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블로그를 만들고싶어져서 집에 있는 미니PC에 우분투 서버깔고 AMP설치해서 이제 기본적인 껍데기정도는 만들었는데요. 하다보니 궁금한게 있어서요.
보통 /var/www에서 파일을 만들고 그걸 띄우던데 그러면 우분투 서버 설치시에 /var쪽에 파티션 용량을 몰아줘야 하는건가요?
mysql을 사용하고있는데 해당 DB들은 어느위치에 저장되는건가요? 이쪽에 용량을 몰아줘야하는건지??
이 블로그를 위주로 운영하려고 하는데 어떤 비율로 각각 어느위치에 파티션을 나눠줘야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매번 데스크탑만 사용하다보니 home에 용량 몰아주는게 습관이돼서…-_-;
그리고 좀 다른걸로 궁금한건 여기다가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는데요. 이걸 지우고 싶습니다. 몇번 검색해봤는데 설치법만 나와있지 지우는법은 나와있지 않더라구요.
그럼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일단… 저장 위치는…
mysql의 경우 /etc/mysql/my.cnf 파일에서 datadir 설정으로 데이터베이스 디렉토리를 설정하실 수 있구요
apache의경우 /etc/apache2/sites-enabled/ 디렉토리 하위의 설정파일들에서 DocumentRoot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따로 하나 파티션을 만드시죠… mysql 및 apache 데이터를 저장할 파티션 말이죠… 그렇게 하는 것이 관리하기에 편하지 않겠어요?
그리고선 저장위치만 바꾸어 주면 됩니다.
크기는 머 루트파티션이야 20-40기가 정도면 될 것이고,
새로만든 블로그용 파티션은 그 사용 용량에 따라 적절히 정하시면 되겠고,…
나머지는 /home에 몰아 주시면 되는 겁니다.
이경우 로그및 캐시,스풀데이터는 /var 밑에 놓이게되고, 설정파일들은 /etc 밑에 놓이게 됩니다.
머 그럴일이야 적겠지만 /var의 데이터가 많아져서 디스크를 꽉 채우는 현상이 생길까봐 염려되신다면…
/var파티션을 따로 만들어서 관리하셔도 됩니다.
[quote="protochaos":h9v26p8f]일단… 저장 위치는…
mysql의 경우 /etc/mysql/my.cnf 파일에서 datadir 설정으로 데이터베이스 디렉토리를 설정하실 수 있구요
apache의경우 /etc/apache2/sites-enabled/ 디렉토리 하위의 설정파일들에서 DocumentRoot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따로 하나 파티션을 만드시죠… mysql 및 apache 데이터를 저장할 파티션 말이죠… 그렇게 하는 것이 관리하기에 편하지 않겠어요?
그리고선 저장위치만 바꾸어 주면 됩니다.
크기는 머 루트파티션이야 20-40기가 정도면 될 것이고,
새로만든 블로그용 파티션은 그 사용 용량에 따라 적절히 정하시면 되겠고,…
나머지는 /home에 몰아 주시면 되는 겁니다.
이경우 로그및 캐시,스풀데이터는 /var 밑에 놓이게되고, 설정파일들은 /etc 밑에 놓이게 됩니다.
머 그럴일이야 적겠지만 /var의 데이터가 많아져서 디스크를 꽉 채우는 현상이 생길까봐 염려되신다면…
/var파티션을 따로 만들어서 관리하셔도 됩니다.[/quote:h9v26p8f]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직 mysql, apache데이터 저장위치를 변경하는 법도 모를정도로 초보라,(그냥 시키는대로 깔기만 했어요. ) 말씀하신거 구글링 해봐야겠네요. 로그및 캐시, 스풀데이터 뜻도 모르니… 아마 용량이 다 찰일은 없겠지만 겸사겸사 공부하며 하는거라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tto
6월 26, 2011, 11:35오전
4
질문하신 내용과는 별개의 이야기 입니다만은…
블로그를 운영하실 목적이시라면,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나을거같습니다.
설치형 블로그를 원하신다면 웹호스팅을 쓰시는 것도 좋구요.
개인 서버에 운영하시면, 일단 백업이 가장큰 문제입니다.
한 2년 잘 운영하시다가 하드디스크 나가면 그 데이터 어떻게 할 도리가 없습니다.
두번째가 보안문제입니다. 항상 주의 깊게 보안업데이트 사항을 살피셔야 합니다.
서버 보안이야 우분투 서버설치하면 편하게 할 수 있지만, 설치한 블로그 프로그램의 보안 취약점도
매번 업데이트 해줘야 하구요.
그냥 보니, 제 경험이 생각나서 한번 말씀 드려봅니다.
[quote="atto":3n2hgn62]질문하신 내용과는 별개의 이야기 입니다만은…
블로그를 운영하실 목적이시라면,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나을거같습니다.
설치형 블로그를 원하신다면 웹호스팅을 쓰시는 것도 좋구요.
개인 서버에 운영하시면, 일단 백업이 가장큰 문제입니다.
한 2년 잘 운영하시다가 하드디스크 나가면 그 데이터 어떻게 할 도리가 없습니다.
두번째가 보안문제입니다. 항상 주의 깊게 보안업데이트 사항을 살피셔야 합니다.
서버 보안이야 우분투 서버설치하면 편하게 할 수 있지만, 설치한 블로그 프로그램의 보안 취약점도
매번 업데이트 해줘야 하구요.
그냥 보니, 제 경험이 생각나서 한번 말씀 드려봅니다.[/quote:3n2hgn62]
좋은 말씀이십니다. 우선 서버로 쓰고있는 컴퓨터는 남는 자원이라 마땅히 활용할데가 없어서 웹서버로 사용하고자 한거구요. 겸사겸사 공부도 되지않을까해서 블로그 툴같은거 전혀 사용하지않고 블로그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뭐, 솔직히 거의 소스 짜집기한 수준이지만 그래도 PHP라던지 css등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게돼서 도움은 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보안부분도 막상 문제점 부딪히면 그때그때 제 경험으로 남게 되지않을까요? 이쪽도 낫놓고 기역자도 모르는 수준이어서;;
데이터 증발의 위험은 생각못했던 부분인데 다 날아가버리면 허망하긴 하겠네요. 좀 더 공부해서 제 환경에서도 백업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