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지도 못했던 곳에서 우분투가 아주 인기가 좋군요

요즘 웹 서핑 중에 리눅스, 개발자, 심지어 안드로이드 관련 사이트도 아닌 그냥 하드웨어 사이트들에서 우분투 관련 글을 많이 봅니다.
[url=http://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4528&cstart_page=0:5n8rnegg]파코즈[/url:5n8rnegg]
[url=http://gigglehd.com/zbxe/sfforum/5369796:5n8rnegg]기글 하드웨어[/url:5n8rnegg]

모바일 하드웨어 사이트는 물론이고요,
[url=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5762082&page=0&sfl=wr_subject||wr_content&stx=:5n8rnegg]클리앙[/url:5n8rnegg]

휴대용 음악 리시버 사이트에서도 발견됩니다.
[url=http://goldenears.net/board/?document_srl=1087018&mid=CT_Reco_Prod&rnd=1240374#comment_1240374:5n8rnegg]골든이어스, 황금귀[/url:5n8rnegg]

아직 다수가 사용하는 os는 아니지만 하드웨어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알음알음 꽤 인기가 높아진 것 같은데 역시 삽질을 즐기는 공돌이들에게 잘 먹히는 것 같습니다.
맥 관련 사이트도 가끔 호기심이 나서(적진 정찰 ㅋㅋ) 가보면 우분투 쓰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자유/오픈 SW에 대한 적개심을 가진 분들도 계시지만 말이죠.
11.04로 올라오면서 좀 주춤해지고 있는데 이 모멘텀을 잘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 점유율이 계속 1% 선에서 정체되어 있는데 iOS가 어느새 리눅스 점유율을 추월했더군요. 안드로이드를 합치면 리눅스가 앞서겠지만 그래도 GNU 소프트웨어를 쓰는 데스크탑 리눅스가 잘 되야죠.

p.s. 심지어 dc (소녀시대) 태연 갤러리에서도 우분투 글이 발견됩니다. 25달러로 만들 수 있는 우분투가 돌아가는 usb메모리 사이즈 컴퓨터라, 대단하네요. arm11 700mhz apu에 128mb 램이면 보급형 안드로이드폰들보다 못한데 최적화를 잘했나봅니다.
[url=http://gall.dcinside.com/list.php?id=taeyeon_new&no=2812087&page=1&bbs=:5n8rnegg]탱갤[/url:5n8rnegg]

총본산(?)이 여기인 만큼, 여기 회원 분들 중 몇몇 분께서 링크해주신 곳에서 암약(?)하고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ㅋㅋ.

점조직이군요^^

여러분! 우분투가 무엇입니까? 언제나 그리운 이름입니다! 바로 FOSS 낙원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저도 주로 파란동네에서 놀곤합니다만 의외로 우분투의 언급이 적은듯해서 섭섭합니다. 사이트 성격상 더 많이 다뤄질만도한데 말이죠. 차라리 클리앙쪽이 우분투얘기는 더 많이 나오지않나합니다.

클리앙 회원입니다 제가 ㅋㅋ 우분투 관련글이 뜨면 열심히 댓글을 달아요. ^^

파코즈가 주 활동장소입니다
우분투글만올라모면 열심히 대글다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quote="pepsirian":169vpmmr]요즘 웹 서핑 중에 리눅스, 개발자, 심지어 안드로이드 관련 사이트도 아닌 그냥 하드웨어 사이트들에서 우분투 관련 글을 많이 봅니다.
[url=http://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4528&cstart_page=0:169vpmmr]파코즈[/url:169vpmmr]
[url=http://gigglehd.com/zbxe/sfforum/5369796:169vpmmr]기글 하드웨어[/url:169vpmmr]

모바일 하드웨어 사이트는 물론이고요,
[url=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5762082&page=0&sfl=wr_subject||wr_content&stx=:169vpmmr]클리앙[/url:169vpmmr]

휴대용 음악 리시버 사이트에서도 발견됩니다.
[url=http://goldenears.net/board/?document_srl=1087018&mid=CT_Reco_Prod&rnd=1240374#comment_1240374:169vpmmr]골든이어스, 황금귀[/url:169vpmmr]

아직 다수가 사용하는 os는 아니지만 하드웨어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알음알음 꽤 인기가 높아진 것 같은데 역시 삽질을 즐기는 공돌이들에게 잘 먹히는 것 같습니다.
맥 관련 사이트도 가끔 호기심이 나서(적진 정찰 ㅋㅋ) 가보면 우분투 쓰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자유/오픈 SW에 대한 적개심을 가진 분들도 계시지만 말이죠.
11.04로 올라오면서 좀 주춤해지고 있는데 이 모멘텀을 잘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 점유율이 계속 1% 선에서 정체되어 있는데 iOS가 어느새 리눅스 점유율을 추월했더군요. 안드로이드를 합치면 리눅스가 앞서겠지만 그래도 GNU 소프트웨어를 쓰는 데스크탑 리눅스가 잘 되야죠.

p.s. 심지어 dc (소녀시대) 태연 갤러리에서도 우분투 글이 발견됩니다. 25달러로 만들 수 있는 우분투가 돌아가는 usb메모리 사이즈 컴퓨터라, 대단하네요. arm11 700mhz apu에 128mb 램이면 보급형 안드로이드폰들보다 못한데 최적화를 잘했나봅니다.
[url=http://gall.dcinside.com/list.php?id=taeyeon_new&no=2812087&page=1&bbs=:169vpmmr]탱갤[/url:169vpmmr][/quote:169vpmmr]

안드로이드의 앱(App.)이 아닌 BSP(CMOS 같은 BIOS 기능을 담당하는 Boot Loader, Kernel, File System 등) 소스들을 개발하기 위해선 거의 우분투를 사용해야 된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겁니다. 저 역시 그런 계기로 우분투를 사용하게 되었거든요. ^^;;;

Google 의 안드로이드 엔지니어들이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기에 우분투 BSP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환경이 우분투로 되어 있어 일단 안드로이드 BSP 는 우분투라고 보시면 되거든요. :-)

그리고, 11.04 부터는 공식적으로 ARM 프로세서를 지원하기 시작했지만, 그 이전부터 우분투의 간결함과 심플함에 매료된 사람들이 ARM 프로세서에 우분투를 올려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에, 저처럼 임베디드 리눅스 등의 SW를 개발하는 사람들에겐 우분투가 정말 고마운 운영체제라 생각됩니다.

다만 개발자들의 특성상 이뿌게 꾸민다던지, 자신의 넷북 그래픽 드라이버를 잡지 않고 그냥 사용한다던지 하는 유불(ㅠ.ㅠ)인 경우도 의외로 많다는 점이 아쉽죠. 흑흑흑~~ (* 언제 유불에서 벗어날런지… OTL)

[quote="뻔뻔강사유명환":1il37qua][quote="pepsirian":1il37qua]요즘 웹 서핑 중에 리눅스, 개발자, 심지어 안드로이드 관련 사이트도 아닌 그냥 하드웨어 사이트들에서 우분투 관련 글을 많이 봅니다.
[url=http://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4528&cstart_page=0:1il37qua]파코즈[/url:1il37qua]
[url=http://gigglehd.com/zbxe/sfforum/5369796:1il37qua]기글 하드웨어[/url:1il37qua]

모바일 하드웨어 사이트는 물론이고요,
[url=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5762082&page=0&sfl=wr_subject||wr_content&stx=:1il37qua]클리앙[/url:1il37qua]

휴대용 음악 리시버 사이트에서도 발견됩니다.
[url=http://goldenears.net/board/?document_srl=1087018&mid=CT_Reco_Prod&rnd=1240374#comment_1240374:1il37qua]골든이어스, 황금귀[/url:1il37qua]

아직 다수가 사용하는 os는 아니지만 하드웨어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알음알음 꽤 인기가 높아진 것 같은데 역시 삽질을 즐기는 공돌이들에게 잘 먹히는 것 같습니다.
맥 관련 사이트도 가끔 호기심이 나서(적진 정찰 ㅋㅋ) 가보면 우분투 쓰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자유/오픈 SW에 대한 적개심을 가진 분들도 계시지만 말이죠.
11.04로 올라오면서 좀 주춤해지고 있는데 이 모멘텀을 잘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 점유율이 계속 1% 선에서 정체되어 있는데 iOS가 어느새 리눅스 점유율을 추월했더군요. 안드로이드를 합치면 리눅스가 앞서겠지만 그래도 GNU 소프트웨어를 쓰는 데스크탑 리눅스가 잘 되야죠.

p.s. 심지어 dc (소녀시대) 태연 갤러리에서도 우분투 글이 발견됩니다. 25달러로 만들 수 있는 우분투가 돌아가는 usb메모리 사이즈 컴퓨터라, 대단하네요. arm11 700mhz apu에 128mb 램이면 보급형 안드로이드폰들보다 못한데 최적화를 잘했나봅니다.
[url=http://gall.dcinside.com/list.php?id=taeyeon_new&no=2812087&page=1&bbs=:1il37qua]탱갤[/url:1il37qua][/quote:1il37qua]

안드로이드의 앱(App.)이 아닌 BSP(CMOS 같은 BIOS 기능을 담당하는 Boot Loader, Kernel, File System 등) 소스들을 개발하기 위해선 거의 우분투를 사용해야 된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겁니다. 저 역시 그런 계기로 우분투를 사용하게 되었거든요. ^^;;;

Google 의 안드로이드 엔지니어들이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기에 우분투 BSP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환경이 우분투로 되어 있어 일단 안드로이드 BSP 는 우분투라고 보시면 되거든요. :-)

그리고, 11.04 부터는 공식적으로 ARM 프로세서를 지원하기 시작했지만, 그 이전부터 우분투의 간결함과 심플함에 매료된 사람들이 ARM 프로세서에 우분투를 올려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에, 저처럼 임베디드 리눅스 등의 SW를 개발하는 사람들에겐 우분투가 정말 고마운 운영체제라 생각됩니다.

다만 개발자들의 특성상 이뿌게 꾸민다던지, 자신의 넷북 그래픽 드라이버를 잡지 않고 그냥 사용한다던지 하는 유불(ㅠ.ㅠ)인 경우도 의외로 많다는 점이 아쉽죠. 흑흑흑~~ (* 언제 유불에서 벗어날런지… OTL)[/quote:1il37qua]

IOS는 사과빠라는게 존재하고… 그래픽작업쪽에 어도비가 사과한테 더 좋게 프로그램을 제작했기에
늘어날수 밖에 없었죠… 특히 아이팟 아이폰 어플개발은 맥에서만 가능한것도 있고요…

그리고 구글에서도 개발할떄 우분투 사용하는건가요?
우분투 사용자로써 이런 정보는 기쁘지만 가끔 혼돈 된다는 ㅎㅎ;;
리눅스를 쓰는것인가 우분투라는 한가지 OS를 쓰는것인가…

[quote="Ruin_Star":4br3jplo]
IOS는 사과빠라는게 존재하고… 그래픽작업쪽에 어도비가 사과한테 더 좋게 프로그램을 제작했기에
늘어날수 밖에 없었죠… 특히 아이팟 아이폰 어플개발은 맥에서만 가능한것도 있고요…

그리고 구글에서도 개발할떄 우분투 사용하는건가요?
우분투 사용자로써 이런 정보는 기쁘지만 가끔 혼돈 된다는 ㅎㅎ;;
리눅스를 쓰는것인가 우분투라는 한가지 OS를 쓰는것인가…[/quote:4br3jplo]

어도비가 사과에게 특혜를 배푸던 시절은 옛날일.
포토샵 CS버전부터 개발 언어 문제로 갈등이 생기기 시작해서
몇몇 어플은 출시를 못하거나 늦게 출시되거나 우여 곡절이 많았죠.
얼마전엔 플래시 문제로 싸웠고…
꾸준히 갈등이 심해지고, 대부분 플랫폼 관련 문제인거 보면, 언젠가 몇번 더 대차게 싸울듯. -_-;

구글 직원들은…윈도우 사용은 20%도 안되고,
일반 직원들은 애플, 개발자들은 리눅스를 쓴다고 합니다.
리눅스쓰는 개발자들에게 어떤 배포판만 써라 권할수 있을리가 없죠. ㅋㅋ
하지만 구글이 지원하는 주요 프로젝트인 안드로이드나 크롬OS에 계속 우분투가 거론되니 우분투 비중이 높다는 소문이 있더군요.
당연히 레드햇 계열(센트나 페도라등)도 꽤 되겠지만.

어도비 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사)는 리눅스에게 너무 작은 빛을 비추어주는 듯 합니다. ㅠㅠ

[quote="Ruin_Star":1dxfryxe]
그리고 구글에서도 개발할떄 우분투 사용하는건가요?
우분투 사용자로써 이런 정보는 기쁘지만 가끔 혼돈 된다는 ㅎㅎ;;
리눅스를 쓰는것인가 우분투라는 한가지 OS를 쓰는것인가…[/quote:1dxfryxe]

음… 제가 Google 본사에 가본 건 아니기 때문에 구글 개발자들 전부가 우분투를 사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Google 의 안드로이드 개발자들 중 이클립스(Eclipse) 기반의 안드로이드 앱(App) 개발자들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안드로이드 단말기용 SW (Boot Loader + Kernel + File System = BSP) 개발자들은 100%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안드로이드 단말기용 SW 개발자들 역시 (거의) 100%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솔직히 대중들에게 먹히기에는 화려한 것이 좋지요. 리눅스 민트가 가장 여기에 부합한다고 생각은 들지만 우분투는 가장 여기에 부합하게끔 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유니티도 그렇고 컴피즈를 기본으로 활성화 하는 것도 그렇고…

[quote="pepsirian":28e0tsbe]요즘 웹 서핑 중에 리눅스, 개발자, 심지어 안드로이드 관련 사이트도 아닌 그냥 하드웨어 사이트들에서 우분투 관련 글을 많이 봅니다.
[url=http://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4528&cstart_page=0:28e0tsbe]파코즈[/url:28e0tsbe]
[url=http://gigglehd.com/zbxe/sfforum/5369796:28e0tsbe]기글 하드웨어[/url:28e0tsbe]

모바일 하드웨어 사이트는 물론이고요,
[url=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5762082&page=0&sfl=wr_subject||wr_content&stx=:28e0tsbe]클리앙[/url:28e0tsbe]

휴대용 음악 리시버 사이트에서도 발견됩니다.
[url=http://goldenears.net/board/?document_srl=1087018&mid=CT_Reco_Prod&rnd=1240374#comment_1240374:28e0tsbe]골든이어스, 황금귀[/url:28e0tsbe]

아직 다수가 사용하는 os는 아니지만 하드웨어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알음알음 꽤 인기가 높아진 것 같은데 역시 삽질을 즐기는 공돌이들에게 잘 먹히는 것 같습니다.
맥 관련 사이트도 가끔 호기심이 나서(적진 정찰 ㅋㅋ) 가보면 우분투 쓰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자유/오픈 SW에 대한 적개심을 가진 분들도 계시지만 말이죠.
11.04로 올라오면서 좀 주춤해지고 있는데 이 모멘텀을 잘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리눅스 점유율이 계속 1% 선에서 정체되어 있는데 iOS가 어느새 리눅스 점유율을 추월했더군요. 안드로이드를 합치면 리눅스가 앞서겠지만 그래도 GNU 소프트웨어를 쓰는 데스크탑 리눅스가 잘 되야죠.

p.s. 심지어 dc (소녀시대) 태연 갤러리에서도 우분투 글이 발견됩니다. 25달러로 만들 수 있는 우분투가 돌아가는 usb메모리 사이즈 컴퓨터라, 대단하네요. arm11 700mhz apu에 128mb 램이면 보급형 안드로이드폰들보다 못한데 최적화를 잘했나봅니다.
[url=http://gall.dcinside.com/list.php?id=taeyeon_new&no=2812087&page=1&bbs=:28e0tsbe]탱갤[/url:28e0tsbe][/quote:28e0tsbe]

윈모에 안드로이드 돌리시는 분들도 안드로이드를 haret으로 돌리는셈 치고 우분투로 sd카드를 ext2와 fat32로 파티션 나누는 분들도 꽤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