1z297gu1]판단[/b:1z297gu1]되는
게임은 심의 대상에 들어갑니다.
즉, 외국 게임을 한글 번역해도(그것이 개인 자의에 의한 것이라도) 한국에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외국 게임도 한국에 유통이 된다면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유권해석할지도 모릅니다.
이건 말 그대로 지네 X꼴리는 데로 입니다.
정말 답변 보고 있자면 가~관입니다.
제가 정말 잘 몰라서 그러는데…
서버도 외국, 제작도 외국, 판매도 외국인데도 오로지 인터넷으로 볼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나라인 한국에서 한국법인이 있는 게 아닌데도 간섭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한국의 요청을 받았을 경우 반드시 수정해야 할 의무와 그렇지 않을 경우 처벌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있으며 만약 있다면 이 경우 처벌받을 때 한국법에 따르나요, 아니면 자기 나라의 법에 따르나요?
마지막으로 판매자가 아닌 소비자에도 이 법에 따른 처벌 가능성이 존재하나요?
그동안 문제가 심각하다고만 생각했지 이제보니 이와 관련되어 실질적으로 제가 아는게 하나도 없네요.
아놔 게임하지 말란 말을 돌려서 하는 건지… 아예 게임 금지법을 만들 작정인가… 한국에서 게이머로 산다는 것, 지난 십수년 간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했는데 수십년 전으로 돌아갈 것 같네요… 일본 사람들은 그렇게 게임 많이해서 나라가 망하기를 했나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지기를 했나 지능 수준이 떨어지기를 했나… 에효…
[quote="potatochip":1gc91lsx]서버가 외국에 있어도 한국 소비자에게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b:1gc91lsx]판단[/b:1gc91lsx]되는
게임은 심의 대상에 들어갑니다.
즉, 외국 게임을 한글 번역해도(그것이 개인 자의에 의한 것이라도) 한국에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외국 게임도 한국에 유통이 된다면 판매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유권해석할지도 모릅니다.
이건 말 그대로 지네 X꼴리는 데로 입니다.
정말 답변 보고 있자면 가~관입니다.[/quote:1gc91lsx]
헐… humble bundle 2의 braid는 기본이 한글 탑재인데…
일단 게임법이 통과되는지 통과되서 어떤 모습을 갖게되는지를 지켜봐야겠네요.
[quote="pcandme":vojqi033]아놔 게임하지 말란 말을 돌려서 하는 건지… 아예 게임 금지법을 만들 작정인가… 한국에서 게이머로 산다는 것, 지난 십수년 간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했는데 수십년 전으로 돌아갈 것 같네요… 일본 사람들은 그렇게 게임 많이해서 나라가 망하기를 했나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지기를 했나 지능 수준이 떨어지기를 했나… 에효…[/quote:vojqi033]
청소년 문제는 가능성 있…
여튼 그렇다고 해도 저건 말도 안되는 방식이죠. 게등위 그 자체도 이상하고 돌아가는 구조는 더 이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