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업무를 우분투 기반으로 전환을 한지 3주가 넘어 가네요…
사전 적응기 2~3일을 거쳐 1주동안 설치 및 다듬기, 1주동안 적응기, 1주동안 튜닝 이렇게 3주가 금방 지나가 버리더군요…
3주를 거친 지금… 기존 MS Windows 운영 환경 못지 않게 빠른 속도로 업무를 적응 하고 있습니다.
이에, 3주를 돌아 보며, 혹시나 저처럼 자신의 업무를 리눅스로 변환을 원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특히, 적응기 및 실용 업무기에는 저처럼 실업무를 사용 하시는데 도움이 되시는 여러 Tip 등을 올리고자 합니다.
사실, 리눅스를 처음 부터 쓰고자 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리눅스등 윈도우즈등 자신이 가장 최적화 된 tools을 통하여 생산성이 높아진다면 어떠한 툴을 쓰든지 무관하다는 것이 저의 주의였습니다.
그러다가, 주변 회사의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 계기가 되어 전 업무를 리눅스로 바꾸고자 다시금 시도를 하게 되어습니다.
사실 리눅스는 95년 부터 만지기 시작하여 한동안 리눅스 전문 회사에서 10여년동안 일을 해오던 저 조차도, 제가 하는 업무를 리눅스로 전환을 한다는 것은 큰 도전이었습니다.
이는 제가 지금까지 생산을 해 놓은 데이터들의 호완성 때문이었습니다.
일단, 제가 하는 업무는 제안서 및 보고서 위주의 업무가 대부분입니다.
하루에 작성하는 문서는 기술문서 10종, 제안서 2~3종, 프리젠티이션 1회, 그리고, 여러 분석 작업 등이 있습니다.
1년동안 생산되는 파일양이 대략 500G 정도 됩니다. 메일의 경우 1년동안 대략 6G정도의 pst 파일이 생기더군요…(pst를 분기별로 나누어 저장 합니다.)
리눅스로 전환을 하는데 있어 가장 큰 이슈는 기존 워드 문서, 프리젠테이션, 엑셀, 그리고, 여러 분석툴의 호완성이었습니다.
특히나, 기존 메일 데이터의 전환이었습니다.
[size=150:2e5rnn4i]0. 사전 작업[/size:2e5rnn4i]
앞서, 말씀 드린대로, 업무 전환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운영 환경이 아니라, 자신이 사용하는 툴의 변환 입니다.
이를 위하여 저는 1주일 동안 Windows 환경내에서 OpenOffice 를 설치를 하여 적응기를 거쳐습니다.
그리고, 나중 메일 데이터 변환을 대비하여, 아웃록에서 회사 메일서버에 설치를 해놓은 웹메일로 전환을 하였습니다.
[b:2e5rnn4i]업무 전환 Tip 1. 사전 자신이 앞으로 사용할 Tools 에 대하여 적응기를 거쳐라[/b:2e5rnn4i]
[size=150:2e5rnn4i]1. 우분투를 선택하다.[/size:2e5rnn4i]
사전 준비 작어을 하면서 저애게 맞는 배포판을 찾기 시작을 하였습니다.
91년 제닉스를 거쳐 상용 유닉스를 사용 하다가, 공개라는 말에 현혹이 되어 리눅스는 슬렉웨어로 시작을 하여 FreeBSD 를 사용 하였고, 그러다가 L 사에 입사를 하여 A… 리눅스, W… 리눅스 개발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형 리눅스라는 부요 초안 작업에 참여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RHEL, CentOS, SuSE 는 여전히 업무에 사용 중입니다.
모든 것이 Redhat 에 기초를 두었기에, Redhat 이 저에게는 친숙 하였습니다.
그러기에, 이번 업무 전환 프로젝트에 Redhat 기반이 1순위가 되는 것은 당연하였습니다.
우연이라고 할까요,? 우분투를 만난것은요?
업무 전환을 하는데 있어 우선 제가 필요로 하는 기능은 리눅스에서 제공 되는 기본적인 기능 외…
데스크탑 환경을 최대한 반영한 운영체제이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선택의 기준이었습니다.
즉, 모든 관리를 알아서 해 주어야 한다는것이었습니다. (관리라 함은 패치, 업데이트를 말합니다)
이는, 10여년 이상 리눅스를 해온 저에게도 제가 맡은 업무 "기술 문서 작성, 프리젠테이션, 분석…" 를 하면서, 리눅스 관리에 의존해여 한다는 것은 생산성을 떨어지므로 선택의 기준에 미달이 되는 것이입니다.
여러 배포판을 검토를 하였죠…
CentOS (RHEL) Fedora, SuSE…
한컴, Ginux…
모든 배포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장단점이 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정말 우연히… 저희 고객중 한분이 서버에 우분투를 설치를 해 달라는 요청에 저희 엔지니어가 설치를 해보고,
"부장님… 우분투 한번 써보세요… 정말 편하네요…"
라고 말한 것이 기억이나 우분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우분투를 받아 2~3일 동안 Live CD를 통하여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가능 하다. 이정도면…
[size=150:2e5rnn4i]2. 우분투를 설치하다.[/size:2e5rnn4i]
예전 L 사에 근무를 하면서도 업무의 리눅스 전환 실패는 바로 멑티 부팅이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 어느세 Windows 로 부팅을 하는 자신을 발견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리눅스로의 완벽한 전환을 위해서는 리눅스를 Host OS 로 사용을 하여야 한다는 강한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b:2e5rnn4i]업무 전환 Tip 2: 리눅스 전환을 위해서는 절대로 멀티 부팅을 하지 말라[/b:2e5rnn4i]
정말 윈도우즈가 필요하면 가상화를 통하면 됩니다.
모든 데이터를 백업을 하고 전체 파티션을 우분투 9.04 로 설치를 시작 하였습니다.
제가 사용 하는 노트북은 국내에서는 3대 밖에 없는 모델 입니다.
이미, LiveCD를 통하여 호완성 태스트를 거쳤으므로 전혀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b:2e5rnn4i]업무 전환 Tip 3. 사전 Live CD (live mode_)로 환경 테스트를 하라[/b:2e5rnn4i]
우분투 9.04 내에서는 모든 드라이버들이 문제가 없다군요…
abron@abron-laptop:~$ lspci
00:00.0 Host bridge: Intel Corporation Mobile PM965/GM965/GL960 Memory Controller Hub (rev 03)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Mobile GM965/GL960 Integrated Graphics Controller (rev 03)
00:02.1 Display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Mobile GM965/GL960 Integrated Graphics Controller (rev 03)
00:1a.0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 UHCI Controller #4 (rev 03)
00:1a.1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 UHCI Controller #5 (rev 03)
00:1a.7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2 EHCI Controller #2 (rev 03)
00:1b.0 Audio device: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HD Audio Controller (rev 03)
00:1c.0 PCI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PCI Express Port 1 (rev 03)
00:1c.1 PCI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PCI Express Port 2 (rev 03)
00:1c.2 PCI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PCI Express Port 3 (rev 03)
00:1c.5 PCI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PCI Express Port 6 (rev 03)
00:1d.0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 UHCI Controller #1 (rev 03)
00:1d.1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 UHCI Controller #2 (rev 03)
00:1d.2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 UHCI Controller #3 (rev 03)
00:1d.7 USB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USB2 EHCI Controller #1 (rev 03)
00:1e.0 PCI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 Mobile PCI Bridge (rev f3)
00:1f.0 ISA bridge: Intel Corporation 82801HEM (ICH8M) LPC Interface Controller (rev 03)
00:1f.1 IDE interface: Intel Corporation 82801HBM/HEM (ICH8M/ICH8M-E) IDE Controller (rev 03)
00:1f.2 SATA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82801HBM/HEM (ICH8M/ICH8M-E) SATA AHCI Controller (rev 03)
00:1f.3 SMBus: Intel Corporation 82801H (ICH8 Family) SMBus Controller (rev 03)
02:00.0 Network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PRO/Wireless 4965 AG or AGN [Kedron] Network Connection (rev 61)
04:00.0 Ethernet controller: Marvell Technology Group Ltd. 88E8039 PCI-E Fast Ethernet Controller (rev 14)
0b:09.0 CardBus bridge: Texas Instruments PCIxx12 Cardbus Controller
0b:09.1 FireWire (IEEE 1394): Texas Instruments PCIxx12 OHCI Compliant IEEE 1394 Host Controller
0b:09.2 Mass storage controller: Texas Instruments 5-in-1 Multimedia Card Reader (SD/MMC/MS/MS PRO/xD)
0b:09.3 SD Host controller: Texas Instruments PCIxx12 SDA Standard Compliant SD Host Controller
기본적으로 가장 필요로 에플리케이션인 사무도구는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업무 로드를 최소화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처음 설치를 하고 여러 문제는 있었습니다. 인텔 그래픽 카드 문제 등등…
허나… 바로 난관에 빠지더군요…
---- 2부를 기대 해주세… 난관 극복기를 올려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실제 실무 응용기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