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듀얼코어효과) 한대처럼 쓸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xp로 갔다가 다시 우분투로 밀어버렸습니다.

컴퓨터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요즘 듀얼코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메인보드 한개에 Cpu가 두개인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럼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듀얼코어 효과를 볼순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네이버 지식인에선 불가능하다고 나오는데
리눅스에선 된다는 말도 있는것 같고요

슈퍼 컴퓨터는 N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최대효과를 얻는다고 하는것 같은데요
그럼 일반 PC 여러대를 연결해서 하나의 슈퍼컴을 만들수 있을까요?

고수님들 혹시 알고계시면 말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CPU를 두개 꽂는 게 아니고 한 CPU 안에 코어가 두개 있는 것입니다.
나머지 설명은 고수님들께서~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과 듀얼코어나 듀얼 CPU의 차이점은 메모리가 분산되어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이입니다. 메모리가 분산되어 있으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병렬 처리 프로그램을 짜기도 어렵고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매우 느리기 때문에 병렬처리 효과가 많이 감쇄됩니다.
듀얼코어나 듀얼 CPU에서는 컴파일러나 OS 레벨에서 쉽게 프로그램을 병렬화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멀티 노드의 경우는 분산된 자원을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 보여주는 OS를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프로그램을 쉽게 짤 수 있게는 가능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듀얼코어라고 해도 병렬화를 고려하지 않은 프로그램은 하나의 코어만 사용합니다. 멀티 태스킹에는 유리합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이 듀얼코어를 사용하게 하려면 멀티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합니다. Posix thread를 사용하거나 OpenMP를 사용하면 멀티 쓰레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 노드의 경우는 주로 MPI로 프로그램을 짭니다. Erlang 이란 언어는 언어 자체가 병렬화를 고려해서 설계되어서 듀얼코어나 멀티노드를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나오는 많은 슈퍼컴퓨터 형태가 이런 형태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ki/베오울프_(컴퓨터)

예전에 부산대학교에서 PC를 병렬 연결해 수퍼컴퓨터를 만들었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있어 검색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네요.

[quote="이티뉴스":2j33vaah][size=150:2j33vaah]서울시립대, 리눅스 슈퍼컴 개발[/size:2j33vaah]

서울시립대가 국내 최고 성능의 리눅스 기반 클러스터 슈퍼컴퓨터를 개발했다.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이동)는 한컴리눅스(대표 박상현)와 공동으로 리눅스를 운영체계(OS)로 사용하는 PC 256대를 병렬로 연결해 중앙처리장치(CPU) 속도가 512기가플롭스의 성능을 발휘하는 슈퍼컴퓨터를 개발,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3일 밝혔다.

그동안 일반적인 PC 클러스터링 슈퍼컴퓨터는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OS를 사용해왔으며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등 다국적 IT기업의 기술지원을 통해 이뤄진 데 반해 이번 시립대의 슈퍼컴퓨터는 시립대와 한컴리눅스의 자체 인력 및 기술만으로 개발됐다는 점에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슈퍼컴퓨터 개발과 이용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 리눅스 기반의 클러스터 슈퍼컴퓨터를 구현한 사이트는 부산대학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두 곳으로 최대 128개의 CPU를 병렬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으며 256개의 CPU를 연결한 것은 이번 시립대가 처음이다.

리눅스 클러스터링 슈퍼컴퓨터는 윈도에 비해 개발역사가 길어 안정성이 뛰어난데다 소스코드가 공개돼 커널을 직접 다룰 수 있어 특정 환경에 최적화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또 리눅스를 탑재한 개인용 PC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일반적인 대형 슈퍼컴퓨터에 비해 가격이 10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시립대의 슈퍼컴퓨터는 펜티엄4. 2㎓ PC 256대에 조달청을 통해 제공받은 한컴리눅스디럭스2.2 OS를 탑재해 병렬로 연결한 베어울프형 클러스터링 방식이다.

시립대는 지난해 5월 전산소 및 관련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과학계산용 컴퓨터도입심의위원회를 발족, 서울시의 지원금을 포함한 6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시 립대 서울그리드센터의 이용우 센터장은 “저렴한 예산에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리눅스 기반으로 256개의 CPU를 병렬 연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국 규모로 추진중인 국가 그리드센터와 서울그리드센터를 연계하는 등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말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quote:2j33vaah]

출처: [url=http&#58;//www&#46;etnews&#46;co&#46;kr/news/detail&#46;html?section=01&amp;id=200302030192&amp;sr=yes&amp;banner_class=:2j33vaah]서울시립대, 리눅스 슈퍼컴 개발 - 대한민국 IT포털의 중심! 이티뉴스[/url:2j33vaah]

[quote="sonyechan":h0jwp05u]
그럼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듀얼코어 효과를 볼순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quote:h0jwp05u]
가능은 한데 현실성이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돈 조금 모아서 [i:h0jwp05u]메인보드 + 메모리 + 듀얼코어 CPU 구입하는 것[/i:h0jwp05u]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윽 전기세는 듀얼이 되는거겠죠 ;;;;;; 하하하하하하하 … .죄송합니다 … 꾸뻑 :o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