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에 보내는 공개 편지

http://jakedth.tumblr.com/post/25788904 … r-to-nexon

…영어는 어렵고, 번역된 한글은 더 어렵네;;;

정말 번역된 한글이 더 어렵더군요. :lol:

번역된게 더 이해불가인것 그렇다치고…

아무래도… 본론으로 돌아가서,
넥슨에서 GPL라이센스를 안 지킨 모양이군요…

id Software가 GNU GPL로 라이센싱했듯이 넥슨도 그렇게 해 주기를 제안하는 글이네요.
앞부분만 읽은 바로는…

제가 매우 대충(?) 번역한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

=================================================
안녕하십니까? 저는 제이콥 루드크랍이라고 합니다.

저는 자유소프트웨어 옹호론자로서 이 글이 컴뱃암즈 개발자 혹은 라이센스담당자가 보았으면 합니다.
부디 담당자 분들에게 전달해주십시오.

넥슨은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의 일부가 GoldSrc 엔진을 사용해 개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oldSrc 엔진은 본시 id 소프트가 개발한 Quake 엔진을 기반으로 하고 있죠.
최근의 게임엔진에 대해 관심이 있었다면 컴뱃암즈 개발자는 id 소프트가 Quake엔진을 GNU GPL로
공개한 사실을 알고 있었어야 합니다.

저는 (넥슨의) 개발자와 라이선스 담당자가 id 소프트와 같은 결정을 내릴 것을 제안합니다.
(즉, GNU GPL을 지켜라. GPL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역시 GPL의 적용을 받는다.)

그 이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이러한 결정이 넥슨 측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컴뱃암즈 개발자와 그 유저들은 컴뱃암즈가 이러한 (라이선스)문제에 직면해있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아마도).
그리고 과거의 사례를 비추어 볼 때, 게임의 개발자 및 사용자 모두를 Hacker’라고 말할 수 있죠.

‘Hacker’는 대개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바이너리코드를 수정하는 사람들을 일컫습니다.
그 결과 취약점은 수이 패치됩니다. 그러나 증명된 것과 같이 취약점을 패치한다고 해도 또 다른 취약점이 발생할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해커 역시 취약점에 대해 계속적으로 대비할 것입니다.(??)

컴뱃암즈는 GNU GPL의 적용을 받습니다. 그에 따라, 누구나 소스코드를 자유롭게 열람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취약점의 동작원리를 잘 알고 이를 고칠 수 있는 ‘Hacker’들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로써 취약점이 줄어 들겠죠.
잘 아시겠지만 이를 가리켜 ‘more eyes means better security.’ (많은 사람들이 코드를 검토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다) 라고 하죠.

취약점 패치는 단지 (넥슨이 가지고 갈) 혜택 중 하나일 뿐입니다.

게임의 소스코드를 자유롭게 열람하고 사용할 수 있다면, 현재의 프로젝트를 파생시켜(‘forked’) 다중 플랫폼용으로 포팅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리눅스’ 혹은 ‘맥’용 컴뱃암즈를 기대하고 있거나 (확인한 바에 따르면) ‘WINE’과 일부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한 실행방법을 알고 싶어합니다. (GNU GPL을 사용한다면)이러한 작업은 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다중 플랫폼을 지원하는 게임은 그 수에서 매우 제한적이며, 넥슨으로서는 블루오션을 찾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컴뱃암즈가 그 동안 id 소프트의 Quake, Doom과 같은 대작들과 경쟁하는 와중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플랫폼만을 지원했던 반면 id 소프트의 게임은 ‘맥’, ‘리눅스’, 심지어 다른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Battlefield, Heroes, BlackShot, CrossFire와 같은 다른 윈도우 플랫폼 전용 게임 역시나 컴뱃암즈의 경쟁상대입니다.

따라서 만일 GNU GPL을 적용하고 다중플랫폼을 지원한다면 넥슨은 현재의 ‘리눅스’, ‘맥’ 사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됩니다.

넥슨은 그 동안 개발한 컴뱃암즈와 워록을 가지고 윈도우 플랫폼 기반의 무료게임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GNU GPL을 적용함으로써 윈도우 이외의 플랫폼에서의 게임시장에서도 또한 앞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이익을 위해서라도 넥슨의 라이선스 정책에 대해 재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제이콥 루드크랍으로부터

번역 감사합니다.

저도 제이콥 루드크랍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quote="unixcruiser":243vs3ez]제가 매우 대충(?) 번역한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

넥슨은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의 일부가 GoldSrc 엔진을 사용해 개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oldSrc 엔진은 본시 id 소프트가 개발한 Quake 엔진을 기반으로 하고 있죠.
최근의 게임엔진에 대해 관심이 있었다면 컴뱃암즈 개발자는 id 소프트가 Quake엔진을 GNU GPL로
공개한 사실을 알고 있었어야 합니다.

저는 (넥슨의) 개발자와 라이선스 담당자가 id 소프트와 같은 결정을 내릴 것을 제안합니다.
(즉, GNU GPL을 지켜라. GPL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역시 GPL의 적용을 받는다.)
[/quote:243vs3ez]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글 속에 있지도 않은 말을 쓰셔서 다른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도록
하는 것 같네요. 제 번역은 이겁니다.

[quote:243vs3ez]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을 부분적으로 개발했던 넥슨은 GoldScr 엔진의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엔진은 id Software의 Quake 엔진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게임 엔진의 최근 역사로부터 그 개발자들은 GNU GPL하에 Quake 엔진을 라이센스한 id Software의 결정을 인식하여야 합니다. 저는 그 개발자들과 라이센싱 책임자들에게 같은 결정을 해 줄 것을 제안합니다. 컴뱃 암즈를 GNU GPL하에 라이센스하면 넥슨은 장기적으로 이득을 볼 것입니다.[/quote:243vs3ez]
넥슨이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을 개발했으니 GoldScr 엔진을 알고 있을 거다. 이 엔진은 id Software의 Quake 엔진에 기초한 거다. 글쓴이가 Quake 엔진을 언급한 거는 Quake 엔진이 GPL이고 따라서 GoldSrc 엔진도
GPL 영향을 받으니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한 게 아닙니다.(GoldSrc 엔진이 GPL의 영향을 받는지는 모름)
단지 id Software를 본받아서 컴뱃 암즈를 GPL로 라이센스하면 좋겠다. 그러면 너희에게도 좋을 테니까라고…
제가 게임을 안 해서 잘 모르고 관심도 없지만 문맥상 느낌은 그렇습니다. 컴뱃 암즈는 GoldSrc 엔진이 아니고
다른 엔진이네요.

[quote:2kmofyon]
글 속에 있지도 않은 말을 쓰셔서 다른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도록
[/quote:2kmofyon]

오역이 있었다면 인정하겠습니다.

그러나 제 댓글의 맨 처음에 ‘대충’ 번역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가 만일 전문 번역가라면 정확히 번역할 의무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런 의무를 질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만…

남이 시도해본 것에 대해 '감 놔라 대추 놔라’식의 비판을 하는 것은

그리 좋은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 번역에 불만이 있으시면 스스로 전체 글을 번역해 올려보심이 어떨가요?

[b:2kmofyon][size=150:2kmofyon]덧니[/size:2kmofyon][/b:2kmofyon]: 요즘 위키백과 자원봉사자들이 줄어든다고 하는 데 자원봉사 한 번 해보심이 어떨런지요?
[b:2kmofyon][size=150:2kmofyon]덧니2[/size:2kmofyon][/b:2kmofyon]: 이런 식의 비판이 새로운 시도를 해보려 하는 이들에게 상처가 된다는 거 아시는지요?

말하고 글이 다르구나 하는 걸 이런 데에서 느낍니다.

건전한 비판이라고요?
그 말에 동의하기 어렵군요. (-_-:wink:

그렇다면 GPL 면책조항이 왜 생긴거죠?
오역이 있다면 정역을 올리면 되지
굳이 다른 이의 흠을 들추어낼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말과 글은 어투에 따라 그 뜻이 달라질 수도 있는 거죠.

말을 부드럽게 하려고 노력하고 또 듣는사람도 어느정도 눈감아주는게 필요…ㄷ

진정하시고 마음을 가라앉히시고 글을 자세히 보세요… 있지도 않은 글을… 이라는 부분에서 너무 어감이 센 것이 없잖아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이 부분이 잘못되었다는 지적 정도라 생각합니다.

[quote="Vulpes":k1il96cd] 있지도 않은 글을… [/quote:k1il96cd]

제가 제기하는 문제점을 제대로 보셨네요.

어감…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문제지만 그런 표현까지 써야 하나요?
논쟁이 과열되는 요인 중에 어감이 큰 몫을 차지한다고 보는데요.

그렇다고 제 오역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분명히 댓글에 오역을 100% 인정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unixcruiser님, 제 지적이 기분 나쁘셨다니 안타깝군요.
unixcruiser님이 대충 번역하셨다는 글에 원글에 없는 말[quote:25c5qg5s](즉, GNU GPL을 지켜라. GPL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역시 GPL의 적용을 받는다.)[/quote:25c5qg5s]이 있어서 넥슨이 GPL을 위반한 것처럼 여겨질 문제가 있어서 지적하였고 그 부분의 제 번역을 올렸습니다.
여기에 어느 부분에라도 unixcruiser님 인격에 대한 모독이나 영어 실력에 대한 비판이 있나요?
전 단지 잘못된 것 같아 바로 잡자 하였을 뿐입니다. 이걸 그냥 두면 더 안 좋은 사태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오히려
고마와해야 하는 게 아닐까요?
이런 지적에까지 화를 내시면 건전한 비판이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위키 번역보다 더 중요하고요.

제가 기분나쁘게 말씀드렸다면 다음과 같이 썼겠죠.

[quote:25c5qg5s]대충 번역을 한다면서 그냥 직역을 하실 것이지 왜 없는 말을 쓰셨나요? 번역자가 썼다는 표시도 없이 말입니다.[/quote:25c5qg5s]

[quote="duck":3p98rit9][quote="unixcruiser":3p98rit9]오역이 있었다면 인정하겠습니다.

그러나 제 댓글의 맨 처음에 ‘대충’ 번역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가 만일 전문 번역가라면 정확히 번역할 의무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런 의무를 질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만…

남이 시도해본 것에 대해 '감 놔라 대추 놔라’식의 비판을 하는 것은

그리 좋은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 번역에 불만이 있으시면 스스로 전체 글을 번역해 올려보심이 어떨가요?

[b:3p98rit9][size=150:3p98rit9]덧니[/size:3p98rit9][/b:3p98rit9]: 요즘 위키백과 자원봉사자들이 줄어든다고 하는 데 자원봉사 한 번 해보심이 어떨런지요?
[b:3p98rit9][size=150:3p98rit9]덧니2[/size:3p98rit9][/b:3p98rit9]: 이런 식의 비판이 새로운 시도를 해보려 하는 이들에게 상처가 된다는 거 아시는지요?[/quote:3p98rit9]
비난이 아닌 정직한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셨으면 좋았을것 같습니다.

esrevinu님은 단지 오역이 있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원 글쓴이의 글이 잘못 전달 될 것을 우려해서 쓴 글일뿐
unixcruiser님을 비난하거나 욕보이려고 쓴 글처럼은 안보입니다.[/quote:3p98rit9]

있지’도’라는 표현이 좀 무례하게 다가오는 건 있네요.
'도’를 빼면 조금 부드럽게 들리지 않나요? ㅎㅎ

쿨하신 분들은 자신의 표현에 감정에 대한 배려가 메말라있다는 사실을 모르시는 것 같아요.
세상일이 어디 논리로만 가능하겠습니까…^^

[quote="esrevinu":2qcvciet]전 단지 잘못된 것 같아 바로 잡자 하였을 뿐입니다. 이걸 그냥 두면 더 안 좋은 사태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오히려 고마와해야 하는 게 아닐까요? 이런 지적에까지 화를 내시면 건전한 비판이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위키 번역보다 더 중요하고요.[/quote:2qcvciet]

이 글타래를 더 이상 길게 끌면 모양새가 좋지 않으니 한 마디만 하고 끝내도록 하죠.

‘(비판의) 목적이 좋으려면 (어투라는) 수단도 좋아야 한다.’

제가 꼭 비방글을 써서 뭇매를 맞는 느낌이네요.
제가 비판을 하긴 했지만 정면으로 대 놓고 한 것도 아니고 살짝 했을 뿐인데
(사실 기분 나쁠까봐 언급을 안 했습니다)
다른 분들도 어투를 문제 삼으시니 어리둥절하네요.

제가 글재주가 없어서 비판을 기분 좋게 못해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한가지 짚고 넘어 갈 것은 누군가가 어떤 일을 좋은 뜻으로 하였다고 해서
그것의 비판을 금지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존경하는 리누스도 다른 프로그램들을 정면으로 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서 자유 소프트웨어가 발전해 왔고 학문이 발전하는 겁니다.
어떤 사람이 불순한 의도로 자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나요?
하지만 비판이 금지된 것은 아닙니다. 너무 대 놓고 하면 문제가 되겠지만
어느 선까지는 권장되는 것입니다.

인격모독이 아니면 좀 봐 주세요.^^ <- 이거 하면 좀 낫나요?

admin입니다.

unixcruiser님, esrevinu 님…
우선, 포럼을 위한 두 분의 열의에 감사를 드립니다.

허나, 본 글타래를 더이상 끌 경우, 두 분 뿐만 아니라, 전체 포럼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이에, 이 이하 글타래를 끄는 것을 금지를 하고자 합니다.

이하 두분의 견해는 쪽지나, 메일을 통하여 나누시길를 요청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