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 대한 초보자의 몇가지 질문

wubi 를 통해 우분투를 설치한지 며칠 안된 리눅스 초보입니다.

쓰다보니 궁금한게 많이 생겼거든요… 조언 좀 부탁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

  1.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했는데요… 가장 많이 느끼는 게… 마우스의 감도가 약간 떨어지는 것이거든요.

시스템에서 마우스 설정을 고쳤는데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 우분투가 약간 느리다는 생각도 들거든요

원래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할 때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 vmware 나 virtualbox, 아니면 직접 우분투 씨디로…) 설치하더라도

같을지(약간 느린지…, & 마우스 감도가 낮은지)궁금합니다.

  1. 우분투에서 물어물어 네이트온을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소리가 안나는 문제가 있네요…

접속해 들어갈 때 어떨 때엔 소리가 나고, 어떨때엔 안나는데…‘arts’ 설정도 해주었거든요. 시스템-기본설정-소리에서 alsa 고급사운드구조

라고 체크해주기도 했구요 (검색해보니 그렇게 나와서…) 그래도 네이트온에서 소리가 안나네요. 무슨 방법이 없을까요~?

  1. 용량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wubi로 처음 설치할때 하드 용량을 묻는 부분이 나오지요~. 4기가가 기본이고 8기가가 권장이라고 되어 있기에, 8기가로 체크를 했습니다

설치하고 나서 사용하고 보니, 홈 폴더에서 남은 용량을 속성 탭을 통해 살펴보니 3.7 기가가 남았따고 하더군요.

8기가로 체크한 게 적당한 것인지 자신이 없어지네요… 다른 분들은 대개 얼마만큼으로 하드 용량 설정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160기가 하드를 쓰고 있고 70 기가 이상의 여유공간이 있거든요…

제가 얼핏 듣기로는,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은 일종의 가상 하드 연결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분투에서 사용할 공간이 3.7 기가밖에 안남은 것인지, 아니면 제 하드에 남은 70기가의 여유공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우분투에서의 하드 사용 영역은 윈도우즈하고는 다르겠지만, 우분투에서 사용한 용량을 윈도우즈에서 알수는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가상의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사용하는 용량은 존재할것 같은데 말이지요. (사용한 용량만큼 차감되어야 맞을 것 같아서요…)

  1.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윈도우즈와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우분투에서 음악이나 음악방송, 라디오 방송, 을 들을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1. 컴퓨터를 쓰다보면 외장하드나 usb 를 쓸때가 있는데요… 이들을 뺄 때 윈도우즈에서는 트레이 영역에서 제거해주는 것을 먼저

누르고 뺐거든요. 우분투에서는 이것들을 어떻게 빼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좀 많았네요… 초보자의 궁금증이라 생각해주시고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번 2번은 다음 분께 패스~^^

3번에서 3.7기가는 우분투에서 남은 용량입니다. 즉 윈도우 전체에서 남은 용량이 70기가인데 여기에 8기가 짜리 우분투를 Wubi로 설치했다면 62기가가 남게 되고 이 8기가로 우분투를 쓰는 겁니다. 8기가는 일종의 가상 공간이라고 할 수 있죠.

우분투를 어떤 목적으로 쓰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대략 윈도우와 우분투를 듀얼 부팅으로 한다면 10~15기가 정도면 충분할 듯 보입니다.

4번
우분투에서는 기본적으로 리듬박스라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리듬박스로 음악방송 라디오방송 모두 들을 수 있는 걸로 알고 있고요. mp3파일들을 앨범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여러 가지 멋진 기능들을 사용하고 싶다면 Amarok라는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모든 음악 재생 프로그램에서 최고로 꼽는다네요^^

5번
리눅스에서는 USB장치를 마운트라는 개념으로 연결합니다. 따라서 이 마운트의 반대인, 즉 언마운트를 하고 기기를 빼주시면 됩니다.

이상~ 우분투 왕초보 조디악이었습니다. 초보라서 위에 답변이 절대 맞다고는 보장을 못합니다^^;

[quote="cloudb":1njdm29e]
3. 용량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3.1 [전략…] 다른 분들은 대개 얼마만큼으로 하드 용량 설정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3.2 [전략…] 아니면 제 하드에 남은 70기가의 여유공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3 [전략…] 우분투에서 사용한 용량을 윈도우즈에서 알수는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후략][/quote:1njdm29e]

편의상 번호를 붙였습니다.

3.1 : 저도 조디악님의 의견에 동의하므로 패스

3.2 : 현재 클라우드님의 셋업에서는 우분투가 자체적으로 쓸 수 있는 공간은 3.7기가가 남은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건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 하기 위한 공간이 그것밖에 안 남았다는 말이고…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NTFS 파티션을 읽고 쓸 수 있으므로 다은로드 받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목적으로는 남은 70기가의 공간을 활용하실수 있습니다. 만일 160기가를 단일 파티션으로 쓰고 계신 상태에서 Wubi로 인스톨 하셨다면 /host 에 윈도우즈 파티션이 있을 것이고, 160기가가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다면 wubi가 인스톨 되어 있는 파티션은 /host, 나머지는 /media 에 있을겁니다.

3.3 : 제가 Wubi로는 깔아본적이 없어 확담은 못하곘지만 Wubi는 "우분투 파티션" 으로 지장한 공간만큼을 파일로 잡고 그 공간을 파티션처럼 쓴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는 세부적인 사용 내역은 윈도우즈쪽에서 보는 것이 불가능할겁니다 (혹시 틀렸다면 지적 바랍니다). 하지만 실제로 파티션을 나눠서 제대로 인스톨 하셨다면 ext2IFS라는 프로그램을 깜으로 인해 윈도우즈에서도 Ext3파티션을 인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질문이 정말 많았지요… vulpes님 조디악님,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우분투 설치시에 좀 더 용량을 넓혔어야 했나봅니다… 하드 용량도 여유가 있으니…

=)

답변 감사합니다~ 참, 두어가지 질문을 더 드리고 싶은데요…

/host 로 들어가면 C 드라이브에 저장된 문서화일을 볼 수 있는데요.

영상이나 음악 화일을 들으려고 하면 계속 갑자기 멈춰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했기에 화일을 읽는 게 느려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우분투가 영상 화일을 늦게 읽는 건가요~?

몇분째 읽지 못해서 종료하려고 컨트롤+알트+델리트 키를 눌렀는데 종료도 안되네요. 컴이 먹통이 되어서 결국 어쩔수 없이

부팅 버튼을 눌러 꺼버리고 말았는데요… 윈도우의 종료 키가 우분투에서도 마찬가지인지도 궁금합니다…

제방에서 컴퓨터를 쓰고 있고요. 옆방에서도 컴퓨터를 씁니다.

윈도 XP 끼리는 화일이나 프린터 공유가 어렵지 않았는데…

지금 제가 쓰는 우분투 리눅스와 옆방 컴퓨터(윈도 XP)의 화일 프린터 공유는 어떻게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

질문이 좀 많아졌네요… ^^;;

1번은 제가 Wubi로 인스톨해 본 경험이 없어서 뭐가 문제인지는 잘 모르곘습니다. 하지만 파티션을 나눠서 인스톨된 우분투에서는 NTFS파티션에서 음악이나 영상을 읽어온다고 느려지거나 멈추진 않았습니다. 우분투 자체 문제는 아마 아닐겁니다만 확실하게 알 수 없으니… 동영상이나 음악 플레이어를 터미널에서 구동시키면 에러 발생시 터미널에 해당 에러가 찍히니까 그렇게 시동해 보시는 방법도 있을겁니다. 최소한 뭐가 문젠지 알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그리고 우분투에서는 시스템 모니터라고 합니다만… 지정된 키보드 단축키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 툴바에 아이콘을 추가시켜서 마우스 클릭으로 열거나 Alt+F2를 누르시고 gnome-system-monitor 을 실행시켜 주시면 됩니다.

  1. 파일 공유는 가장 쉬운 방법이 윈도우즈에서 폴더를 공유로 놓고 우분투에서 삼바로 접속 (Alt+F2해서 smb://[IP주소])하는 방법일겁니다. 프린터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help.ubuntu.com/community/WindowsXPPrinter)

    1. System -> Administration -> Printing 에서 새 프린터 아이콘을 열어 준다.
    2. 네트워크 프린터 > 윈도우즈 프린터(SMB) 선택
      a. Host에는 해당 컴퓨터의 네트워크명, 혹은 IP 주소를 입력한다.
      b. Printer에는 프린터의 공유명을 입력한다.
      c. Username은 guest로 입력한다.

만약 안된다면 윈도우즈쪽에서 다음의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1. 설정 -> 프린터 및 팩스
  2. 사용하는 프린터에 우클릭 한 후 속성>포트 텝으로 이동한다.
  3. "양벙향 지원"이 체크되어 있다면 체크를 푼다

혹은, 프린터 공유 이름이 너무 길어도 이렇게 될 수 있다니까 8글자 미만으로 재설정 하는것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답니다.

아,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우분투 강제종료는 키를 따로 설정해주어야 하나 보군요…

차근 차근 해보아야겠어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어 지난 질문에 댓글 적어 봅니다.

[quote="cloudb":1zoer58s]

  1.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했는데요… 가장 많이 느끼는 게… 마우스의 감도가 약간 떨어지는 것이거든요.
    시스템에서 마우스 설정을 고쳤는데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 우분투가 약간 느리다는 생각도 들거든요
    원래 wubi 로 우분투를 설치할 때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 vmware 나 virtualbox, 아니면 직접 우분투 씨디로…) 설치하더라도 같을지(약간 느린지…, & 마우스 감도가 낮은지)궁금합니다.
    [/quote:1zoer58s]

우선 Wubi 나 가상 아니고 직접 하드 파티션을 나우어 제대로 설치 하더 라도(그래픽까지 잘 잡고) 우분투가 XP 보다 동일 시스템에서 빠르지는 않습니다. 엑스피는 2002년 나오고 하디는 2008년4월 나온…
암튼 리눅데탑이 빠르다 아님 느리다 말이 다양 하지만 [u:1zoer58s]컴피즈(화면효과) 까지 더하여 우분투가 전혀 XP 보다 빠른 것은 아닙니다.[/u:1zoer58s] (저의 시스템도 그리 하옵니다.)
마우스 감도는 직접 피티션 나누어 설치 하여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전 그냥 싸구려 마구 쓰는지라…

[quote="cloudb":1zoer58s]
2. 우분투에서 물어물어 네이트온을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소리가 안나는 문제가 있네요…

접속해 들어갈 때 어떨 때엔 소리가 나고, 어떨때엔 안나는데…‘arts’ 설정도 해주었거든요. 시스템-기본설정-소리에서 alsa 고급사운드구조

라고 체크해주기도 했구요 (검색해보니 그렇게 나와서…) 그래도 네이트온에서 소리가 안나네요. 무슨 방법이 없을까요~?
[/quote:1zoer58s]

우분투는 그놈을 주 윈도 매니져로 하고 있으며 리눅용 knateon 은 KDE 환경으로 개발된 어플 입니다.
따라서 소리를 완벽하게 사용 하기 위해선 [u:1zoer58s]KDE 환경을 추가 설치하고 KDE 데탑으로 로긴 후 사용 하시면[/u:1zoer58s] 리눅 nateon에서
소리 설정 대로 잘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패키지를 제가 우분투용으로 빌도 하여 자료실에 올려 놓기도 하였으나 우분투 환경에서는
개인적으로 [b:1zoer58s]우분투(그놈환경) 에선 pidgin 의 피진네이트를 권 합니다.[/b:1zoer58s](사용 할수록 피진은 아주 매력적 이랍니다.) ;)
참고 : [url=http://ubuntu.or.kr/wiki/doku.php?id=%EB%AA%A9%EC%B0%A8:%ED%94%BC%EC%A7%84%EB%84%A4%EC%9D%B4%ED%8A%B8:1zoer58s]피진네이트[/url:1zoer58s] [url=http://ubuntu.or.kr/wiki/doku.php?id=%EB%AA%A9%EC%B0%A8:%EC%9E%90%ED%85%8C%EC%98%A8:1zoer58s]자테온[/url:1zoer58s]

[color=#4000FF:1zoer58s][b:1zoer58s]글 쓰고 보니 아주 개인적 답변 이옵니다[/b:1zoer58s].[/color:1zoer58s] :D

분도님, 답변 감사합니다~ ^-^ 세례명이 베네딕트 인가보군요~

우분투 리눅스의 체감 속도가 느린 건 어쩔 수 없는 건가봅니다… wubi 나 가상 공간을 이용하더라도요.
그저 속도에 익숙해지는 수밖에 없겠군요… (근데,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을 들으려고 할때 자주 느리고
리눅스가 멈춰버리는 현상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더군요. 이거 어떻게 대처해야할지요 ^^;:wink:

피진 메신저… 저도 얘기를 듣고서 한번 이용해봤는데요. 그거 정말 괜찮더군요 ^^
윈도우즈에서도 이거 이용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네요~ 여러 메신저를 쓰는 사람들 입장에선
정말 편할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 궁금한게 있는데요
" 소리를 완벽하게 사용 하기 위해선 KDE 환경을 추가 설치하고 KDE 데탑으로 로긴 후 사용 하시면 리눅 nateon에서 소리 설정 대로 잘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라고 하셨는데… 아직 저의 내공이 부족한지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우분투가 그놈 환경 이라서, KDE 환경을 추가해야한단 말씀이지요~? 그렇다면 KDE 환경은 어떻게 추가하는지… KDE 데스크탑으론 어떻게 로그인이 가능할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

피진은 윈도우즈에도 있고 맥킨토시에도 피진은 아니지만 피진의 형제격인 Adium이 있습니다. 같은 libpurple을 사용하지요.

참고로 제 개인적 경험상… 윈도우즈에서 피진을 사용하면 환경변수를 하나 등록해줘야 한글입력이 원활했습니다 (이건 안 그런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안 그러면 한글 입력시 글자가 바로 채팅창에 써지는게 하니라 한글자 한글자씩 별도의 네모칸에서 조합이 되었다가 1글자가 완성되어야만 채팅창에 써지더군요 (이거 정식명칭이 어떻게 되죠…?)

PIDGINLANG 을 생성해서 ko 로 해주면 이 문제가 없어지지만, 프로그램 전체가 한글화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더군요. 사소하긴 하지만 전 영문이 편한데 좀 아쉽더군요.

참고로 로그파일이라던가 blist.xml등은 호환이 되어서 한번 설정해 놓으면 어디서 쓰더라도 동일 환경으로 쓸 수 있는게 매력이더군요. 파일 전송이 조금 불만이긴 합니다만. ^^

vulpes 님 감사합니다… 피진 메신저를 윈도에서도 쓸수 있군요 ^^
아직 윈도에서는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메신저는 아닌가보군요… 그래도 하나의 메신저에
여러게의 메신저를 통합할 수 있으니 참 괜찮은 메신저인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한번 윈도에서도 깔아봐야겠어요~

[quote="cloudb":f2cgdmxl]분도님, 답변 감사합니다~ ^-^ 세례명이 베네딕트 인가보군요~

참, 궁금한게 있는데요
" 소리를 완벽하게 사용 하기 위해선 KDE 환경을 추가 설치하고 KDE 데탑으로 로긴 후 사용 하시면 리눅 nateon에서 소리 설정 대로 잘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라고 하셨는데… 아직 저의 내공이 부족한지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우분투가 그놈 환경 이라서, KDE 환경을 추가해야한단 말씀이지요~? 그렇다면 KDE 환경은 어떻게 추가하는지… KDE 데스크탑으론 어떻게 로그인이 가능할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quote:f2cgdmxl]
글을 살펴 보니 질문 을 더 하셨네요 …

  1. 네 그래서 강분도 입니다. ;)

  2. 우분투에서 KDE 환경 사용 하기 …
    우분투에서 Gnome , KDE ,xfce , flux 환경을 다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미 kdelib 등등 여러 패키지가 설치되면 KDE 사용이 가능 하지만…
    KDE 환경을 사용하시려면 시냅틱 에서 kubuntu-desktop을 검색(Ctrl+F) 하여 설치 하시거나
    터미널에서 $ sudo apt-get install kubuntu-desktop 하시면 쿠분투(KDE) 설치 됩니다.

그런 후 로그아웃으로 GDM( 그래픽 로그인 화면) / 옵션에서 / 세션을 KDE 로 고르신 후
로그인하시면 KDE 를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Vulpes 님 감사합니다~~~ 윈도에서는 피진 쓰기가 좀 어렵겠네요… ^^;;

흐음… 뭔가 제가 말한게 전달이 잘못되었나…?

윈도우즈에서 피진 사용하는게 어렵다는 뜻은 아니었습니다. 윈도우즈에서만 볼 수 있는 피진의 문제란 제 경험상으로는 딱 2개 있습니다. 아니, 사실 1개의 문제가 유저의 성향에 따라 2가지로 나타난다가 정확하겠군요.

그 문제라 함은, 가끔 (100%는 아닌걸로 압니다. 그냥 깔아서 문제없이 쓰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뭐가 이 문제의 원인이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윈도우즈가 피진의 언어 설정을 인식을 못하고 영문으로 잡아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현상이 일어날 경우, 메뉴 등이 다 영어로 나오는건 제쳐두고서라도, 한글 입력에서 약간의 문제가 생기는데, 창에서 직접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네모난 칸이 하나 나오면서 거기 먼저 한글자씩 완성되면서 입력됩니다.

첨부파일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 위쪽이 정상적으로 직접입력을 했을 경우, 아래쪽이 위 문제가 발생했을때 간접입력이 되는 상황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입력이 되는데 저게 쓰다보면 정말 엄청나게 거슬립니다. 게다가 어떤 경우에는 저렇게 얌전하게 글 옆에 상자가 생기지 않고 화면의 최좌측 상단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면 당장 자기가 입력하는 글자를 엉뚱한 위치에서 봐야 하니 은근히 짜증이 나죠. 그리고 아래 예에서 간접입력의 "력"까지 입력한 상태에서는 아직 저 상자가 나와있는 대로인 상황이 됩니다. 그 후 스페이스든 뭐든 눌러야 비로소 맨 아래 스샷처럼 입력이 완성되지요. (사실 리눅스에서도 이 문제가 없는건 아닙니다… 다만 시각적으로 저렇게 짜증나게 보이지 않아서 그렇지)

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의 환경변수에 PIDGINLANG 변수를 등록하고 값을 ko로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내 컴퓨터" 에 우클릭 한 후, 속성>고급 에서 환경 변수 버튼을 클릭하고 필요 여하에 따라 사용자, 내지는 시스템에 새로 변수를 만들어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 주면 다음번 피진을 실행하면 한글로 실행이 되고, 위의 간접입력 문제가 사라집니다.

다만, 제 경우는 피진을 영문으로 놓고 쓰고 싶은데 한글을 제대로 입력을 하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한글 인터페이스로 써야 한다는 거죠. 여담이지만 우분투 자체도 영문 상위로 놓고 쓰는데, 파이어폭스에서 플래시 한글을 보려면 파폭을 한글 모드로 실행시켜야 하는것도 상당히 짜증나요. -_-

이것 이외에 윈도우즈만의 피진 문제는 없는걸로 압니다. ^^