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솔 설정질문 (프레임버퍼, 한글깨짐 현상)

콘솔의 해상도가 640480인지… 800600인지 아무튼 최저해상도로 되어 있습니다… 한글도 다 깨져서 나오구요…;;

여기저기 검색하던중 "프레임버퍼" 를 이용해서 해상도를 높일수 있고

jfbterm을 이용하면 한글깨짐도 해결할수 있다는 말도 들었습니다.

그런데… 부끄럽게도 완전 초보인지라;; 프레임버퍼를 어떻게 하라는건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sudo vi /boot/grub/menu.lst 에서

defoptions 를 찾아서 vga=0x315 로 바꾸라고 하시는데…

이렇게 바꿔도 전혀 달라지지 않습니다…@_@;;

해상도 변경은…
부팅메뉴 관리자를 이용해보세요. 패키지명은 startupmanager 입니다.
설치후에 시스템 -> 관리 -> 부팅메뉴 관리자 에서 변경가능합니다.


직접 수정하길 원하신다면 menu.lst 파일을 연후에 마지막 페이지를 보면…
아래와 비슷한 내용이 있을겁니다.

[code:118x7dtm]title Ubuntu 8.04, kernel 2.6.24-17-generic
root (hd0,2)
kernel /vmlinuz-2.6.24-17-generic root=UUID=@#$@#%@#% ro quiet splash
initrd /initrd.img-2.6.24-17-generic
quiet[/code:118x7dtm]

여기서 kernel 라인 끝에 "vga=숫자" 형식으로 추가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원하시는 800x600 24bit의 vga 모드값은 0x315 이니까 끝에 vga=0x315 를 추가하면 됩니다.
수정하면 이렇게 되겠네요.

[code:118x7dtm]title Ubuntu 8.04, kernel 2.6.24-17-generic
root (hd0,2)
kernel /vmlinuz-2.6.24-17-generic root=UUID=@#$@#%@#% ro quiet splash vga=0x315
initrd /initrd.img-2.6.24-17-generic
quiet[/code:118x7dtm]

gweere 님 말대로 하니까 바로 적용이 되네요…헐;;

맙소사…ㅠ_ㅠ;; 지금까지 난 뭘한거지…ㅎㅎ;;;

감사합니다…ㅠ_ㅠ!!/ 이제 한글만 해결하면… 으흐흐~_~!!

현재 프레임버퍼는 정상적으로 설정했습니다.

jfbterm 을 시냅틱꾸러미를 통해서 0.4.7-71 버전을 설치했구요

콘솔에서 jfbterm 이라고 입력하니까 실행이 되는데요.

한가지 더 문제가 생겼습니다;;

한글폴더가 한자로 보이구요…=_ㅠ;;

exit 로 빠저나오려고 하면 멈춰버리네요;;

그 상태에서는 x윈도우나 다른 tty 로도 안가지고;;

그냥 할수없이 강제리셋 시켜야 하구요;; 이런 현상 격으시거나 해결하신분 없으신가요…@_@?;;

우분투에서 기본 제공하는 jfbterm 은 배경그림을 지원하지 않고, 여러가지로 불편해서 전 따로
libhangul-0.0.3 과 jfbterm-0.4.7-uxp-0.2.0 을 구해서 컴파일 해서 쓰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콘솔에서 한글 입출력과 배경그림을 이용하고 있는데, 저처럼 쓰시려면 일단
우분투에 설치된 jfbterm 을 시냅틱꾸러미 관리자로 [완전히 제거]로 지워주세요.

그 후 시냅틱꾸러미 관리자로 검색해서 build-essential, pkg-config, libpng12-dev 을 설치해 줍니다.
좀 더 편리한 콘솔을 위해서 linm(파일관리브라우저), zgv(그림보기), cmus(음악감상), mplayer (동영상)을 추가 설치할 것을 추천합니다.

이제 제이에프비텀-유엑스를 컴파일 설치해야 하는데, 아래 상황을 잘 따라서 주의깊게 해야 합니다.
특히 처음 컴파일 할 때 [b:3o7b8ihg]./configure[/b:3o7b8ihg] 다음의 옵션이 가장 중요합니다.

1. libhangul-0.0.3 컴파일 설치 하기


1-1 다운받은 libhangul-0.0.3.tar.gz 를 압축 푼 후에 그 폴더로 들어가서 터미널을 엽니다.
(터미널에서 tar zxvf libhangul-0.0.3.tar.gz 하신 후에 cd libhangul-0.0.3 하셔도 됩니다.)

1-2 ### 컴파일 사전 준비단계로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

[code:3o7b8ihg]
./configure --prefix=/usr
[/code:3o7b8ihg]

1-3. make
1-4. sudo make install
(진짜로 설치한단 명령입니다. 제거하려면 압축풀린 그 폴더에서 sudo make uninstall 하면 됩니다.)

2. jfbterm-0.4.7-uxp-0.2.0 컴파일 설치 하기


2-1. tar zxvf jfbterm-0.4.7-uxp-0.2.0.tar.gz
2-2. cd jfbterm-0.4.7-uxp-0.2.0
(위의 두 단계는 터미널에서 제이에프비텀파일의 압축을 풀고 그 폴더로 이동한다는 뜻입니다.)

2-3. ### 컴파일 사전 준비 단계로 이 부분이 가장 중요 합니다. ###

[code:3o7b8ihg]
./configure --prefix=/usr --sysconfdir=/etc --enable-direct-color --disable-vga16fb --disable-beep
[/code:3o7b8ihg]
저 같은 경우는 jfbterm 에서 비프음을 듣고 싶지 않아서 이렇게 설정했습니다.

2-4.make
2-5.sudo make install ( 제거는 역시 그 압축풀린 폴더에서 sudo make uninstall )

설치가 끝난 후에 설정파일을 약간 고쳐줘야 할 경우가 있는데,
그게 힘들면 제가 제 설정파일을 첨부할 테니 그걸 덮어 쓰세요.

제 jfbterm-uxp 용 설정 파일, libhangul-0.0.3, jfbterm-uxp 용 추가글꼴을 첨부합니다.
jfbterm-uxp 는 용량초과라서 첨부 못했습니다.

제 설정파일을 압축 푼 뒤에 열어보면 중간에

1) Image path

splash.image: /media/DATA/pds/icons/junjihyun_124.png

라는 부분이 보일 겁니다.
이 부분에서 그림의 위치만 자기 상황에 맞게 고쳐주면 배경그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png,bmp)

그림 경로를 수정해줬다면 sudo cp my_jfbterm.conf /etc/jfbterm.conf 로 덮어 쓰세요.

추가로 jfbterm-uxp 용 글꼴을 다운받아서 쓰고 있다면 아래 부분을 찾아서
사용하는 글꼴을 바꿔 줄 수도 있습니다.

#기본폰트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unifont.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aply_apple.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aply_dgm.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e8_ih12.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yagi_uni.pcf.gz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mu_apple.pcf.gz
+fontset: vt100-graphics,pcf,L,/usr/share/fonts/jfbterm/vt100-graphics.pcf.gz

다운받은 이야기 유니폰트 (한글 + 영어)

#fontset: iso10646.1,pcf,U,/usr/share/fonts/jfbterm/ieng_ihangul.pcf.gz

다운받은 이야기 영어폰트와 한글폰트 (euckr)

#+fontset: iso646-1973irv,pcf,L,/usr/share/fonts/jfbterm/ieng.pcf.gz
#+fontset: ksc5601-1987,pcf,L,/usr/share/fonts/ihan_ksc.pcf.gz

ps.
콘솔에서 한글과 배경그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jfbterm-uxp를 컴파일 설치하기 전에 libpng와 libhangul 이 pkg-config 의 목록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즉, 터미널에서 pkg-config --list-all 했을 때 libpng 와 libhangul 이 보여야 한다는 거죠. 터미널의 스크롤바로 위아래로 움직이며 확인할 수 있습니다.

[b:3o7b8ihg]하지만 [/b:3o7b8ihg] 미리 pkg-config, libpng12-dev을 시냅틱으로 설치했고, libhangul 을 컴파일 설치했다면, 필요없는 작업입니다.

ps2.
이럴 일은 거의 없겠지만 로케일 설정이 달라서 한글이 깨질 경우
jfbterm 실행후 콘솔에서 export LC_ALL=ko_kr.utf8 을 해보세요.

콘솔로그인시 자동으로 jfbterm이 시작되게 하려면 /etc/profile 또는 ~/.profile 에

tty_tmp=tty | sed -e "s/\/dev\/\([ty]*\).*/\1/"
if [ "$tty_tmp" = "tty" ]; then
exec jfbterm
fi

라고 더해 줍니다.

ps3.
콘솔의 해상도를 변경할 때 vga=791 로 하면 16비트 1024x768 로 바꿀 수 있습니다. 792는 24 비트이고요.
부팅시의 우분투 로고 스플래시를 끄려면 ro quiet splash 부분도 지워 주시면 됩니다.

pamisu1님… 정말 사막의 오아시스 처럼 감동적인 댓글 감사드립니다…ㅠ_ㅠ!!

정말 자세하게… 친절하게… 거기에 파일까지 첨부해주셔서…

정말… 뭐라 감사를 드려야할지…ㅠ_ㅠ

왠지 마음이 훈훈해지고 따듯해 지네요…^-^

아직~ 이 방법대로 해보지는 않았지만… 너무 감사한 마음에 댓글 먼저 달고 해보려구요…^-^

다시 한번 정말 감사드립니다…ㅠ_ㅠ!!

현재 pamisu1님 말대로 설치한결과

jfbterm 실행시키면 한글 입출력과 배경화면까지 모두 설정 잘됩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근데 한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jfbterm 실행안하면 vi 에디터가 최신버전에 색지정까지 해놓은 상태로 잘 되는데요

jfbterm 실행하고 vi 에디터 열면 vim에디터 tiny 버전으로 열리는 문제가 생겼구요.

또 exit 로 jfbterm 을 나가려고 하면… 콘솔이 멈춰버립니다…

다른 콘솔로 넘어가지도 않구요~ x-windows 로도 복귀가 안되네요…

이부분은 어떻게 설정해줘야 하는건가요…??

vi 는 어려워서 아예 쓰지를 않기에 거기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전 linm으로 파일 브라우징과 텍스트파일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jfbterm 에서 exit 를 사용할 필요를 거의 느끼지 못했기에 그런 문제는 생각도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무슨 버그 아니면 프로그램 충돌 같은데… 이 역시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콘솔에서 한글 쓰려고 jfbterm 을 썼다면 왜 도로 빠져나와야 되는지 그 필요성을 잘 못느끼겠습니다.

jfbterm 자체가 콘솔의 불편함을 해소하려고 콘솔환경자체를 바꾸는 건데, 왜 다시 불편한 콘솔환경으로 전환하는지 저로선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보통 엑스윈도우 환경에서 가상콘솔로 들어가려면 콘트롤+알트 +(F1~F6) 키를 눌러주면 됩니다.
거기서 한글환경을 위해서 jfbterm을 기본 실행한 바탕 위에 다른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또 그 위해 linm 같은 파일브라우저를 실행해서 작업하거나 다시 그 위에 명령모드로 명령을 해줍니다.

다시 엑스윈도우 환경으로 전환하려면 콘트롤 +알트 + (F7~F12) 키를 누르면 전환되는데,
굳이 콘솔환경에서 jfbterm을 죽여야할 이유가 있나요?

jfbterm 실행하고 죽이려는 이유는 구지 한글이 안써지는 콘솔화면으로 돌아가려는

목적이 아니구요…

다른 사람들은 되는데 저는 exit 후 멈추게 되는현상을 고치기 위해서 입니다;;

조악한 콘솔을 사용하려는 목적보다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jfbterm에서 cmus 가 device ~~~~ busy 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실행되지 않더군요…;;

ㅠ_ㅠ;;

콘솔에서 sudo exit 해본 결과 exit 라는 명령어가 없다고 나옵니다. 시스템도 얼지 않습니다.
logout 도 없는 명령어라고 나오는데, 두 명령어의 실행에서 차이점이라면

관리자 권한이 아닌 일반계정에서 명령을 내렸을 때, exit에선 얼고, logout에선 얼지 않는다는 점이네요.

아무래도 우분투 콘솔환경에서 exit 명령어를 못쓰게 만든 것 같습니다.
이게 버그인지 아니면 보안상의 권한문제로 그런 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cmus를 실행할 때 디바이스가 바쁘다고 나온다는 점은 이상합니다.

제가 현재까지 cmus를 써본 봐로는 cmus를 처음 시행하면 재생이 되는 게 아니라 일단 라이브러리 모드로 열립니다.

그 라이브러리 모드(키보드 숫자 1,2))나 플레이리스트 모드(키보드 숫자3)에서
목록에 음악파일들이 있으면 키보드 x 키로 재생이 되던가,
아니면 브라우저모드(키보드 숫자 5)로 이동해서 파일들을 열어서 재생하든지 하거든요.

또는 브라우저모드에서 a를 눌러 라이브러리에 추가하거나, y를 눌러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한 뒤 재생하죠.
그래서 제가 cmus로 음악파일 열 때 곧바로 재생되는 옵션을 찾는 중입니다.

혹시 다른 프로그램이 사운드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해 보세요.

참고로 cmus로 음악들을 때 몇가지 옵션을 말씀 드리자면 가령 라이브러리 모드에서 음악 들을 때

1.C(대문자 C) 를 눌러 놓으면 여러음악을 계속 재생합니다. C가 꺼져 있으면 한 파일만 재생합니다.
2.s 를 눌러 놓으면 목록섞기 모드입니다.
3.r 을 눌러 놓으면 반복모드 입니다.
4.a 를 누를 때 마다 모든구간, 음악가 별 구간, 앨범 별 구간… 이렇게 3가지 형태로 바뀝니다.
즉, 이승철만의 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또는 이수영 5집만 들을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 M,o, c 키를 통해서도 옵션을 정해줄 수 있습니다.

jfbterm 을 실행시키지 않을때는 exit 와 logout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요…

jfbterm 실행하면 두개다 사용이 불가능하더라구요…;;

그게 그럼 버그일수도 있고 일부러 막아놓은 걸수도 있다는 말씸이시죠…@_@?

우응… 그럼 저만의 문제가 아니었는갑네용…ㅠ_ㅠ;;

아… 그리고 cmus 는…

그때 제가 mplayer 로 영화를 보고 있던중에 해봤는데

그렇게 나오더라구요…

윈도우 처럼 동시에 사운드를 지원해주지는 않는건가보네요??;;

pamisu1님의

설명 하신대로 하던 중 jfbterm ./configure ~ 한 후 make 할 때 발생한 에러입니다.

fbcommon.c:556: error: ‘PAGE_MASK’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bcommon.c:556: error: (Each undeclared identifier is reported only once
fbcommon.c:556: error: for each function it appears in.)
fbcommon.c: In function ‘tfbm_close’:
fbcommon.c:620: error: ‘PAGE_MASK’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make[1]: *** [fbcommon.o] 오류 1
make[1]: Leaving directory `/home/jbh/jfbterm-0.4.7-uxp-0.2.0’
make: *** [all] 오류 2

뭐가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quote="bhjeong":15f2tjra]뭐가 문제인지 궁금합니다.[/quote:15f2tjra]
jfbterm 컴파일에 필요한 의존 패키지 설치를 하였는지요 (dev 들 …)

sudo apt-get build-dep jfbterm

전에 서버 온리 상황에선 jfbterm을 사용 해보기도 했으나
테탑에선 비추 입니다. (한글 잘 보이니 까요…)
또한 서버도 원격접속이니 jfbterm 이 필요가 없습니다.
서버 앞에서 한글파일 고칠때나 필요 하지요

재미로 해보는거는 안 말리겠습니다. ;)

제 컴 사양이 넘 낮아 그놈 돌리며 사용하자니 답답해서
콘솔에서만 사용하려니 이제 한글 입출력이 안되더라구요
동영상이나 음악감상 모두 콘솔에서 가능하다고 하니 함 꾸며볼려구 하는데
이도 쉽지 않네요
역시 똑같은 오류 나는데요. 소스는 최신 jfbterm으로 웹에서 다운받았구요
sudo apt-get install jfbtem으로 설치한 것은 잘 사용하다 exit하면 컴이 다운이 되어서

make하면 나는 오류입니다.
fbcommon.c:49:22: error: asm/page.h: No such file or directory
fbcommon.c: In function ‘tfbm_open’:
fbcommon.c:556: error: ‘PAGE_MASK’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fbcommon.c:556: error: (Each undeclared identifier is reported only once
fbcommon.c:556: error: for each function it appears in.)
fbcommon.c: In function ‘tfbm_close’:
fbcommon.c:620: error: ‘PAGE_MASK’ undeclared (first use in this function)
make[1]: *** [fbcommon.o] 오류 1
make[1]: Leaving directory `/home/jbh/jfbterm-0.4.7-uxp-0.2.0’
make: *** [all] 오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