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두개

가끔 잘나가다가…(11.04)를 사용중입니다만, 잘나가다가…어떤 꽁한 맘이 생겼는지…
우분투가 먹통이 되더이다…

몇십년전,윈도우 껏다키는 아픈과거를 생각나게 하며,요즘 새로산 노트북을 수시로 파워오프,온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특정 프로세스죽이는방법, 혹은 부드럽게 재부팅하는 방법좀 가르쳐주세요…

cntl+alt+ f1~2를 눌러서 로그인한뒤 다시 cntl+alt+del 해서 재부팅하는데…방법이 맞나요? light어쩌고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 최선의 방법순으로 부탁드립니다.
그런데…다른분들도…이렇게 우분투가 다운이 자주되시나요?

두번째 질문…
이제, 우분투를 메인운영체제로 써볼까하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 멀티부팅으로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xp(32비트) , 윈도7(64비트) , 그리고 메인으로 우분투(64비트) 이렇게 하려고 하는데…괜찮을까요? 32,64비트 섞어놔도…?

[quote="thornbird":2o988rnm]가끔 잘나가다가…(11.04)를 사용중입니다만, 잘나가다가…어떤 꽁한 맘이 생겼는지…
우분투가 먹통이 되더이다…

몇십년전,윈도우 껏다키는 아픈과거를 생각나게 하며,요즘 새로산 노트북을 수시로 파워오프,온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특정 프로세스죽이는방법, 혹은 부드럽게 재부팅하는 방법좀 가르쳐주세요…

cntl+alt+ f1~2를 눌러서 로그인한뒤 다시 cntl+alt+del 해서 재부팅하는데…방법이 맞나요? light어쩌고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 최선의 방법순으로 부탁드립니다.
그런데…다른분들도…이렇게 우분투가 다운이 자주되시나요?

두번째 질문…
이제, 우분투를 메인운영체제로 써볼까하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 멀티부팅으로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xp(32비트) , 윈도7(64비트) , 그리고 메인으로 우분투(64비트) 이렇게 하려고 하는데…괜찮을까요? 32,64비트 섞어놔도…?[/quote:2o988rnm]

특정 프로세스를 강제로 죽이시려면
kill -9 프로세스번호
killall -9 프로세스이름
또는
sudo apt-get install procps
pkill -9 프로세스명령줄일부
pkill은 pgrep으로 검색해서 프로세스에 킬명령을 주는것입니다.

-9는 시그널9번을 전달하는것으로 시그널9번은 SIGKILL입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즈는 64비트보다 32비트가 나은것 같습니다.
윈도우즈 64비트를 설치하시면… 많은 프로그램들이 32비트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32비트 프로그램들과 섞여서… 이경우 WOW6432을 사용하고,
환경변수도 Program Files (x86)이라던가… PROCESSOR_ARCHITECTURE도 32비트로 보고합니다.
괜히 마구 섞이게 되어 저 생각엔 별로 같습니다.

XP와 WINDOWS7을 함께 사용하시려는 이유는 속도와 호환성 때문이시겠지만…
요즘은 왠만한것들은 WIN7에서 다 동작합니다.

그러니 설치는 WIN7과 우분투 이렇게 두개로 하시고…
VirtualBox나 VMWare를 설치하시고,
가상머신에 XP를 작게 설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윈도우즈와 우분투간의 공유를 위해서는…
Ext2fsd를 설치하시면 우분투 ext파티션을 윈도우즈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를 메인으로 사용하시고, 윈도우즈를 보조로 사용하신다면…
윈도우즈 환경에서는 프로그램들을
윈도우즈에서만 동작하거나, 윈도우즈에서 사용해야 편한 프로그램들 위주로 작게 설치하시고…
나머지 프로그램들은 PortableApps.com등을 이용하여 포터블 형태로 설치해주시면…
업데이트도 간편할 뿐 더러… 가상머신의 XP에서도… 프로그램 설치없이 공유를 통해서…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합니다.

윈도우즈는 보안및 바이러스등에 매우 취약합니다.
그래서 방화벽은 설치하지 않으시더라도,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설치하셔야 될 것입니다.

가상머신의 XP는 스냅샷이나 이뮤터블 형태로 하시면…
시스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티바이러스나 방화벽이 없어도 될 겁니다.
다만 가상머신에서는 시험용 프로그램들을 돌리기 십상이기 때문에…
핫픽스와 서비스팩, 각종 업데이트, 자바와 닷넷, 다이렉트엑스, 파일관리및 백업도구,
주로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예를들면 고스톱) 같은 것들을 설치하신 후,
스냅샷을 만드시거나, 시스템상태를 고정하시면 될 것 입니다.

포터블 소프트웨어의 경우,
VMWare ThinApp나 XeneCode등으로 만들어 진것은…
레지스트리나 하드디스크에 찌꺼기를 만들 소지가 상당히 높습니다.
PortableApps.com 플랫폼을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또 이렇게 구성하신다면… Portable USB환경 구축시…
Porable Virtualbox 와 가상머신 디스크이미지
그리고 포터블 소프트웨어들의 복사본만 있으면 되니…
포터블환경의 적용이 편할 뿐더러, 업데이트도 용이합니다.
이경우 포터블 알약, Grub4dos, Win7PE, Hiren’s BootCD, 우분투ISO이미지와 윈도우즈설치ISO 등을 같이 넣어두시는면…
부팅,설치,백업,복구,시험사용, 포터블환경등을 모두 만족하실 수 있을 것 이지만,
용량이 문제이기 때문에… 적절히 구성하시면 될 듯 합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적인 설명까지 감사드립니다. 차근차근 고민해가며 시도,시행착오를 해야할것같군요.
궁금한 것들을 많이 말씀해주셔서 대단히 도움될것같습니다.

근데 윈7과 우분투로 구성할때 64보다는 32비트로 구성하는 윈7이 좋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렇다면 우분투 역시 32비트로 해야겠고요…(우분투도 32,와 64 2종류가 있었던것같은데…)

만약 32비트로 한다면… 들리는 소리로는 64비트로 돌려야 속도의 체감을 느낀다고 하던데… 윈7(32비트)라고 한다면 속도는 포기하고 안정을 택한것이라고 봐야겠죠?

xp와 같은 32비트라고 하더라도 윈7이 속도향상이 있는것일까요?
그렇다면…차후 윈7을 익숙해지는 훈련차원에 윈7을 선택하는 것으로만 위안을 삼아야 할런지요?
같은 32비트인데, 굳이 윈7으로 해야하는가라는 생각도 듭니다.

윈7(64비트) + 우분투(64비트) 그리고 가상으로 32비트(xp) 는 어떨까요?
제 성향은 속도의 큰차이가 없다면…전 "안정"을 택하는 편입니다만…^^ ,
더구나 오픈소스인 우분투와 같이 쓸예정이어서 , 이번 수시로 다운되는것으로 봐서도…"안정"을 더 중요시하고 싶습니다…

저도 64비트 컴퓨터인데…

우분투64비트에, 32비트 윈7을 사용 중입니다.
우분투는 소프트웨어가 어자피 우분투 레포지터리나 데비안 레포지터리 안에 대부분 존재하기 때문에…
64비트를 추천합니다. 속도가 더 빠르자나요

윈도우즈를 보조로 사용한다면…
아무래도 속도가 크게 중요하진 않겠지요. 그러니까 속도보다는 안정성과 범용성을 선택하는 것이 낫지 않겠어요?

네, 그럼 저도 64우분투에 32윈7으로 하고 버추얼로 xp를 하는것이 가장 합리적일것 같네요…
애초의 질문이 64우분투와 32윈7 이 꼬일것같지 않는가라는 질문이였는데…

님께서 말씀하진 않았지만 운영체제가 근본이 다르면 64이던 32이던 크게 문제가 되진 않는다라는 법칙이있는것 같군요… 하지만 같은 패밀리이 윈7과 xp의 경우는 64와 32를 섞으면 레지스트리등의 문제,그리고 프로세스등록등등의 문제로 인해 섞지 않는게 좋다는 취지는 언급하셨고…

알겟습니다. 그렇다면 우분투는 64비트로 속도와 새로운 새계를 경험해보고…윈7과, xp는 아듀를 위한 뒷정리겸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음 그래도 마소의 힘이 있는데,아듀는 너무 성급한것인가? ㅎㅎㅎ

감사합니다…

[quote="thornbird":3oo49gg8]가끔 잘나가다가…(11.04)를 사용중입니다만, 잘나가다가…어떤 꽁한 맘이 생겼는지…
우분투가 먹통이 되더이다…

몇십년전,윈도우 껏다키는 아픈과거를 생각나게 하며,요즘 새로산 노트북을 수시로 파워오프,온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특정 프로세스죽이는방법, 혹은 부드럽게 재부팅하는 방법좀 가르쳐주세요…

cntl+alt+ f1~2를 눌러서 로그인한뒤 다시 cntl+alt+del 해서 재부팅하는데…방법이 맞나요? light어쩌고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 최선의 방법순으로 부탁드립니다.
그런데…다른분들도…이렇게 우분투가 다운이 자주되시나요?
[/quote:3oo49gg8]
우분투나 데비안도 먹통이 될 때가 꽤 있습니다.
어떤 사이트만 들어가면 먹통이 될 때가 있고, 또 다른 어떤 이유로도 심심찮게 먹통이 되더군요.
참고하세요. 이 방법을 생각보다 자주 이용하게 되네요.
좀 사용하셨던 분들은 다 아시는 내용이겠죠.
[url=http://jeongsw.tistory.com/178:3oo49gg8]리눅스 시스템이 멈췄을 때 안전하게 재시작하는 방법[/url:3oo49gg8]

[quote="thornbird":28l6itmo]가끔 잘나가다가…(11.04)를 사용중입니다만, 잘나가다가…어떤 꽁한 맘이 생겼는지…
우분투가 먹통이 되더이다…

몇십년전,윈도우 껏다키는 아픈과거를 생각나게 하며,요즘 새로산 노트북을 수시로 파워오프,온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특정 프로세스죽이는방법, 혹은 부드럽게 재부팅하는 방법좀 가르쳐주세요…

cntl+alt+ f1~2를 눌러서 로그인한뒤 다시 cntl+alt+del 해서 재부팅하는데…방법이 맞나요? light어쩌고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 최선의 방법순으로 부탁드립니다.
그런데…다른분들도…이렇게 우분투가 다운이 자주되시나요?[/quote:28l6itmo]
자주 먹통이 될 정도면 드라이버, 보통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문제일 때가 많습니다.

시스템 자체가 죽은게 아니고 윈도우 환경만 먹통이 된 것 같다면 콘솔(Ctrl+Alt+F1) 창에서 ‘sudo restart lightdm’ 하시면 그래픽 환경이 종료후 다시 시작 됩니다.

[quote:28l6itmo]두번째 질문…
이제, 우분투를 메인운영체제로 써볼까하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 멀티부팅으로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xp(32비트) , 윈도7(64비트) , 그리고 메인으로 우분투(64비트) 이렇게 하려고 하는데…괜찮을까요? 32,64비트 섞어놔도…?
[/quote:28l6itmo]
어차피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개념이라 32/64 섞어도 상관 없습니다. 문제는 XP와 7을 함께 깔기가 좀 까다롭지 않을까 하는데요. 다음 글을 보니 XP 설치 후 7을 깔면 7이 알아서 해주나 보군요. 설치시에 업그레이드가 아니고 별도 설치를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XP -> 7 -> Ubuntu 이런 순서로 설치 하시면 됩니다.

http://superuser.com/questions/41595/ho ... -boot-syst

하지만 XP가 게임용이 아니라 특정 소프트웨어 작업을 위한 거라면 7이나 우분투 안에 가상머신에 설치 하셔도 무난 하겠습니다. XP에서만 되고 7에서는 안되는 작업이 이제는 아마 거의 없어졌을 겁니다.

64나 32냐의 선택은 저도 많이 고민 했었던 부분입니다. 조금이나마 빠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없을 수가 없지요. : ) 하지만 64비트 버전 깔아서 호환성 문제나 기타 문제가 생긴 적은 있어도 속도 향상으로 인한 이득은 '없었다’고 말씀드려야 겠네요.

안정적인 것을 원하신다면 32비트 버전 설치 하는 걸 추천 합니다. 64비트 환경이 확실히 도움이 되는 특수 분야가 있다고는 하나 일반적인 데스크탑 소프트웨어 사용에서는 미미한 차이라는게 중론 입니다.

그리고 32/64 섞어서 설치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없습니다. 일단 한 운영체제로 부팅하고 나면 나머지 운영체제들은 그저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부일 뿐입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모든분께 감사합니다.

우분투는 드라이버가 대부분 내장되어있고…
소프트웨어 또한 공개 저장소에 대부분들어 있으니…
포터블화 할 수 있지만…

윈도우즈의 경우는 레지스트리 문제와 어플리케이션 및 운영체제의 배타성으로 인하여…
포터블화 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가상머신이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동작하게 하여 포터블하게 구현하는데…
문제는 64비트 운영체제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가상화를 지원해야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32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하면… USB용량이 크다면…
윈도우즈7 환경도 포터블하게 구현할 수 있을것입니다… (물론 게임등은 잘 안되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