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그럽문제로 우분투가 설치되지 않을 때 수동으로 부팅디스크 설정해주는 방법입니다

부트그럽문제로 우분투가 설치되지 않을 때 수동으로 부팅디스크 설정해주는 방법입니다.
부팅디스크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이 따로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나타나는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이 매우 간단합니다.
물론 해당작업은 이미 다른 버전의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거나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에서만 가능합니다.
굳이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우분투 라이브 시디나 이전버전으로 부팅디스크를 만들어 진행하실수도 있겠죠.
최신버전의 우분투에서 부트그럽문제로 설치관련 오류가 많은 편이니 울트라iso나 unetbootin 혹은 기타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도저히 정상적으로 우분투를 설치할 수 없는 분들께서 활용하시면 좋은 정보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로 전 윈도우7과 우분투를 같은 하드디스크에 설치해서 멀티부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문제해결에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신
sychomade님
벽헌님
정말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출처

http://mojolog.net/420 http://blog.daum.net/sychomad/2523112

우선 터미널을 띄우신 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grub-install --root-directory=/media/my-usb /dev/sdb

위 명령어는 부팅디스크에 부트그럽을 설치하는 명령어 입니다.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수행이 되면 Installation finished. No error reported 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위의 명령어를 수행하신 뒤 디스크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시면 grub폴더가 들어 있는 boot폴더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my-usb 는 작업할 부팅디스크의 이름입니다.
부팅디스크의 이름은 포멧으로 간단하게 지정해 주실 수 있습니다.
하는 김에 행여 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깔끔하게 포멧도 해주시는 게 여러모로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디스크 아이콘 - 오른쪽마우스클릭 - 포멧 - 이름변경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sdb 의 b는 부팅디스크를 나타내는 디스크 식별문자입니다.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첫번째 하드디스크가 sda가 됩니다.
하드디스크가 하나일 경우 부팅디스크를 usb에 장착하신 거라면 sdb이고
하드디스크가 두 개일 경우 부팅디스크를 usb에 장착하신 거라면 sdc가 되는 것입니다.
확실하지 않을 경우 sudo fdisk -l 명령어를 통해 부팅디스크의 식별문자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설치할 프로그램의 iso 파일이 들어 갈 폴더를 만들어 주는 작업입니다.

mkdir /media/my-usb/iso

특별히 더 설명드릴 부분은 없는 것 같습니다.
my-usb는 앞서 설명드린대로 부팅디스크의 이름이라는 걸 쉽게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위의 명령어를 수행하신 뒤 디스크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시면 iso 폴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iso폴더가 설치되었다면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의 iso 파일을 생성된 iso 폴더안에 넣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세 번째는 grub.cfg 라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부트로더인 GRUB을 읽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파일입니다.

gedit /media/my-usb/boot/grub/grub.cfg

위의 명령어를 수행하면 grub.cfg 창이 뜨게 되는데, 거기에 아래 명령어를 붙여넣기 한 뒤 저장하시면 작업완료입니다.

menuentry "ubuntu-10.10-desktop-amd64 INSTALL" {
loopback loop /iso/ubuntu-10.10-desktop-amd64.iso
linux (loop)/casper/vmlinuz boot=casper iso-scan/filename=/iso/ubuntu-10.10-desktop-amd64.iso noeject noprompt –
initrd (loop)/casper/initrd.lz
}

ubuntu-10.10-desktop-amd64.iso는 iso 폴더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입니다.
"ubuntu-10.10-desktop-amd64 INSTALL" - 이 부분에는 확장자를 뺀 순수 파일명만 적어 넣으셔야 하고
나머지 아래 두 군데는 그냥 보이시는 그대로 파일의 전체이름을 붙여넣기하시면 됩니다.

컴퓨터 재부팅 하셔서 cmos 에서 작업한 부팅디스크로 부팅순서 우선순위 바꿔주시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ajh01963@gmail.com 으로 메일주세요^^
상세하게 개인면담 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런 문제를 우분투 설치하는 시스템 중 열에 하나 보는데, 이 방법으로 해결하면 되겠군요?

좋은 팁 감사합니다 ^^ :D

이 방법은 심지어 맥북에서도 됩니다. 다만 항상되는게 아닌 것 같아서 이 부분도 조사 중입니다ㅠㅠ

이것 때문에 몇 일동안 고생했었는데 의외로 간단한 방법이 있더군요.
벌써 하드 포멧만 10번을 넘게 했던 터라
10.10 설치화면이 나타났을 때는 믿기지 않았을 정도…
아무튼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결국엔 해결을 했네요.
도움주신 우부투 코리아 회원님들 정말 감사합니다.(꾸벅-)

엇 부끄럽네요 . 저는 링크만 걸어드린건데 .

해결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어찌보면 돌아가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했었어요 .

우분투 설치하고 진행을 해야하는 방법이다 보니 …

윈도우 상에서도 grub 을 설치할수는 없나보더라구요 . … … ( grub4dos 는 있지만 )

방법 있을듯도 한데 …

이럴떄를 대비하여 라이브 씨디는 무지 도움이 됩니다.

자자 세미나 오셔서 하나씩 받아 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