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집에서 서버 돌리시는분들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서버를 하나 만들려고 합니다.
svn, wiki, PHP, redmine, Flex, mysql 등 으로
블로그, 개인 위키, 홈페이지, Flex로 간단한 페이지 요정도 돌리려고 합니다.

접속자는 그리 많지 않아서 [url=http://www.ripple.co.kr/mini/shoppingmall/shop_main.asp:1dxibm9m]리플미니[/url:1dxibm9m] 같은 미니 PC를 구입하려 하는데요.

이런 걸로 집에서 서버 돌리시는 분 계시나요?

계신다면

  1. 접속자는 어느정도 감당할 수 있는지.
  2. 속도는 어느 정도 나오는지

두가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미니PC 구입비용이 살짝 부담도되고 해서 가상 서버 알아봤는데 저렴하더라구요;;
PC로 돌리는게 좋을 까요… 아니면 가상 서버 호스팅 받는게 나을까요?(집에 남는 PC없습니다… ㅠ_ㅠ)

일단 고정 IP가 아니라서 조금 고생하실 수 도 있구요. (제일 커요)
속도는 일반 회선으로 파일 주고 받기에는 느린감이 있을거 같구요 홈피로 쓰기에는 나쁘지 않습니다.
동접은 예전에 윈도 98시대의 컴터로 서버를 돌렸는데도 뭐 무리 없던데요… 많이 들어와도요.

결국 이런 저런 문제 때문에 일년치 호스팅 비 내고 올려버렸습니다. 술값한번 아끼면 되는데요 뭘. 맘편하고.
하지만… 파란호스팅 같은 경우에는 SSH는 프리미엄 버전부터 쓸 수 있다하니 잘 알아보시길요.

지금 기숙사에서 넷북(HP Mini110-1111TU)에 리눅스 서버를 운영중입니다.
거의 혼자서 사용하기에… 다른 부분은 정확히 모르겠네요… 블로그는 호스팅받아서 사용 중이구요…
개인용 위키는 개인서버에 설치해서 사용 중입니다.

공유기를 이용해서 DDNS와 Port Forwarding을 적절히 활용해서, 쉽게 구축이 가능합니다.

고정IP가 아니더라도…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DDNS를 이용하면

simplism.iptime.org 같은 도메인으로 서버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동접자 커버는 개인용으로 사용하다보니 전혀 모르겠네요;;;ㅋ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전혀 없습니다.

HDD RAID로 두개 돌리면 20명까진 괜찮지 않을까요?? 흠?

아톰 듀얼이면 충분할 듯 싶고요… 흠;

[quote="okrepower":i9pbwuxt]블로그, 개인 위키, 홈페이지, Flex로 간단한 페이지[/quote:i9pbwuxt]

가정용 전기료와 버추얼 서버 호스팅 비용을 비교해 보면 답이 나올것 같습니다.

예전에 저도 집에 있는 PC로 서버를 운영했었는데… 전기료 때문에 접었습니다.

대한민국 전기로… 누진으로 붙으면 조금 부담이 됩니다.

p4 3.0mhz iis7 + fast CGI 으로 도쿠위키 웹서버,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돌렸었습니다.

[b:fv7eep3s]하루[/b:fv7eep3s]에 접속자 (동접 아님)가 600-700명 정도만 되어도 버벅거립니다.

리눅스로 돌려보려다가 결국 파란 호스팅 1기가로 바꾸었습니다.

도쿠위키는 php 프로세스가 파일을 직접 만져야 하기 때문에 파란 호스팅 말고는 별로 선택이 없었습니다.

전기료는 잘 모르겠습니다. 신경쓰일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회선은 KT 100메가인데 회선 속도는 느리지 않습니다. 유동ip는 dnsever랑 iptime 공유기 둘다 쓰고 있습니다.

지금은 웹서버는 파란으로 돌리고 집에서는 우분투로 토렌트돌립니다.

리플미니 같은 미니 PC같은건 속도가 살짝 느릴꺼 같은데요~
우리나라사람 느린건 못 참잖아요!
예전엔 팬3 850 cpu 노트북으로 돌렸는데 느려서 바꿨습니다.
요즘 왠만한 팬4정도면 문안합니다.

가족홈페이지와 지인 홈페이지 총 두개물려서 돌리고 있는데요
합이 하루 방문자 400~500 미만인데 잘 돌아갑니다.
속도도 잘 나오는듯합니다. http://www.pcjoin.com
생각보다 전기료 많이 안먹습니다. 가동후 모니터 떼어버리고 사용중입니다.
사양은 아래와 같구요. 월 6000원~7000원 정도도 안나오는거 같던데요~

CPU 듀얼코어 울프데일 E6500 (2.9GHz/2MB/LGA775)
OS Linux Ubuntu 10.04 LTS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