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진 선출 선거에 연하여..

저와 강분도님의 마찰로 인해 벌어진 지금의 급작스런 일들에 대해 계속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또한 또 하나의 무책임이란 생각이 들어 한 말씀 올립니다.

우선 몇 가지 우려되었던 일들의 기미가 보이더군요.
눈치채신 분도 계실 것이고, 그러지 못한 분도 계실 것이고, 각자가 느낀 바가 다르기도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어떤 "문제"로 구체화되었다라기보다 "기미"가 보이는 정도에 불과하니까요. 이런 일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노력했는데, 마지막의 실책으로 문제를 너무 일찍 표면으로 끌어올린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기미"들이 많은 회원들이 다시 한번 돌아보고,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각설하고, 운영진에 입후보하신 분들께 당부 말씀 하나 드립니다.

지난 1년 반동안 강분도님과 저는 각 자원들(포럼, irc, 메일링, 런치패드 등)의 관리자라기보다 전체 커뮤니티의 리더 역활을 해왔습니다. 다시 말해 특정 한 분야를 맡아 관리하기보다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이라는 큰 틀 안에서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추진해왔습니다. 그리고 사실 각 자원의 관리는 그다지 할 일이 많지 않았던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모임이 커지면서 각 자원들의 관리 부분도 일이 많아지기 시작했고, 각 부분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졌습니다.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관리자(운영진) 선출을 보면 이래저래 쪼개지기만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앞서 말했듯이 여러 작은 단위로 쪼개져야 하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내서는 안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즉, 쪼개돼 큰 틀은 더욱 굳건히 남겨둬야 한다는 말입니다.
반복하자면 각 자원의 관리자는 해당 자원에 대한 관리를 책임지는 것과 동시에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이라는 큰 틀에도 관여를 해야한다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각 관리자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만 높여 화합이 되지 않거나 서로 책임을 미루는 사태로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은 사실 그 자체로 하나이며, 각 자원은 그저 도구에 불과한 것입니다. 따라서 각 자원의 관리자는 전체 의회의 회원과 같은 역활마저 같이 수행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관리자 후보에 입후보하셨고 나름 포부도 밝히신 분도 계십니다만,

[quote:2t3wddr6][b:2t3wddr6][u:2t3wddr6]가장 큰 틀은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이며, 다른 관리자들과 회원들과 함께 사용자 모임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u:2t3wddr6][/b:2t3wddr6][/quote:2t3wddr6]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하나더 부탁드리자면 제가 가장 하고 싶었으나 결국 하지 못한, 원만한 인계체제 확립을 위해 모든 일을 문서화하고 투명하게 처리해 주셨으면 합니다.

=======
강분도님.
그저 아무말 없이, 무책임하게 방관만 하는 제 모습도 그다지 아름답지는 못합니다만, 분도님도 좀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어찌되었거나 이렇게 된 상황이므로, 앞서 포럼과 사용자 모임을 개척하고, 많은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하고, 시행착오를 겪었던 선배로써, 후임 관리자들이 조언을 구해오면 조언을 해주거나, 정말 10번쯤 고민해봐도 꼭 말해야겠다 싶을 때, 개인적으로 권고를 한 마디 해주는 멋진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헤즈님.
무엇보다 헤즈님이 열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저와 강분도님의 잘못을 답습하지 않을까하는 것입니다. 비록 빠른 결정과 신속한 행동이 필요했다고는 하나 운영진 선출 공고를 비롯해 몇 가지 일이 석연치 않은 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깔끔히 처리하여 애쓰신 만큼 인정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최근 포럼 내 다툼에도 불구하고 운영진 선출 일정을 고수하신 점은 훌륭한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그리고 포럼 툴의 교체는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신중히 고민하고 회원들과 충분히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
여담으로 제가 최근 잠적하고 있는 까닭은 "말리는 시누이가 미워서" 입니다.
말이 말을 낳고, 오해를 낳고…

최근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이야기를 읽고 있습니다.
딱히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만, 정치 형태의 반복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뭔가 원죄라든가 하는 식으로 떠넘기기는 아닙니다만. 결국 꼬리에 꼬리를 물고 만 정반합이랄까요. 그리고 그 시작은 작은 도시 국가였음을…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지 못한 것들을 배우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었다."가 아닌, "왜 그렇게 되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는 재미가 솔솔하네요.

=======
딴 이야기지만… exex2님 축하드립니다.
괜히 말만 꺼내놓고 제대로 안내도 못하고 유학을 가버려서 죄송한 마음만 가득했는데, 이렇게 큰 성과를 올리시니 제가 다 뿌듯합니다. exex2님이 자랑스럽습니다. 이제 이렇게 경험을 하신 선배가 되셨으니 앞으로 비슷한 행사에 많은 동료와 후배를 이끄시고, 안내하는 역활을 맡아주셨으면 합니다. 그래 주신다면 그것만큼 크게 자유/공개 소프트웨어에 기여하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오랜만에 뵙게되어 반갑네요 =.=
메일에 답도 없으시고… ㅠㅠ

관심과 열정이 많으신 분들이시니 잘 되리라 생각됩니다.
(너무 낙천적인가요 ㅎㅎ)

여튼… 다시 뵙게되는 날을 기다려봅니다.
몇달 안남았죠?

우려하시는 부분에 관해서는 잘 알겠습니다만, 제가 볼 때는 지금으로서도 뭐 꽤 잘 돌아가는 것 같은데요.

문제가 있다면, 그것이 표출되고, 결국에는 해결이 될 것입니다.

이런 격언이 있죠. 정확하게 기억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역사는 단축시킬 수는 있으되, 건너뛸 수는 없다.’ 뭐 비슷한 뉘앙스였습니다만.

우리 포럼이 앞으로 나아가는데 반드시 겪어야 할 일이 있다면 그게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반드시 겪으면서 앞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그 기간이 짧든 길든 말입니다.

요컨대,

언제 컴백하세요?

(응??)

어느덧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의 첫 선거가 마무리 되어가는군요.
생각보다 많은 투표 수와 반대표 수가 흥미를 유발하네요.

왜 이렇게 반대표가 많을까?
저는 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는 많은 분들의 고민의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즉, 반대라기보다 판단 유보로서의 반대표랄까요.

반면에 너무 진지하게들 생각하고 계신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후보 등록이나 검증 과정을 보면, [b:arjltsvz]"처음이고… 임기가 2년이나 되니까… 확실한 사람을 관리자로 뽑아야 해…"[/b:arjltsvz] 라는 느낌이 많이 전해져 옵니다. 후보로 등록하신 분들도 비슷한 느낌이고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보기에… 사실 이번에 선출되는 관리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선출되자마자 뭔가를 확 바꿀 수도 없고, 어떤 일을 확 진행할 수도 없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로는 [b:arjltsvz]"의견의 다양화"[/b:arjltsvz]와 [b:arjltsvz]"조직의 부실성"[/b:arjltsvz]을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마도 첫 관리자들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기존의 활동들을 유지하는데, 그 임기의 대부분을 소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굉장히 중요한 일입니다만, 관리자로서는 따분하고 재미없고, 회원들로서는 "도대체 뭐하는 건지" 알 수 없는 상황으로 보일 수도 있는 암울한 역활이지요. ;;;;

각설하고…
[b:arjltsvz]"팀과 자원의 관계"[/b:arjltsvz]에 대해 고민해 주시길 바란다라는 말씀을 끝으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타래에서 이미 이야기한 바가 있으므로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list:arjltsvz][:arjltsvz][url=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21625:arjltsvz]우분투 커뮤니티 조직 체계 개편에 관한 제안[/url:arjltsvz][/:m:arjltsvz]
[:arjltsvz][url=http://ubuntu.or.kr/viewtopic.php?f=2&t=7945:arjltsvz]우분투 한국 로컬팀 조직도 안내[/url:arjltsvz][/:m:arjltsvz]
[*:arjltsvz][url=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42774#p42774:arjltsvz]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42774#p42774[/url:arjltsvz][/*:m:arjltsvz][/list:u:arjltsvz]

[quote="Mr.Dust":293q5jir]
그런데 개인적으로 보기에… 사실 이번에 선출되는 관리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선출되자마자 뭔가를 확 바꿀 수도 없고, 어떤 일을 확 진행할 수도 없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로는 [b:293q5jir]"의견의 다양화"[/b:293q5jir]와 [b:293q5jir]"조직의 부실성"[/b:293q5jir]을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마도 첫 관리자들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기존의 활동들을 유지하는데, 그 임기의 대부분을 소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굉장히 중요한 일입니다만, 관리자로서는 따분하고 재미없고, 회원들로서는 "도대체 뭐하는 건지" 알 수 없는 상황으로 보일 수도 있는 암울한 역활이지요. ;;;;
[/quote:293q5jir]
지금 상위 조직 구조는 부실이 아니라 붕괴 상태나 마찬가지이니, 그걸 재건하려고 뽑는 게 이번 관리자들 아닐까요? 이번에 뽑히는 관리자들이 뭔가 멋지고 쌈빡한 걸 해 줄거라고 기대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사실 앞으로도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그럴 것 같습니다. 알아주는 사람이 적으면, 뭐… 좀 암울할 수는 있지만. 어차피 관리자라는 건 그 속성 자체가 그런 것 같아요. ;)

처음부터 확실히 하자 vs. 처음인데 완벽할 순 없다

이 사이의 경계선을 왔다갔다 하는 게 '처음’의 묘미(?)이지요. ㅎㅎㅎ.

관리자가 하는 일은
잘 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 놓고 잘 되길 기다리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을 정비하고, 체계를 확립하고,
여러 회원분들을 참여시키고, 다양한 의견을 조정하며 천천히 앞으로 나가야겠죠.
작은 조직이나 큰 조직이나 매 한가지겠죠.
이번에 관리자가 되시는 분들이 기초만 잘 닦아 놓는 것도 큰 일을 하시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음 관리자는 그 기초 위에 멋진 집을 지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그리고 우리 회원들도 그 집 욕조에서 반신욕을 즐길 수 있길 바랍니다. :P

처음에 우분투 커뮤니티를 다시 만드신 더스트님과 강분도님이 수고하셨고
이번에 선출되는 관리자 분들이 전체적인 틀을 잡아 주시길 기대합니다.
관리자는 자신이 만들어 나가는 시스템과 인간적인 비전으로 평가 받는 것인데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아주길 바라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는 사람은 다 알게 되어 있고 혜택이 많은 사람들에게 돌아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