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가독성을 위해 세리프 글꼴 (명조체)를 선호하는데…
화면에 작은크기의 명조체가 깔끔하게 나오는 글꼴이 드물군요.
ui (ubuntu와 ubuntu light글꼴을 바꿔치기했습니다)
Myriad + NT-산돌고딕N
sans-serif
Dejavu Serif + 렉시새봄
serif
Garamond + 나눔명조
monospace
Droid Sans Mono Dotted + 나눔고딕코딩
첨부한… 글꼴 출력 웹페이지의 결과 입니다.
[attachment=0:3uqt0t7p]내글꼴.png[/attachment:3uqt0t7p]
** ubuntu글꼴을 ui 글꼴로 바꾸는 fontconfig **[code:3uqt0t7p]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compare="eq">
<string>Ubuntu</string>
<string>Ubuntu Light</string>
</test>
<test target="font" qual="any" name="lang" compare="contains">
<string>en</string>
<string>ko</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assign" binding="strong">
<string>ui</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compare="eq">
<string>ui</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Myriad</string>
<string>Verdana</string>
<string>Dejavu Sans</string>
<string>Tahoma</string>
<string>NT-산돌고딕N</string>
<string>LexiSaebomR</string>
<string>NanumGothic</string>
<string>Droid Sans</string>
</edit>
</match>[/code:3uqt0t7p]
KoPub 글꼴 괜찮은것 같습니다.
무료로 배포하는거라서 라이센스 문제도 없고…
전자책용으로 만들어진거라 깔끔하네요…^^
http://www.kopus.org/bus/b81.asp
Bitstream Vera Sans Mono 씁니다.
여태까지 써본 폰트 중 가독성이 가장 뛰어납니다.
sans-serif
Lucida Sans + 렉시새봄(굵은 글꼴은 나눔고딕)
serif
Gentium + 렉시새봄(굵은 글꼴은 나눔고딕)
monospace
Monaco + 나눔고딕코딩
sans-serif 글꼴은 Ubuntu 글꼴도 좋더군요.
serif는 Georgia도 상당히 볼 만 합니다.
monospace는 Droid Sans Mono Slashed도 깔끔합니다. 근데 굵은 글꼴이 따로 없어서 아쉽네요.
모노스페이스글꼴로는 역시 Droid Sans Mono가 깔끔해 보입니다.
Droid Sans Mono의 문제점은 0과 O를 구별하기 힘든데…
Droid Sans Mono Slashed와 Droid Sans Mono Dotted가 이것을 해결해주죠…
전 Slashed보다 Dotted를 씁니다… (Slashed는 왠지 딱딱해보여서…)
명조체로 KoPub글꼴도 좋군요.
그런데… 이글꼴군에는 KoPubBatang Light와 KoPubBatangMedium,KoPubBatang Bold가
있는데… Light글꼴을 굵기에 따라 Medium글꼴로 바꿔주었는데…
글꼴의 패밀리 자체가 Light, Medium등으로 나눠져 있을때…
어떤 글꼴이던 간에 굵기에 따라 Medium이나 Bold로 자동 매칭시켜 줄 수 있을까요?
서브스트링이 없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Bitstream vera sans mono가 개량된 Deja vu sans mono 쓰고 있고… 가끔 모니터따라 Droid sans mono도 씁니다. 작은 화면에 폰트 많이 넣고 싶으면 Inconsolata도 괜찮습니다. Consolata 폰트 대용이라고 그러네요.
고정폭 폰트는 여기 보면 정리 잘 되어 있습니다… Anonymous Pro 폰트도 괜찮네요.
http://hivelogic.com/articles/top-10-programming-fonts/
Zero
4월 18, 2012, 5:16오전
8
전 Unifont 씁니다 . 이게 가장 저한테 잘맞는거 같아요 -_-ㅋ
axlow
4월 18, 2012, 6:34오전
9
저는 서울한강체 + 나눔고딕코딩으로 사용중입니다
저는 설치하면 나오는 기본 폰트 씁니다. ㅋㅋㅋ
무슨 폰트를 쓰는지 몰라요.
다만 터미널의 경우는 나눔고딕코딩으로 바꿔놓고 사용합니다.
머 아무글꼴이나 써도 상관없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디자인이 편리성을 제공하듯
글꼴도 가독성 및 눈의피로도,작업할때 주의환기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글꼴을 사용할 때 작업의 능률이 오르고,
이것도 보이지 않지만 성능에 관계된 문제라고 보입니다.
그런의미에서 나눔글꼴과 KoPub글꼴, 렉시새봄등
쓸만한 글꼴들을 무료 배포해주신 분들께 정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user197
(마잇)
4월 21, 2012, 11:33오후
13
[quote="protochaos":1cu4wzeb]모노스페이스글꼴로는 역시 Droid Sans Mono가 깔끔해 보입니다.
Droid Sans Mono의 문제점은 0과 O를 구별하기 힘든데…
Droid Sans Mono Slashed와 Droid Sans Mono Dotted가 이것을 해결해주죠…
전 Slashed보다 Dotted를 씁니다… (Slashed는 왠지 딱딱해보여서…)
명조체로 KoPub글꼴도 좋군요.
그런데… 이글꼴군에는 KoPubBatang Light와 KoPubBatangMedium,KoPubBatang Bold가
있는데… Light글꼴을 굵기에 따라 Medium글꼴로 바꿔주었는데…
글꼴의 패밀리 자체가 Light, Medium등으로 나눠져 있을때…
어떤 글꼴이던 간에 굵기에 따라 Medium이나 Bold로 자동 매칭시켜 줄 수 있을까요?
서브스트링이 없는데… 방법이 있을까요?[/quote:1cu4wzeb]
저도 지금 KoPub 글꼴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품질이 상당히 좋네요.
말씀하신 문제를 해결한 설정 파일을 올려 봅니다.
~/.fonts.conf 파일에 추가하시거나 ~/.fonts.conf.d/00-kopub.conf 이런 식으로 저장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fc-cache -f 명령을 해줘야 적용되네요.
https://gist.github.com/2440239
serif : ubuntu + 나눔명조
sans-serif : ubuntu + 나눔고딕
monospace : Fixedsys + 나눔고딕코딩
그리고 터미널(urxvt/xterm)엔 terminus 로 사용합니다. 모노스페이스(우분투 모노) 를 제외하면 우분투 폰트가 대체적으로 가독성 괜찮은것같네요. 한글은 딱히 이거다 하는 폰트가 아직 없어서 그냥 나눔으로 통일해서 사용합니다.(만약 한글도 풀어쓰기를 했다면 만들어야 할 글꼴이 알파벳 대소문자 갯수보다도 적을테니 직접 만들어 썼을것같습니다. ㅎㅎ)
전 렉시 굴림을 사용합니다.
저한테는 이게 제일 깔끔한것 같아요.
다른 분들께도 렉시굴림으로 셋팅한 우분투를 보여드리니 나눔글꼴 보다 이쪽을 더 좋아하시더군요.
어디까지나 취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