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사용자도 국가 공문서를 읽을 권리가 있다

hwp 포맷 1종류만 게시하는 관공서가 굉장히 많습니다.
관공서가 게시하는 hwp 문서 중에는 "읽기 전용(배포용)" 문서도 상당수 있습니다.
한글과컴퓨터사에서 리눅스용 hwp 뷰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리눅스 사용자들은 hwp 문서를 보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hwp 뷰어를 간간히 만들고는 있지만 "읽기 전용(배포용)" 포맷 내에 ViewText 라는 부분이 있는데, 한글과컴퓨터 측에서 ViewText 스펙을 공개하지 않아서 역설적으로 "읽기 전용(배포용)" 문서를 읽을래야 읽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관공서들은 hwp 포맷 외에 odf, pdf 등의 공개 포맷을 반드시 제공해야 합니다.
여러 종류의 공개 포맷(txt, html, odf, ooxml, pdf 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hwp 폐쇄 포맷만 제공하는 행위는 이제는 사라져야 합니다.
hwp 폐쇄 포맷을 사용할 것 같으면 국가는 공문서를 볼 수 있는 리눅스용 뷰어를 반드시 제공하거나 그 공문서를 처리할 수 있도록 문서 스펙을 제공해야 합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이 잘못이 아닙니다. 국가가 나서서 일방적으로 hwp 를 강요하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관공서에서는 공문서를 열심히 hwp 포맷으로 게시하고, 한글과컴퓨터사에서는 ViewText 스펙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이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인가요? 이런 사회는 짐승같은 사회입니다.

리눅스 사용자는 짐승이 아닙니다. 리눅스 사용자들도 국가 공문서를 읽을 권리가 있습니다.

참고 자료

hwp 스펙 문서 문제점

https://github.com/cogniti/ruby-hwp/wik ... C%EC%A0%90

국회입법조사처, HWP 퇴출 거듭 강조 2011.1.4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2957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공공문서에 대한 개방된 형식 도입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발간일 2010.12.31

http://www.nars.go.kr/publication/board ... %5Etype=02

한국과 같이 그 나라의 오피스웨어가 잘 유지되는 나라도 몇 없지요. MS OFFICE 를 방어하는 몇 안되는 국가입니다.

일단 한국산 소프트웨어 사용은 장려할 만 한데, 저는 그게 hwp 포멧 강요보다는 한글과컴퓨터가 리눅스용 뷰어를 만들어야 한다고 보네요. 일단 리눅스용 오피스는 윈도우 가정용보다 엄청 비싼것도 문제인 부분입니다.

그래도 지금은 Think-Free 라던지 Naver Edior 같은 웹 응용 소프트웨어 덕에 큰 장벽은 많이 줄어들긴 했습니다.

당연히 옳은 말씀 하셨고요,

아주 느리지만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목록 사진을 보면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지만,
아직 멀었죠?

[size=200:22b6byi7]1. 2009년 [/size:22b6byi7]
[attachment=0:22b6byi7]only hwp 1.png[/attachment:22b6byi7]
[size=200:22b6byi7]2. 2011년[/size:22b6byi7]
[attachment=1:22b6byi7]ODF n hwp 1.png[/attachment:22b6byi7]

좀 시간이 지난 포스팅이지만, 관공서에 웹이나 문서 접근성을 편리하게 해달라고 요구할 때 제가 참고하는 페이지도 있습니다.
윤석찬님의 블로그 중에서 제일 아래 PDF 파일은 읽어 볼 만 합니다.

http://channy.tistory.com/362

행정안전부 중에서 이쪽은 hwp 단독 배포가 눈에 띄는군요.

http://www.gosi.go.kr/cop/bbs/selectBoa ... 0000000131

[attachment=0:2t7k087t]screenshot4.png[/attachment:2t7k087t]
행정안전부가 선도기관으로써 공공문서 게시 지침을 마련하여
행정안전부를 포함하여 모든 기관(국가기관, 행정기관, 관공서, 공공기관 등)이

  • hwp 포맷 단독 배포 행위 금지
  • 공개 포맷 문서(txt, html, odf, pdf 등) 게시

하도록 해주면 좋겠네요.

특히 관련 학계, 전문가, 지식인, 사회 지도층, 언론은
사회가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이끌어야 되는 사람입니다.
수수방관하면 안 됩니다.

저같은 일반인이 이런거 신경 안 쓰도록 해주어야 됩니다.

요즘 정치수업 듣고 있는데, 국민발안제도가 우리나라에 있었으면합니다.==;;

국민투표는 있는데, "국민발안과 국민소환"제도는 지방자치에만 적용된다고 하더라고요…

글을 읽고 떠오른 아이디어인데요.

공무원 채용시험 과목에 리눅스를 끼워넣는 건 어떨까요?

국가기관이 윈도에 종속되는 것도 막을 수 있고 (적어도 줄여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죠…)

윈도 위주의 행정도 재고될 듯 싶구요.

공무원 시험 경쟁률이 무척 높다는데 리눅스 과목 하나 더 추가하면 분별력도 더 생길거라 봅니다.

괜찮은 아이디어 같지 않나요? ㅋ

[quote="devko":330q8f6f]글을 읽고 떠오른 아이디어인데요.

공무원 채용시험 과목에 리눅스를 끼워넣는 건 어떨까요?

국가기관이 윈도에 종속되는 것도 막을 수 있고 (적어도 줄여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죠…)

윈도 위주의 행정도 재고될 듯 싶구요.

공무원 시험 경쟁률이 무척 높다는데 리눅스 과목 하나 더 추가하면 분별력도 더 생길거라 봅니다.

괜찮은 아이디어 같지 않나요? ㅋ[/quote:330q8f6f]
자칫 잘못하다간 쓸 것도 아니면서 시간만 버리는 과목이 될지도 모릅니다.
또 우리나라의 시험은 아무리 재밌는 공부라도 그저 시험용 암기자료로 전락하게 만든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겠죠.

신문 기사 검색해봤는데…
2007년 03월 30일 기사입니다.
제목: [행망 전자문서 표준 진단(上)]정부전자문서 표준 놓고, SW업계 이해득실 첨예 대립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22325

기사 내용 중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quote:g4cgzl7p]
◆ODF 표준 채택 움직임의 배경 = 정부가 ODF를 행망 문서 표준으로 채택하려는 1차적 명분과 배경은 WTO(세계무역기국)에서 내건 요구때문이다.

WTO 가입국은 2012년까지 해당 국가의 모든 표준을 세계표준으로 맞춰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quote:g4cgzl7p]

결국은 행정안전부나 지식경제부 그리고 방송통신위원회 같은 정부나 정부기관에 압력을 넣어서 그들로 하여금 표준 문서 사용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사용을 유도하도록 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누구 한 사람이 총대 메고 할 일은 아니고, 문제점을 인식한 누구나 민원을 자주 넣어서 공무원들이 자작하게 돕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민원을 하도 많이 넣어서 블랙리스트에 올라있을겁니다.^^

위에 있었던 제가 쓴 댓글은 썰렁해서 그냥 삭제했습니다.
리눅스나 즐기며 유유자적 안빈낙도하며 조용조용 살고 싶었는데…
발자취를 자꾸 남기게 되는군요.

민원에 대한 답변이 왔습니다.

답변 내용 중에

[quote:13ytkgz5]“ViewText" 포맷은 기 공개된 "BodyText"와 동일한 내용으로[/quote:13ytkgz5]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배포용 문서를 다시 테스트해봤는데 아래의 문서는 BodyText 읽는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는 ViewText 문서의 내용을 읽을 수가 없습니다.

http://www.wando.go.kr/file/wsboard/dat ... p?idx=5812

아래는 답변 내용입니다.

처리기관: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 정보기반정책관 정보자원정책과
답변일: 2011.04.06. 19:10:26
답변내용

공공기관에서 배포하는 문서 포맷에 대한 귀하의 지적에 공감하며
바쁜 시간을 내어 이렇게 개선 의견을 올려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공공기관에서 국민에게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당연히 보편적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정부에서는 장애인 웹접근성이나 웹브라우저 호환성 확보 같은 다양한 개선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다만, 귀하께서 지적하신 부분에 다소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아래와 같이 정정하고자 합니다.
먼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등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가 한글S/W이다 보니
일부 부서에서 이 형식으로 자료를 제공한 것이며 최근에는 pdf와 같은 공개 포맷을 병행하여
제공하는 기관이 증가하는 등 국가에서 hwp 포맷 사용을 강요하는 것은 아니란 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아울러, 한글과컴퓨터(사)에 확인 결과 배포용 문서에 사용하는 “ViewText" 포맷은
기 공개된 "BodyText"와 동일한 내용으로 해당 업체는 이를 고의적으로 누락한 것이 아니라 이미 공개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재 공개에서 누락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리눅스용 뷰어의 경우에는 리눅스의 국내 도입 초기에 체험판 배부 등을 통해 제공하였으나
워낙 리눅스의 버전이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일일히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겠다는 대답을 받았습니다.

끝으로 귀하께서 지적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관련부서 등과 협의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이거 이제 거의 포기…

그냥 와인으로 뷰어 씁니다…

그런데 정말 차라리 한컴에서 뷰어를 만들지는 못하더라도
와인으로 구동되는 패키지로 하나만 만들어서 뿌려줘도 원이 없겠어요…

그리고 HWP파일 말고 차라리 docx같은거로라도 올려주면 LibreOffice에서 읽을수라도 있는데말이죠;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 정보기반정책관 정보자원정책과에서
한글과컴퓨터사를 대변하는 듯한 모습은 참 아쉬었습니다.

[quote:h89v66cy]
아울러, 한글과컴퓨터(사)에 확인 결과 배포용 문서에 사용하는 “ViewText" 포맷은
기 공개된 "BodyText"와 동일한 내용으로 해당 업체는 이를 고의적으로 누락한 것이 아니라 이미 공개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재 공개에서 누락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리눅스용 뷰어의 경우에는 리눅스의 국내 도입 초기에 체험판 배부 등을 통해 제공하였으나
워낙 리눅스의 버전이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일일히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겠다는 대답을 받았습니다.
[/quote:h89v66cy]
그에 대한 반론을 하겠습니다.

[quote:h89v66cy]“ViewText" 포맷은 기 공개된 "BodyText"와 동일한 내용[/quote:h89v66cy]
파일 헤더에 배포용, 압축 플래그에 체크되어 있는데,
BodyText 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ViewText 의 압축을 풀 수가 없더군요.
아마 암호걸린 배포용 문서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은데, 성공하신 분 계시면 저한테도 알려주세요.
이렇게 해보고 저렇게 해봐서 알아내는 방법으로는 시간이 굉장히 많이 소비됩니다.
즉, ViewText 의 스펙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기술 중립성, 호환성, 공공성을 위해 국가가 합법적 범위에서 hwp 포맷을 역공학하든,
초능력을 쓰든가 하여 ViewText 포맷을 제공해야 합니다.
아니면 리눅스용 공문서 뷰어를 제공하던가.

[quote:h89v66cy]고의적으로 누락한 것이 아니라 이미 공개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quote:h89v66cy]
누락, 생략된 스펙이 상당히 많은데…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면 그 모두가 실수인가요.
실수가 아니라면 일부러 누락한 것이 맞습니다.

[quote:h89v66cy]현재 공개에서 누락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도 추진하고 있다[/quote:h89v66cy]
2010년 6월 말에 한글과컴퓨터사에서 hwp 포맷 스펙 문서를 공개했는데,
2011년 1월에서야 저작권, 사용권 관련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지금이 2011년 4월입니다. 1년이 다되어갑니다…
얼마나 더 기다려야… 보완이 될까요? 5년 10년???
그 전이라도 국가가 나서서 초능력을 쓰던가,
합법적 범위 내에서 hwp 포맷을 역공학을 하여 [b:h89v66cy]리눅스용 공문서 뷰어[/b:h89v66cy] 만들어 주면 좋겠군요.

[quote:h89v66cy]리눅스용 뷰어의 경우에는 리눅스의 국내 도입 초기에 체험판 배부 등을 통해 제공[/quote:h89v66cy]
체험판(날짜 제한 있음)과 뷰어는 엄연히 다릅니다. 체험판은 체험을 통해 구입을 유도하는 제품입니다.

[quote:h89v66cy]워낙 리눅스의 버전이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일일히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quote:h89v66cy]
패키징하는 것이 뭐가 어렵다고…ㅎㅎㅎㅎ

다음부터 민원 넣을 때

[quote:117wqtwm]국가가 나서서 일방적으로 hwp 를 강요하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quote:117wqtwm]
위의 문장을

[quote:117wqtwm]행정안전부가 공공문서 게시 지침을 마련하지 않고, 상당수의 공무원들이 공공성, 보편성에 대한 고려없이 hwp 를 단독 게시하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quote:117wqtwm]
이렇게 고쳐서 민원을 넣어야겠군요.

국가기관, 행정기관, 관공서, 공공기관(학교 포함) 등을 이용할 때
hwp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은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민원을 제기해 주세요.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민원을 제기해야 바뀝니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에는 특정 회사 제품을 어쩔 수 없이 구입해야 됩니다.

국가가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고 변명은 하지만,
제 입장에서는 벌써 MS 윈도우 강매당했고, hwp 워드프로세서를 더 이상 강매당하고 싶지 않습니다.

개개인들이 학교, 도서관, 동사무소, 구청, 시청 등의 홈페이지를 이용하면서 hwp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경우,
가만히 당하지 말고, 해당 기관에 [b:117wqtwm][color=#0040FF:117wqtwm]국민신문고[/color:117wqtwm][/b:117wqtwm] 통하여 꼭 민원 넣어 주시고,
아울러 [b:117wqtwm][color=#0040FF:117wqtwm]행정안전부[/color:117wqtwm][/b:117wqtwm]에 ‘어디어디 기관(또는 학교)에서 hwp 단독 게시하더라’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b:117wqtwm][color=#0040FF:117wqtwm]선도 기관[/color:117wqtwm][/b:117wqtwm]으로써 [b:117wqtwm][color=#0040FF:117wqtwm]공공문서 게시 지침[/color:117wqtwm][/b:117wqtwm]을 만들어달라고 민원 넣어주세요.

그래야만 바뀝니다.

민원 넣을 때 아래 자료도 참고해 주세요.

전자정부 웹호환성 준수지침(행안부고시 제2009-185호)

http://www.mopas.go.kr/gpms/ns/mogaha/u ... entPage=31

[quote:1r2z164p]2009년 8월 19일
행정안전부장관

「전자정부 웹호환성 준수지침」 제정 고시

  1. 제정이유
    국민 누구라도 이용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각급 기관이 준수해야 할
    사항을 정하고자 함[/quote:1r2z164p]

좋은 문장들이 보이네요.

[color=#FF4000:1r2z164p]국민 누구라도 이용환경에 구애받지 않고…[/color:1r2z164p]

:shock: :)

이미 어떤 방향이 옳은지 글로써 표현해주고 있네요.

[quote:2pxft4qk]리눅스용 뷰어의 경우에는 리눅스의 국내 도입 초기에 체험판 배부 등을 통해 제공[/quote:2pxft4qk]
체험판(날짜 제한 있음)과 뷰어는 엄연히 다릅니다. 체험판은 체험을 통해 구입을 유도하는 제품입니다.

[quote:2pxft4qk]워낙 리눅스의 버전이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일일히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quote:2pxft4qk]
패키징하는 것이 뭐가 어렵다고…ㅎㅎㅎㅎ[/quote]

차라리 소스를 공개하고 개별적인 리눅스 버전 지원에 대한 책임을 커뮤니티에게 넘겨줬으면 합니다.

그래야 서로 말이 돼죠.

그런데 이러한 반론부분들 그쪽에 전하신건가요? 아니면 여기에만 올리신건가요ㅕ?

[url:xmq9mcgn]http://www.haansoft.com/centerQna.boardForm.do[/url:xmq9mcgn]
이 주소는 한컴에대한 문의를 할 수 있는 곳인데요.
이곳에도 의견을 남겨주세요.

저는 뷰어를 만들어준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또한 공공문서가 hwp 포맷으로 만들어져 리눅스 사용자들은 문서를 보는데 불편하다는 내용으로 항의를 했습니다. 약속을 지켜서 뷰어라도 만들어 달라는 내용으로 한컴에 보냈습니다.

예전에 한컴에서 리눅스용 뷰어 만든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지키지 않았습니다.

일단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여러곳에 의견을 개진하려고 합니다.

다른 분들도 위에 주소로 꼭 의견을 보내주세요.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중요하니까요.

[quote="tuberosity":1qfoaw58]그런데 이러한 반론부분들 그쪽에 전하신건가요? 아니면 여기에만 올리신건가요ㅕ?[/quote:1qfoaw58]
ViewText 관한 부분은 의견 전달을 했는데… 나머지는… 여기만 올렸네요 ;;
그 당시 제가 바뻤나 봅니다. 당시가… 4월달이었으면 많이 바뻤을 때군요.

근데… 개인적 의견이지만 이런데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이미 스마트폰이 대세입니다. 스마트폰 대세 오에스는 안드로이드고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기반압니다. 애플 ios도 BSD기반입니다. 중요한 것은 둘다 윈도우즈가 아닙니다.

따라서 행정전산망 스마트폰용 서비스도 이제는 예전에 그들이 대세인 윈도우만 지원했듯이 그 관행이 지속된다면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ios를 지원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들도 hwp를 어느 정도 버릴 수 밖에 없습니다. 또 행정 서비스가 안드로이드 ios만 지원해도 윈도우 모바일이나 다른 플랫폼이 이를 따라가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그 정도면 충분합니다. 오히려 가만히 놓아두면 알아서 잘 익을 것을 자꾸 건드리면 공무원들 근시안적인 실적주의에 갇혀 설익은 열매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quote="logout":223pngw2]근데… 개인적 의견이지만 이런데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이미 스마트폰이 대세입니다. 스마트폰 대세 오에스는 안드로이드고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기반압니다. 애플 ios도 BSD기반입니다. 중요한 것은 둘다 윈도우즈가 아닙니다.

따라서 행정전산망 스마트폰용 서비스도 이제는 예전에 그들이 대세인 윈도우만 지원했듯이 그 관행이 지속된다면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ios를 지원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들도 hwp를 어느 정도 버릴 수 밖에 없습니다. 또 행정 서비스가 안드로이드 ios만 지원해도 윈도우 모바일이나 다른 플랫폼이 이를 따라가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그 정도면 충분합니다. 오히려 가만히 놓아두면 알아서 잘 익을 것을 자꾸 건드리면 공무원들 근시안적인 실적주의에 갇혀 설익은 열매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quote:223pngw2]

이건 잘못생각하고 계시는겁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유저가 많아지게되면 당연 저 문서를 읽을 수 있는 뷰어를 만들겠지요
그렇지만 여전히 리눅스에는 유저가 많지 않다는 이유로 계속 외면 당할것이구요

그리고 안드로이드가 리눅스 기반이라고 해서 안드로이드용으로 만든 앱이 리눅스에서 돌아가지는 않습니다.
베이스 OS로 리눅스 커널을 쓰고 있다뿐이지 전혀 다른 플랫폼으로 보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