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기본 제공하는 jfbterm 은 배경그림을 지원하지 않고, 여러가지로 불편해서 전 따로
libhangul-0.0.3 과 jfbterm-0.4.7-uxp-0.2.0 을 구해서 컴파일 해서 쓰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콘솔에서 한글 입출력과 배경그림을 이용하고 있는데, 저처럼 쓰시려면 일단
우분투에 설치된 jfbterm 을 시냅틱꾸러미 관리자로 [완전히 제거]로 지워주세요.
그 후 시냅틱꾸러미 관리자로 검색해서 build-essential, pkg-config, libpng12-dev 을 설치해 줍니다.
좀 더 편리한 콘솔을 위해서 linm(파일관리브라우저), zgv(그림보기), cmus(음악감상), mplayer (동영상)을 추가 설치할 것을 추천합니다.
이제 제이에프비텀-유엑스를 컴파일 설치해야 하는데, 아래 상황을 잘 따라서 주의깊게 해야 합니다.
특히 처음 컴파일 할 때 [b:3o7b8ihg]./configure[/b:3o7b8ihg] 다음의 옵션이 가장 중요합니다.
1. libhangul-0.0.3 컴파일 설치 하기
1-1 다운받은 libhangul-0.0.3.tar.gz 를 압축 푼 후에 그 폴더로 들어가서 터미널을 엽니다.
(터미널에서 tar zxvf libhangul-0.0.3.tar.gz 하신 후에 cd libhangul-0.0.3 하셔도 됩니다.)
1-2 ### 컴파일 사전 준비단계로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
[code:3o7b8ihg]
./configure --prefix=/usr
[/code:3o7b8ihg]
1-3. make
1-4. sudo make install
(진짜로 설치한단 명령입니다. 제거하려면 압축풀린 그 폴더에서 sudo make uninstall 하면 됩니다.)
2. jfbterm-0.4.7-uxp-0.2.0 컴파일 설치 하기
2-1. tar zxvf jfbterm-0.4.7-uxp-0.2.0.tar.gz
2-2. cd jfbterm-0.4.7-uxp-0.2.0
(위의 두 단계는 터미널에서 제이에프비텀파일의 압축을 풀고 그 폴더로 이동한다는 뜻입니다.)
2-3. ### 컴파일 사전 준비 단계로 이 부분이 가장 중요 합니다. ###
[code:3o7b8ihg]
./configure --prefix=/usr --sysconfdir=/etc --enable-direct-color --disable-vga16fb --disable-beep
[/code:3o7b8ihg]
저 같은 경우는 jfbterm 에서 비프음을 듣고 싶지 않아서 이렇게 설정했습니다.
2-4.make
2-5.sudo make install ( 제거는 역시 그 압축풀린 폴더에서 sudo make uninstall )
설치가 끝난 후에 설정파일을 약간 고쳐줘야 할 경우가 있는데,
그게 힘들면 제가 제 설정파일을 첨부할 테니 그걸 덮어 쓰세요.
제 jfbterm-uxp 용 설정 파일, libhangul-0.0.3, jfbterm-uxp 용 추가글꼴을 첨부합니다.
jfbterm-uxp 는 용량초과라서 첨부 못했습니다.
제 설정파일을 압축 푼 뒤에 열어보면 중간에
1) Image path
splash.image: /media/DATA/pds/icons/junjihyun_124.png
라는 부분이 보일 겁니다.
이 부분에서 그림의 위치만 자기 상황에 맞게 고쳐주면 배경그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png,bmp)
그림 경로를 수정해줬다면 sudo cp my_jfbterm.conf /etc/jfbterm.conf 로 덮어 쓰세요.
추가로 jfbterm-uxp 용 글꼴을 다운받아서 쓰고 있다면 아래 부분을 찾아서
사용하는 글꼴을 바꿔 줄 수도 있습니다.
#기본폰트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unifont.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aply_apple.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aply_dgm.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e8_ih12.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yagi_uni.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mu_apple.pcf.gz
+fontset: vt100-graphics,pcf,L,/usr/share/fonts/jfbterm/vt100-graphics.pcf.gz
다운받은 이야기 유니폰트 (한글 + 영어)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eng_ihangul.pcf.gz
다운받은 이야기 영어폰트와 한글폰트 (euckr)
#+fontset: iso646-1973irv,pcf,L,/usr/share/fonts/jfbterm/ieng.pcf.gz
#+fontset: ksc5601-1987,pcf,L,/usr/share/fonts/ihan_ksc.pcf.gz
ps.
콘솔에서 한글과 배경그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jfbterm-uxp를 컴파일 설치하기 전에 libpng와 libhangul 이 pkg-config 의 목록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즉, 터미널에서 pkg-config --list-all 했을 때 libpng 와 libhangul 이 보여야 한다는 거죠. 터미널의 스크롤바로 위아래로 움직이며 확인할 수 있습니다.
[b:3o7b8ihg]하지만 [/b:3o7b8ihg] 미리 pkg-config, libpng12-dev을 시냅틱으로 설치했고, libhangul 을 컴파일 설치했다면, 필요없는 작업입니다.
ps2.
이럴 일은 거의 없겠지만 로케일 설정이 달라서 한글이 깨질 경우
jfbterm 실행후 콘솔에서 export LC_ALL=ko_kr.utf8 을 해보세요.
콘솔로그인시 자동으로 jfbterm이 시작되게 하려면 /etc/profile 또는 ~/.profile 에
tty_tmp=tty | sed -e "s/\/dev\/\([ty]*\).*/\1/"
if [ "$tty_tmp" = "tty" ]; then
exec jfbterm
fi
라고 더해 줍니다.
ps3.
콘솔의 해상도를 변경할 때 vga=791 로 하면 16비트 1024x768 로 바꿀 수 있습니다. 792는 24 비트이고요.
부팅시의 우분투 로고 스플래시를 끄려면 ro quiet splash 부분도 지워 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