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를 새로 설치하는 김에 우분투도 설치했습니다
C 드라이브 : NTFS 윈도 시스템 파티션
D 드라이브 : 우분투 파티션
E 드라이브 : NTFS , 데이터 파티션
인데요. 윈도를 먼저 설치한 후, D 드라이브에 해당되는 부분은 다시 파티션을 해서
/ 루트 파티션 8기가
스왑 파티션 1기가
/home 파티션 6기가 로 하였습니다
거기까지는 문제가 없었고요. 우분투도 잘 설치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요…
우분투에서 윈도의 C드라이브와 E 드라이브에 해당되는 데이터내용 부분은 잘 인식이 되는데요
윈도 내에서는 우분투의 영역에 속하는 D 드라이브를 전혀 인식하지 못합니다
윈도 탐색기에서 보면, 내 컴퓨터에서… C드라이브와 E 드라이브만 뜨게 되네요
윈도에서는 우분투의 영역인 D 드라이브에 해당되는 영역을 들어갈수 없다는 건 알고 있습니다
(이미 wubi를 통해서 우분투를 맛보아었거든요… ) 하지만
우분투의 영역인 D 드라이브를 들어갈수 없다고 해서, 인식까지 안되는 것인가… 궁금하더군요
즉, 파티션을 나누어 윈도와 우분투를 설치했을 때,
원래 윈도에서는 우분투의 영역을(탐색기나, 내컴퓨터 같은 데에서) 아예 인식을 못하는 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윈도와 우분투를 같이 설치해서 멀티 부팅이 되고 있습니다
헌데,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할때에는 윈도 / 우분투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부팅하게 되어있고요. 15초가 지나면 윈도로 자동으로 부팅되었습니다
헌데, 윈도 설치후 직접 우분투를 설치하니 부팅화면이 약간 다르더군요 (멀티 부팅은 되지만)
여러개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제가 잠깐 기억하던 것으로는…
우분투 9.24.24.24 (← 커널 번호인듯 싶습니다. 설치한 우분투는 8.04버전입니다)
우분투 9.24.24.24(세이프 모드)
우분투 9.21.21.21
우분투 9.21.21.21(세이프 모드)
다른 OS
윈도 XP
컴터를 부팅하니 이렇게 여섯개 정도의 멀티 부팅화면이 뜨더군요
10초가 지나면 가장 위에 있는 우분투의 커널 번호로 자동으로 부팅이 됩니다.
여기에서 제가 궁금한 것은요
2-1. 원래 윈도와 우분투를 파티션하여 설치할때 wubi와는 달리 이렇게 부팅화면이 뜨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2. 우분투의 다른 커널(9.21.21.21 등등 같은…)을 줄이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2-3. 10초가 지났을 때 우분투가 아닌 윈도가 자동 부팅 되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우분투를 순조로이 설치할수 있어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C 드라이브, D 드라이브라고 칭하는 것은 100% M$윈도에서의 경우입니다. M$윈도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닌 다른 포맷의 파티션이라면 더 이상 D 드라이브 같은 것은 없습니다. 기존에 그 파티션이 D 드라이브였던 것은 M$윈도를 위한 FAT32 혹은 NTFS 형태였기 때문이고, 해당 M$윈도에서 그 파티션을 'D 드라이브’라고 칭했었기 때문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드라이브는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시죠? M$윈도에서 파티션을 구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일 뿐이고, 지금은 우분투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제 D 드라이브라는 건 없는 거죠. 우분투를 설치하셨다면 M$윈도에서 더 이상 접근하실 수 없을 뿐더러 눈으로 보실 수 없습니다. (물론 제어판>컴퓨터 관리>디스크 관리에 들어가시면 하드가 달려있다는 정도, 파티션이 나뉘어있다는 정도는 보실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실행해보시면 GRUB를 통한 부팅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부팅메뉴 관리자를 이용하셔도 상관없지만 기능이 제한적일 겁니다. 이에 대한 내용들은 검색하시면 본 포럼에도 많이 있습니다.
커널 정리는 [url:154nf2od]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10&t=2882[/url:154nf2od] 글타래를 참고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오늘 맨유 경기 보려고 정신없이 일 했는데 오후 늦게 일이 더 생겨서 야근하면서 답을 다는지라 조금 부족할 수도 있겠네요.
+2 아무래도 걸려서 글 수정합니다;;;
[color=#0000FF:154nf2od]2-1. 원래 윈도와 우분투를 파티션하여 설치할때 wubi와는 달리 이렇게 부팅화면이 뜨는 것인지 궁금합니다[/color:154nf2od]
제가 우비를 사용해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그냥’ 우분투를 설치하셨다면 /boot/grub/menu.lst 파일에서 OS를 선택하도록 하는 목록이 나옵니다. 지금 M$윈도라 정확하지는 않지만 'hiddenmenu’라고 적힌 곳 앞에 #을 지우시면 OS 선택화면은 안 나올겁니다.
[color=#0000FF:154nf2od]2-2. 우분투의 다른 커널(9.21.21.21 등등 같은…)을 줄이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color:154nf2od]
위에서 답한 글타래를 참고하세요.
[color=#0000FF:154nf2od]2-3. 10초가 지났을 때 우분투가 아닌 윈도가 자동 부팅 되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color:154nf2od]
역시 /boot/grub/menu.lst 파일을 보시면 default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 뒤에 숫자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quote="pcandme":1aat2qpi]만약 우분투가 설치된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ext3라면 Windows에서 ext3 파티션을 ‘읽을’ 수만 있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쓰기는 아마 안되는 거로 알고 있는데, 쓰기가 지원되는 게 나왔는지는 모르겠군요.[/quote:1aat2qpi]
[url=http://www.fs-driver.org/index.html:1aat2qpi]Ext2 IFS for Windows[/url:1aat2qpi]를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읽기, 쓰기 모두 다 지원됩니다. 사용해본 경험으로는 아무런 문제도 없었습니다.
[quote="pcandme":1aat2qpi]이런 데서도 비교 우위가 드러나는 군요!! [/quote:1aat2qpi]
뭐, 기본으로 되는거랑 이런걸 찾아서 깔아야 하는 거랑은 분명 엄청난 차이가 있긴 하지요 ^^
[quote="cloudb":1cxfics5]Ext2 IFS for Windows 라는… 그러면 리눅스 설치시 화일 형식을 EXT3가 아닌 EXT2로 해야하나보군요[/quote:1cxfics5]
Ext2 시절 만들어지기 시작한 물건이라 그런 이름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Ext3도 상관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