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리눅스뱅킹은 언제쯤...

처음 말나온게 2005년이었던것 같은데요… ㅠ

이제 우체국 컴퓨터에 리눅스가 설치된지도 꽤 됐는데
우체국 컴퓨터에 앉아서 우체국 인터넷뱅킹을 못한다는것도 좀 아이러니 합니다 ㅋ

윈도우 신봉자 우리나라 은행들
당장 IE8이라도 나오면 어쩔려는지

윈도우 비스타 나올때부터 느낀것이지만
은행사이트들
인터넷뱅킹을 하고싶다면 XP를 쓰라고 강요까지 하는 듯 ㅋ

리눅스는 애초에 안중에도 없구요 ㅋㅋ

은행입장에서 보안문제도 물론 중요하고 골칫거리겠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인터넷뱅킹이 점점 어려워지고만 있는 것 같습니다.

제로데이 효과(?)를 내심 기대했는데요. 생각보다 별로여서 아쉽네요.
남들은 악성코드 피해라 하든 말든…특히 IE6은 MS에서도 신경 끄고 싶을 텐데 제발 이놈 전용 악성코드 한번 퍼지고 MS에서는 단종품은 알 바 아니라며 배째고…이렇게 우리나라가 한번 쑥대밭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농담 아니고요.

좀 비약이긴 합니다만,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왜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닌지를 반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 마음에 좀 씁쓸하군요.

[quote="pcandme":3qi0zq42]좀 비약이긴 합니다만,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왜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닌지를 반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 마음에 좀 씁쓸하군요.[/quote:3qi0zq42]
제 댓글도 포함이겠죠. 뜨끔해집니다.

[quote="pcandme":idooew3b]좀 비약이긴 합니다만,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왜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닌지를 반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 마음에 좀 씁쓸하군요.[/quote:idooew3b]

비약이라고 생각되지 않는군요.

진정한 선진국이라면 다양성을 항상 추구하고 그에 대한 지원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다양성은 그 구성원들에게 편리를 제공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위기가 왔을때 모두 한번에 전멸하지 않는 기본적인 생존전략이기도 합니다. 일체화 되서 단결하는 것만이 효율성이라고 생각하는 나라는 평상시에는 강할지 모르나 위기를 극복하려면 많은 힘이 들고, 잘못된 길로 한번 들어서면 되돌리기 힘들어하기 마련입니다.

우리나라는 그런면에서는 아주아주 후진적이지요.

[quote="fusion94":3166rwg9][quote="pcandme":3166rwg9]좀 비약이긴 합니다만,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왜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닌지를 반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 마음에 좀 씁쓸하군요.[/quote:3166rwg9]
제 댓글도 포함이겠죠. 뜨끔해집니다.[/quote:3166rwg9]
어익후, 아닙니다. 제가 말하는 '이런 것들’은 Vulpes님께서 지적하셨다시피 다양성을 인정 안하는, 아니 못하는 그런 점들을 말씀드린 겁니다. :)

저도 약간 과격(?)파라 fusion94님 말씀처럼 한 번 큰일(?)이 나야 되는 거 아닌가 할 때도 있답니다. ㅎㅎㅎ.

[quote="draco":wj4tmjrr]다양성은 그 구성원들에게 편리를 제공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위기가 왔을때 모두 한번에 전멸하지 않는 기본적인 생존전략이기도 합니다. 일체화 되서 단결하는 것만이 효율성이라고 생각하는 나라는 평상시에는 강할지 모르나 위기를 극복하려면 많은 힘이 들고, 잘못된 길로 한번 들어서면 되돌리기 힘들어하기 마련입니다. [/quote:wj4tmjrr]
충분히 공감이 가는 이야기입니다. 이를테면, 폭풍 하이킥으로 상대를 한방에 KO시키는 것만 죽어라 연습했는데 최홍만이랑 만나면 니킥 맞고 실신해주는 방법 밖에 없겠죠. 8-)

  • 매달 이메일로 날아오는 카드명세서조차도 M$ 윈도 + M$ IE 듀오로만 관람할 수 있는 이 나라는 무엇인가요. 돈을 내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그나저나 어제 신한은행 인터넷뱅킹을 하려고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는데(물론 M$윈도에서죠), 맥용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로그인하려면 공인(피식)인증서가 필요한데 맥에서도 가능한 건가요? 아닌걸로 아는데;;;

+2 생각해보니… 우리나라는 폭풍 하이킥 하나만 죽어라 연마하는 중인가요? 그것도 아닌 거 같은데…;;; 입식타격 경기를 앞두고 암바만 죽어라 연습하는 듯…

[quote="pcandme":3p3youn3][quote="fusion94":3p3youn3][quote="pcandme":3p3youn3]좀 비약이긴 합니다만,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왜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닌지를 반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 마음에 좀 씁쓸하군요.[/quote:3p3youn3]
제 댓글도 포함이겠죠. 뜨끔해집니다.[/quote:3p3youn3]
어익후, 아닙니다. 제가 말하는 '이런 것들’은 Vulpes님께서 지적하셨다시피 다양성을 인정 안하는, 아니 못하는 그런 점들을 말씀드린 겁니다. :)

저도 약간 과격(?)파라 fusion94님 말씀처럼 한 번 큰일(?)이 나야 되는 거 아닌가 할 때도 있답니다. ㅎㅎㅎ.[/quote:3p3youn3]

=_=;; 역사가 꺼꾸로가는 나라에서 얼어죽을 선지국 타령임…

온나라 온국민이 윈도우 맹신을 하며 국제화시대에 뒤처저 아이티강국이라는 위상이 끝없는 바닦으로 내려깔린다해도 우리는 조국과민족의 무궁한 영광과 발전을 위해서 인터넷세상의 자주성과 다양성을 이루기위해 열심히 노력해 봅시다…언젠간 좋은세상오겠죠…

[quote="deadsky":2byq1zvy]=_=;; 역사가 꺼꾸로가는 나라에서 얼어죽을 선지국 타령임…[/quote:2byq1zvy]
그럼요, 이런 선지국보다 못한!

ㅎㅎ. 농담이고요. deadsky님도 강분도 오타 바이러스에 감염이?? ^^;;

아무튼 선진국 타령은 10년도 더 된 것 같은데, 어째 제자리 걸음도 아니고 후퇴를 하고 있는 걸까요, 이 나라는…;;

[quote="pcandme":57d13wc7]아무튼 선진국 타령은 10년도 더 된 것 같은데, 어째 제자리 걸음도 아니고 후퇴를 하고 있는 걸까요, 이 나라는…;;[/quote:57d13wc7]
그래도 우리나라는 IT 아니 IE강국이잖아요!

[quote="coreanlibero":f3erydc0]그래도 우리나라는 IT 아니 IE강국이잖아요![/quote:f3erydc0]
IE 강국. ㅋㅋㅋㅋㅋㅋ.

이거 원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MS의 로비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저는 우리나라의 웹환경을 보면 절실히 느끼게 됩니다.

커미션을 받은 윗분들과 복지부동 자세로 편한함을 추구하는 아랫분들이 환상적으로 조합되어
현재의 상황을 전혀 변화시키려 하고 있지 않지요…
("편한게 좋은거야…", "IE쓰면 되는데… MS오피스나 한글쓰면 되는데… 왜 바뀌…", "세계화가 무슨 필요가 있어… 내가 지금 편하면 되지…")

뭐, 대충 이런 생각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MS윈도+IE 이외에는 다른 OS+Browser가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거나…)

언제쯤 우리나라가 우물 안 개구리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지금까지 반평생을 우물 안 개구리로 살다가 이제야 내가 그동안 얼마나 어리석게 살아는지 깨닫고 있는 30대 중반 아저씨의 하소연 이었습니다.

일단 IE ActiveX로 떡칠된 환경은 우리나라가 99년 부터 인터넷 뱅킹 초기개발 당시 외국에 비해 빨랐기 때문에 참조할 reference가 없어서 그런 거 같기도 한데요…

문제는 현재는 컴퓨팅 환경이 많이 다변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및 금융기관에서 노력을 안하는 거 같아서 씁쓸하네요… 미국에서 부터 리눅스만 쓰다가 이제 맥을 쓰려고 하는데… 당췌 한국 인터넷 뱅킹을 쓰기 위해 꼭 가상머쉰을 띄어야 하는 이 불편함… (그렇다고 ActiveX 떡칠된 환경이 안전하기는 커녕 더 불안하던데… -_-;:wink:

[quote="tokki2cut":85153u0e]일단 IE ActiveX로 떡칠된 환경은 우리나라가 99년 부터 인터넷 뱅킹 초기개발 당시 외국에 비해 빨랐기 때문에 참조할 reference가 없어서 그런 거 같기도 한데요… [/quote:85153u0e]

역사적으로 따지자면 당시 128비트 암호화 기술이 미국의 수출 금지품목이었습니다. 그 기능을 브라우저에 억지로 구겨 넣으려고 하다가 ActiveX로 눈을 돌린거죠.

http://www.rootbox.co.kr/tt/438

를 한번 읽어 보세요.

요약하자면… 결국 소수에 대해 관심없고 "일단 무조건 빨리빨리"만들고 보자는 한국사회 전반적인 문제점이 원흉입니다. 수출금지품목이었다는 제한도 불과 1년만에 풀렸고, 자체 개발한 표준도 그 자체로는 activeX랑 상관없으니까요. 조금만 시간을 두고 확실하게 개발하려는 마인드만 있었어도 지금 이 상황이 되진 않았곘죠. 하기사… 다리가 내려앉고 백화점이 무너지며 지하철이 폭발하는데 컴퓨터 환경이라고 멀쩡하겠습니까.

[quote="하노스":uh7pc7ui]MS의 로비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저는 우리나라의 웹환경을 보면 절실히 느끼게 됩니다.[/quote:uh7pc7ui]
M$가 '너네 ActiveX 계속 써!'라고 우리나라에 로비(?)를 하는 것인지, 우리나라가 '우리 ActiveX 계속 쓰게 해줘!'라고 M$에 구걸(!)하는 것인지…

우체국에서는 고객 사용 PC가 리눅스인데도 우체국 인터넷뱅킹은 리눅스에서는 안 돼죠.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http://www.epostbank.go.kr/) 진입도 안 되구요.

[quote="ulepoz":33ypqylk]우체국에서는 고객 사용 PC가 리눅스인데도 우체국 인터넷뱅킹은 리눅스에서는 안 돼죠.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http://www.epostbank.go.kr/) 진입도 안 되구요.[/quote:33ypqylk]

우체국은 따지고 보면 준 공영 은행이 아닌가요?
공적 성격을 크게 갖는 금융(?) 기관인 우체국 조차도… 이런 걸 보면
IT 정책을 담당하는 상층의 사람들이 얼마나 몰인식한지 알수 있다 생각합니다

정말 큰일이 한번 생기고 나야 바뀔지도 모르겠네욧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사고… 그렇게 사고가 나야 건축물에 대한 안전규제가 더 강화되었듯 말이죠.

무슨 일이 터진 다음에야 허둥댈 것 같네요.

[quote="cloudb":jcjzq4rf][quote="ulepoz":jcjzq4rf]우체국에서는 고객 사용 PC가 리눅스인데도 우체국 인터넷뱅킹은 리눅스에서는 안 돼죠.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http://www.epostbank.go.kr/) 진입도 안 되구요.[/quote:jcjzq4rf]

우체국은 따지고 보면 준 공영 은행이 아닌가요?
공적 성격을 크게 갖는 금융(?) 기관인 우체국 조차도… 이런 걸 보면
IT 정책을 담당하는 상층의 사람들이 얼마나 몰인식한지 알수 있다 생각합니다

정말 큰일이 한번 생기고 나야 바뀔지도 모르겠네욧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사고… 그렇게 사고가 나야 건축물에 대한 안전규제가 더 강화되었듯 말이죠.

무슨 일이 터진 다음에야 허둥댈 것 같네요.[/quote:jcjzq4rf]
냉동 창고 화재가 나고서 몇달만에 다시 똑같은 사고가 난 걸 보면 그다지 변할 것 같지는 않네요.

좀 딴이야기를 하자면…

[quote="cloudb":3195u8rd]
우체국은 따지고 보면 준 공영 은행이 아닌가요? [/quote:3195u8rd]

우체’국’이죠. 회사가 아닌 기관명입니다.
그러니까, 정확히는 "국영은행"입니다.

2MB가 재벌들에게 은행할 권리를 주고 싶어 안달인데…
우체국의 기능을 팔아먹으려고 궁리중이라는 소문도 있더군요.
이름하여 "경영 선진화"

[quote="draco":2rfc95vz]좀 딴이야기를 하자면…
우체’국’이죠. 회사가 아닌 기관명입니다.
그러니까, 정확히는 "국영은행"입니다.

2MB가 재벌들에게 은행할 권리를 주고 싶어 안달인데…
우체국의 기능을 팔아먹으려고 궁리중이라는 소문도 있더군요.
이름하여 "경영 선진화"[/quote:2rfc95vz]

음, 그렇다면
일본과 똑같은 수순을 밟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고이즈미가 했던 '우정 민영화’가 몇년전 일본에서 큰 논란이 된걸로 알고 있는데요…

아무튼, 원치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