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배포판 중 데비안 계열을 차례로 설치 할계획입니다.
이유는 각각 패키지을 역할이 뭔지 명확하게 알아 가면서 공부하려고 해서 입니다.
커널-배시쉘-xwindow- 윈도 매니저-파일 매니저- 시냅틱 관리자- 기타 유틸
이렇게 맞습니까???
혹시 빠진게 있으면 알려 주세요~
초보라서 공부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아무리 찾아 봐도 없습니다.
리눅스 배포판 중 데비안 계열을 차례로 설치 할계획입니다.
이유는 각각 패키지을 역할이 뭔지 명확하게 알아 가면서 공부하려고 해서 입니다.
커널-배시쉘-xwindow- 윈도 매니저-파일 매니저- 시냅틱 관리자- 기타 유틸
이렇게 맞습니까???
혹시 빠진게 있으면 알려 주세요~
초보라서 공부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아무리 찾아 봐도 없습니다.
젠투 설치 하시면 됩니다~ 커널부터 모조리 하나 하나 컴파일 해가면서 몇일에 걸쳐서 x-window까지 설치하는건데
요즘은 젠투도 설치가 꽤 편해졌을겁니다. 그래도 젠투쪽 가보면 좀더 디테일하게 공부하실수 있을거예요
젠투보다는 슬랙웨어가 낫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안한지 꽤 되서 지금은 모르겠지만, 당시 인스톨 과정중 아주 기본적인 패키지부터 시작해서 인스톨하면서 하나하나마다 어떤 역할을 하고 기타등등 설명이 죽 나왔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게다가 유닉스 표준적인 툴을 주로 사용하기때문에 좀 원시적이라 느낄수는 있지만 여기서 배운 지식은 다른 리눅스 및 유닉스 배포판들에 보통 다 적용이 되기때문에 배우려는 목적으로는 좋은것같고요. 젠투를 포함하여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은 특유의 색이 비교적 강하기때문에 다른 리눅스에는 적용되지 않는 팁이나 트릭등을 많이 배워야 하는 경우가 많죠. 좀 하드코어하겠지만 위에서 얘기가 나온 LFS 로 시작하는것도 괜찮을듯 하고요.
무엇을 알려고 아십니까?
저도 슬랙웨어 시절 부터 써봤지만…
커널개발자가 아니면 커널을 알기는 힘들고…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아니면 관련 소프트웨어를 알기 힘듭니다.(비록 커널개발자라 하더라도)
그만큼 요즘의 사회도 복잡해지고 정보도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많습니다.
감히 말씀들자면…
선을 명확하게 하세요.
알고 싶은 것만 알기에도 쉽지 않습니다.
커널 컴파일 100번해도 커널을 알기는 쉽지않습니다. (오히려 gcc를 더 잘 알게 되겠죠)
제가 추천 드리는 것은 커널 보다는 initramfs부터 시작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커널은 쉘을 위한 레벨이고.
쉘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레벨입니다.
[quote:wl397hf3]커널-배시쉘-xwindow- 윈도 매니저-파일 매니저- 시냅틱 관리자- 기타 유틸[/quote:wl397hf3]
저도 확실 하게 말씀드릴 순 없지만…
Hardware
RomBIOS
운영체제(커널포함)
펌웨어및 드라이버
쉘
어플리케이션(XWindow포함-윈도우즈계열이 커널에 GUI를 내장하였다고 하지만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커널에 GUI아니면 접근하지 못하게 막았을 뿐이라고…)
어플리케이션 레벨에…
설치업데트 프로그램및 윈도매니져 기타유틸이 있지만…
어떤게 먼저 호출되냐의 차이만 있을뿐…
같은 레벨이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